테오도어 아도르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Polytechniq (토론 | 기여)
잔글 Polytechniq님이 테오도어 W. 아도르노 문서를 테오도어 아도르노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되돌리기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테오도어 루트비히 비젠그룬트 아도르노'''(Theodor Ludwig Wiesengrund Adorno, [[1903년]] [[9월 11일]] - [[1969년]] [[8월 6일]])는 [[독일]]의 [[사회학|사회학자]], [[철학|철학자]], [[피아니스트]], [[음악학|음악학자]] 그리고 [[작곡가]]였다. 그는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더불어 [[프랑크푸르트 학파]] 혹은 비판이론의 1세대를 대표하는 학자이다.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속하는 학자로는 이 외에도 [[발터 벤야민]],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등이 있으며 [[위르겐 하버마스]] 는 2세대 학자이다.
 
아도르노의 대표 저서로는 미국 망명기간 동안에 호르크하이머와 공동으로 작성한 계몽의 변증법을 비롯하여, 부정 변증법, 미니마 모랄리아, 신음악의철학, 미학이론 등이 있다.
12번째 줄:
 
==아도르노의 대중음악<ref>T.W.Adorno, "On Popular Music", ''Studies in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9,1941,p.17~48.</ref> <ref>원용진,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2010, p. 223-225</ref>==
*특정한 음악적 표현의 성공은 상업적 목적으로 함몰되어 전체와 부분의 유기적 관계는 사라지고 기계적으로 ‘표준화’되어 표준화된 음악들을 생산해낸다.
*대중음악은 ‘수동적’ 음악감상만을 조장한다. 일상의 수동적인 도피의 대비책으로 일회성 소비의 목적을 가진다. 그렇기에 단조롭고 건조한 문화소비의 습관을 조장한다.
*대중음악은 현실 세계에서 일어나는 억압이나 착취에 대한 대중의 시선을 자신들에게 돌리게 함으로써 사회의 현상을 단단하게 유지하는 데에 ‘사회적 접착제’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s/>
{{Authority전거 control통제}}
 
{{기본정렬:아도르노, 테오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