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지명 유래: 지리고요
잔글 58.122.235.232(토론)의 편집을 95016maphack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2번째 줄:
{{coord|34|46|N|126|21|E|region:KR_type:city(245482)|display=title}}
{{대한민국 시군구 정보
|이름 = 목포시
|이름=목포시|대표이미지=Montage of Mokpo.jpg|면적=50.12|세대=101,180|세대_조사연도=<small>2016.12.31.</small>|총인구=237,739|총인구_조사연도=<small>2016.12.31.</small>|인구밀도=|행정동=23|법정동=64|시장=[[박홍률]]([[국민의당]])|국회의원=[[박지원 (1942년)|박지원]]([[국민의당]])|홈페이지=[http://www.mokpo.go.kr/ 목포시청]|시청소재지=양을로 203 ([[용당동 (목포시)|용당1동]])|시목=[[비파나무]]|시화=[[백목련]]|시조=[[두루미]]|위도도=34.1|위도분=46|위도초=0|남북=N|경도도=126|경도분=21|경도초=0|동서=E|꼬리표=목포}}
|대표이미지 = Montage of Mokpo.jpg
[[파일:Mokpo_City_Hall.JPG|섬네일|목포시청 청사]]
|면적 = 50.12
|세대 = 101,180
|세대_조사연도 = <small>2016.12.31.</small>
|총인구 = 237,739
|총인구_조사연도 = <small>2016.12.31.</small>
|인구밀도 =
|행정동 = 23
|법정동 = 64
|시장 = [[박홍률]]([[국민의당]])
|국회의원 = [[박지원 (1942년)|박지원]]([[국민의당]])
|홈페이지 = [http://www.mokpo.go.kr/ 목포시청]
|시청소재지 = 양을로 203 ([[용당동 (목포시)|용당1동]])
|시목 = [[비파나무]]
|시화 = [[백목련]]
|시조 = [[두루미]]
|위도도=34.1 |위도분=46 |위도초=0 |남북=N
|경도도=126 |경도분=21 |경도초=0 |동서=E
|꼬리표 = 목포
}}
[[파일:Mokpo City Hall.JPG|섬네일|목포시청 청사]]
'''목포시'''(木浦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 [[무안반도]] 남단에 있는 [[시 (행정 구역)|시]]이다. [[영산강]] 하구에 위치하여 남쪽은 [[영산강]]을 경계로 [[영암군]] [[삼호읍]]과 마주하고, 북쪽과 동쪽은 [[무안군]] [[삼향읍]]에 둘러싸여 있으며, 서쪽으로 [[황해]]를 통해 [[신안군]]의 여러 섬들과 물길로 연결된다. [[1897년]]에 개항하였고, 일제강점기부터 [[목포항]]과 [[호남선]]의 [[목포역]]을 중심으로 도시가 번성하였다. 면적은 50.12 km², 인구는 약 24만 명이다. 시청은 [[용당동 (목포시)|용당1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23[[동 (행정 구역)|동]]이다. 명소로는 [[유달산]], [[목포 갓바위|갓바위]], [[삼학도]] 등이 있다.
 
목포시는 1990년대부터 동쪽으로는 [[하당신도시]]와 [[남악신도시]](2005년부터 [[전남도청]] 소재지)가, 남쪽으로는 [[대불국가산업단지]](영암군 삼호읍)와 [[목포신항]], [[고하도]] 해상신도시가, 북쪽으로는 북항과 산업단지가 개발되어 도시가 확장 중에 있고, 원도심에서는 서산·온금지구, 대성지구 등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1981년에 [[영산강하굿둑]]이 완공되어 시의 동부와 영암군 삼호읍이 직결되었고, 2008년에는 [[압해대교]]가 개통되어 시의 북부와 [[압해도]]([[신안군]]청 소재지)가 연결되었으며, 2012년에는 [[목포대교]]가 개통되어 시의 서부(북항)와 [[목포신항]], [[대불국가산업단지|대불산단]]이 직접 연결되었다.
 
== 지리고요지명 유래 ==
목포(木浦)라는 이름은 《[[조선왕조실록]]》의 [[태조실록]]과 《[[고려사]]》에 처음으로 문헌상 등장한다. 이 때문에 목포라는 지명은 적어도 [[고려]] 때부터 썼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지명의 유래에 관해서는 '목(木)'자 때문에 '나무'가 많은 [[포구]]라는 뜻이었을 것이라는 추측과 [[서해]]로부터 [[영산강]]을 타고 육지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포구]]라는 뜻으로 한자를 [[차자]]해 목포라고 썼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62280&cid=43740&categoryId=44174 목포시]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지명, 2010년 12월, 국토지리정보원. 2017년 8월 7일 확인.</ref>
 
줄 37 ⟶ 57:
=== [[일제강점기]] ===
{{본문|목포부#도시의 발전}}
[[파일:Fukuyama-Cho_in_MokuhoCho in Mokuho.JPG|섬네일thumb|220x220픽셀220px|목포부 (일제강점기)]]
목포 개항 이후 [[완도]]를 통해 이어지던 뱃길에 항상 목포가 끼게 되었고 목포-제주 사이를 정기적으로 항해하는 기선이 생겨났다. 1921년 설립된 순항선조합의 선박을 비롯해 [[인천]], [[부산]], [[여수]]를 오가던 배들은 목포를 중간 기착지로 삼아 항해를 이어나갔다.
 
줄 44 ⟶ 64:
철도, 조선, 수산가공업이 본격화되면서 조선인들은 각지에서 몰려들어 일거리를 찾았다. 일본인 거주지역에 가깝게 자리를 잡기 위해 작은 움막 따위를 지어 좁디 좁은 골목을 만들어 지냈다고 한다. 그 자리는 옛 공동묘지로서 조선총독부가 허가하면서 겨우 거주가 허락된 곳이었다.<ref>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 공간 문화〉</ref> 각종 시설이 들어서는 한편 [[목포극장]]이 생겨났다. 서울을 비롯해 대도시에서 내국인이 소유하고 있던 극장은 서울의 [[단성사]]와 [[광주광역시|광주]]의 [[광주극장]], [[목포극장]] 세 곳뿐이었다.<ref>이경재, 가람기획 《한양이야기》 264쪽</ref>
 
[[1932년]]에는 [[무안군]] 일부 지역 편입으로 면적이 늘어나는 한편 인구 6만의 6대 도시로 성장했다. 당시 목포항에 모이던 물품은 '''一黑'''([[김 (해조류)|김]]) , '''三白'''([[면화]], [[쌀]], [[소금]])의 집산지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ref name=" '목포연혁"'>목포역사문화관광 홈페이지 중 연혁 참조</ref> 일본인들은 전북에 쌀의 군산이 있다면 전남에는 면의 목포가 있다고 했는데, 1930년대 초 목면공장의 수가 20여 곳에 이르렀던 조선 제일의 목면 수출항이었다. 이 목면은 일본 간사이의 한신 지역으로 주로 팔려나갔다.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현재 ===
1949년 [[목포부]]에서 목포시가 된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목포시는 계속적으로 면적이 늘어났다. 이는 1963년 무안군 지역 흡수<ref name="법률1175호">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ref> 와 간척에 따른 결과였다. [[1973년]], [[1987년]] 무안군 삼향 일대 행정편입 및 [[1999년]] [[하당신도시|하당신도심]] 2단계 매립지구 택지개발사업으로 면적이 46.02km<sup href="소금">2</sup>에서 46.91km<sup>2</sup>로 늘어났으며 북항 근처의 바다 매립, 삼학도 인근과 충무동 신항 매립으로 면적이 47.92km<sup>2</sup>까지 늘어나 현재에 이르고 있다.
 
[[파일:베아채에서_바라본_남악신도시베아채에서 바라본 남악신도시.jpg|섬네일thumb|220x220픽셀220px|남악신도시]]
목포의 명소인 [[삼학도]]는 1940년도에 목포 앞바다에 있던 삼학도를 연륙하면서 68년부터 73년까지 추진된 간척공사로 육지로 변했다. 삼학도는 크게 대·중·소삼학도로 구분되며 2000년부터 복원사업을 실시했다. 시민단체의 졸속 행정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아 난항이 컸던 사업이었다. 그러나 2006년 공사 6년 만에 소삼학도를 원형에 가깝게 복원해 물길을 두고 다리를 통해 건너갈 수 있도록 3개의 섬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소삼학도와 중삼학도 사이가 5개의 다리로 연결돼 [[2007년]] [[3월 1일]]부터 개방된 상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158582 2005-11-25 "옛 삼학도 모습"]</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330208 "목포 삼학도 35년 만에 복원...1일 개방"] 2007-03-01</ref>
 
줄 56 ⟶ 76:
목포의 성장에 결정적인 요인이 된 것은 [[일제 강점기]] [[호남선]]이 개통되고 항구로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게 된 데 있었다. [[호남선]]의 종착역으로서 오늘날까지 기능하고 있으며 [[2004년]] 4월 1일 [[KTX]] 개통 및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철도]] 1단계가 개통되어 서울과 목포가 2시간대로 가까워졌다. 또한 [[삼학도]] 복원 사업과 더불어 남항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관광중점인 북항과 물류 전담인 신외항을 축으로 하여 항만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
 
21세기에 들어 목포의 매력으로 떠오른 부분은 목포 신항·[[무안 국제공항]] 건설 등 사회기반시설에 관한 투자촉진과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산업기반 시설이 확충되고, [[전라남도청]]의 이전에 따른 [[남악신도시]]개발에 따른 영향으로 서남해안 시대의 중추 도시로 떠오를 수 있을 것<ref name=" '목포연혁"' /> 으로 보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의 발전으로 인해 [[상해]], [[홍콩]] 등 중국 동남권과의 연계발전 가능성이 주목되는 도시로 부각되고 있다.
 
== 지리 ==
[[전라남도]]의 남서단 [[무안반도]] 남서쪽에 자리하며 1004개의 섬으로 이뤄진 [[신안군]]을 바로 앞에 두고 있다. 북동쪽으로는 [[무안군]], 남쪽으로는 [[영암군]]을 바라본다. 영암군을 사이에 두고 [[영산강]]이 흘러가며 지금은 하굿둑이 설치되어 있다. 구도심 중심부에는 해발 228m인 [[유달산]], 동쪽에는 [[입암산]](121m),북쪽에는 [[양을산]](156m)·[[대박산]](156m)·[[지적봉]](189m) 등으로 둘러 있고 남쪽은 영산강 하구에 면해 있다. 목포의 최고 자랑 중 하나인 [[유달산]]은 [[노령산맥]]의 끝자리에 해당하며 남도의 [[개골산]]이라는 별칭을 지닌 기암괴석의 산으로 [[1351년]] [[고려 충정왕]] 3년에 [[봉수대]]가 설치된 곳이기도 하다. 임진왜란 때 군량미가 쌓여 있는 것처럼 위장했다는 일명 [[노적봉]]이 있으며, [[영산강]]· [[삼학도]]와 함께 이곳 사람들의 시정(詩情)을 돋우는 아름다운 경관을 갖추고 있다. 도심지의 중심에 산이 있다보니 시내를 조금만 벗어나면 언덕지대가 나타나기도 한다. 영산강 하구 주변에는 13개의 섬이 있기 때문에 아름다운 경치를 펼칠 뿐 아니라 해일이 생긴다 해도 자연 방파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목포를 천혜의 양항으로 기능하게 하였고 이는 목포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ref>삼성출판사 편집부 2007. 《대한민국 웬만한곳 다있다》</ref><ref name=" '목포지리"'>[http://www.mokpo.go.kr/open_content/administrative/organization/location/ 목포시청 홈페이지, 목포소개],
위치/자연환경</ref>
 
그러나 역사적으로 현재 목포의 지리는 대부분 간척에 의한 매립지로 이루어졌다. 삼학도를 비롯해 [[하당신도시]], [[북항]] 일대는 갯벌을 모두 개간한 것이며 인근 영암지역도 많은 매립지가 형성되었다. 과거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현재의 [[목포역]] 앞에 개울이 흘러 바닷물이 도시 내부로까지 흘러들어왔다고 한다. 시가지 주변의 영산강 하구에는 연변·북항·대반동·백련동·갓바위해안 등의 [[간석지]]가 있다. 이들 간석지는 육상으로부터의 계속적인 퇴적과 바닷물의 유입횟수가 줄면서 정착하게 된 염생식물 덕분에 퇴적물의 집적과 간척이 용이해져 농경지·주택지·공장부지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고하도]], [[눌도]], [[달리도]] 등 6개의 유인도와 7개의 무인도를 포함하고 있다.<ref name="목포지리" '목포지리'/>
 
총 면적 50.08km<sup>2</sup>이며 일반대지가 21.7%, 전답이 24.5%, 임야가 25.7%, 기타 28.1%를 차지한다.
 
한편, 집중 호우로 큰 홍수가 났을 때에는 바닷물이 [[영산포]]까지 침범하였으나 [[영산강하굿둑]] 설치 후 영산포지역 피해는 해소된 반면, 목포권역의 수위가 높아져 피해를 늘렸다. 특히 [[2004년]] [[7월 4일]]에 시작된 7호 [[2004년 태풍#.EC.A0.9C7.ED.98.B8제7호 .ED.83.9C.ED.92.8D태풍 .EB.AF.BC.EB.93.A4.EB.A0.88민들레|태풍 민들레]]는 목포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오늘날까지 [[영산강하굿둑]] 개선사업에는 정부와 학자 및 시민단체들 사이에서는 많은 논란이 끊이지 않은 상태이다.<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00330112225546&p=ktv 영산강 하구둑 홍수 방지 구조개선]</ref><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0/05/03/0200000000AKR20100503073900054.HTML?did=1179m 영산강 하구둑 개선사업 환경영향평가 '부실']</ref> 2010년부터 영산강 하구둑 배수갑문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 기후 ===
목포기상대가 1904년 3월 주요 5곳과 함께 설치된 이후 3월 25일 목포에서 국내 최초로 기상관측을 실시했다.<ref>김동식, 김정현 매일경제신문사, 2006. 《날씨경영(하늘에서 돈이 옵니다》 173쪽</ref> 1904년 3월 25일의 날씨는 구름이 낀 가운데 최저 3.4도, 최고기온은 8.4도였다고 한다.
 
<p>2006년 기준 강수가 1년중 121일, 흐림이 98일로 강수일이 많은 편이다. 맑은 날은 66일에 해당하지만 최근 [[대한민국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목포지역은 전국에서 가장 일조량이 높은 곳으로 인근 [[신안군]]과 함께 새로운 태양광발전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ref>[http://www.kbizweek.com/cp/view.asp?vol_no=601&art_no=29&sec_cd=1702 한경비즈니스, 2007-06-11 전국은 지금 ‘태양의 도시’ 열풍]</ref> [[황사]]의 경우 평균 10일로서 서울, 인천의 11일과 비슷한 편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537514 전남, 수도권비해 황사발생 적고 농도 낮다] 2009-02-21</ref></p>
 
목포는 [[온난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a'')에 속한다. 하계에는 해양성, 동계에는 대륙동안형으로 두 기후가 중첩되어 나타나기에 기상 관측에 있어 의의가 높은 지역에 해당한다. 눈이 내리는 날은 년간 37일, 영하인 날은 60일이며 겨울철에는 돌풍이나 기습적인 눈보라가 자주 발생한다.<ref>[http://mokpo.kma.go.kr/sfc/climate_01_02.jsp 목포기상대 목포지방 기후 특성]</ref> 이는 대륙성고기압 확장시 대한민국 서해안으로 기류가 타고 내려와 바로 만나는 지역에 목포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2004년]] [[7월 4일]]에 시작된 7호 [[2004년 태풍#.EC.A0.9C7.ED.98.B8제7호 .ED.83.9C.ED.92.8D태풍 .EB.AF.BC.EB.93.A4.EB.A0.88민들레|태풍 민들레]]로 시작된 집중호우는 목포에 시간 당 64mm라는 100년 만의 기록적인 호우로 큰 피해를 입혔다.
 
시의 위치상 중국발 미세먼지가 통과하는 [[황해]]를 바로 만나는 지점에 있다. 이에 시는 각 동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6개의 주요 미세먼지 측정 및 전파체계를 확립했다.<ref>[http://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231340 목포시, 미세먼지 발생상황 신속전파 체계구축] 이규만, 2014-04-02</ref>
{{Weather box
|location = 목포
|location=목포|metric first=Y|single line=Y|Jan high C=6.1|Feb high C=7.8|Mar high C=12.0|Apr high C=17.8|May high C=22.3|Jun high C=25.7|Jul high C=28.3|Aug high C=30.1|Sep high C=26.7|Oct high C=22.0|Nov high C=15.2|Dec high C=9.0|year high C=18.6|Jan mean C=1.7|Feb mean C=2.9|Mar mean C=6.7|Apr mean C=12.3|May mean C=17.3|Jun mean C=21.4|Jul mean C=24.8|Aug mean C=26.1|Sep mean C=22.2|Oct mean C=16.6|Nov mean C=10.2|Dec mean C=4.4|year mean C=13.9|Jan low C=-1.5|Feb low C=-0.7|Mar low C=2.8|Apr low C=8.1|May low C=13.3|Jun low C=18.1|Jul low C=22.3|Aug low C=23.2|Sep low C=18.8|Oct low C=12.5|Nov low C=6.3|Dec low C=0.8|year low C=10.3|Jan precipitation mm=33.2|Feb precipitation mm=42.4|Mar precipitation mm=60.0|Apr precipitation mm=69.3|May precipitation mm=89.2|Jun precipitation mm=173.1|Jul precipitation mm=236.7|Aug precipitation mm=192.6|Sep precipitation mm=147.5|Oct precipitation mm=46.9|Nov precipitation mm=43.4|Dec precipitation mm=29.3|year precipitation mm=1163.6|Jan humidity=68.7|Feb humidity=69.0|Mar humidity=67.8|Apr humidity=68.0|May humidity=72.5|Jun humidity=77.8|Jul humidity=83.7|Aug humidity=80.3|Sep humidity=75.8|Oct humidity=69.2|Nov humidity=67.6|Dec humidity=68.7|year humidity=72.4|unit precipitation days=0.1 mm|Jan precipitation days=11.6|Feb precipitation days=9.5|Mar precipitation days=9.7|Apr precipitation days=8.4|May precipitation days=9.4|Jun precipitation days=10.4|Jul precipitation days=13.5|Aug precipitation days=12.4|Sep precipitation days=8.9|Oct precipitation days=6.5|Nov precipitation days=8.4|Dec precipitation days=10.2|Jan sun=143.3|Feb sun=154.5|Mar sun=184.1|Apr sun=204.9|May sun=216.3|Jun sun=171.3|Jul sun=158.0|Aug sun=204.5|Sep sun=179.5|Oct sun=209.4|Nov sun=166.4|Dec sun=143.2|year sun=2135.4|source 1=대한민국 기상청<ref name= KMA1>{{웹 인용
|metric first = Y
|single line = Y
| Jan high C = 6.1
| Feb high C = 7.8
| Mar high C = 12.0
| Apr high C = 17.8
| May high C = 22.3
| Jun high C = 25.7
| Jul high C = 28.3
| Aug high C = 30.1
| Sep high C = 26.7
| Oct high C = 22.0
| Nov high C = 15.2
| Dec high C = 9.0
|year high C = 18.6
| Jan mean C = 1.7
| Feb mean C = 2.9
| Mar mean C = 6.7
| Apr mean C = 12.3
| May mean C = 17.3
| Jun mean C = 21.4
| Jul mean C = 24.8
| Aug mean C = 26.1
| Sep mean C = 22.2
| Oct mean C = 16.6
| Nov mean C = 10.2
| Dec mean C = 4.4
|year mean C = 13.9
| Jan low C = -1.5
| Feb low C = -0.7
| Mar low C = 2.8
| Apr low C = 8.1
| May low C = 13.3
| Jun low C = 18.1
| Jul low C = 22.3
| Aug low C = 23.2
| Sep low C = 18.8
| Oct low C = 12.5
| Nov low C = 6.3
| Dec low C = 0.8
|year low C = 10.3
| Jan precipitation mm = 33.2
| Feb precipitation mm = 42.4
| Mar precipitation mm = 60.0
| Apr precipitation mm = 69.3
| May precipitation mm = 89.2
| Jun precipitation mm = 173.1
| Jul precipitation mm = 236.7
| Aug precipitation mm = 192.6
| Sep precipitation mm = 147.5
| Oct precipitation mm = 46.9
| Nov precipitation mm = 43.4
| Dec precipitation mm = 29.3
|year precipitation mm = 1163.6
| Jan humidity = 68.7
| Feb humidity = 69.0
| Mar humidity = 67.8
| Apr humidity = 68.0
| May humidity = 72.5
| Jun humidity = 77.8
| Jul humidity = 83.7
| Aug humidity = 80.3
| Sep humidity = 75.8
| Oct humidity = 69.2
| Nov humidity = 67.6
| Dec humidity = 68.7
|year humidity = 72.4
|unit precipitation days = 0.1 mm
| Jan precipitation days = 11.6
| Feb precipitation days = 9.5
| Mar precipitation days = 9.7
| Apr precipitation days = 8.4
| May precipitation days = 9.4
| Jun precipitation days = 10.4
| Jul precipitation days = 13.5
| Aug precipitation days = 12.4
| Sep precipitation days = 8.9
| Oct precipitation days = 6.5
| Nov precipitation days = 8.4
| Dec precipitation days = 10.2
| Jan sun = 143.3
| Feb sun = 154.5
| Mar sun = 184.1
| Apr sun = 204.9
| May sun = 216.3
| Jun sun = 171.3
| Jul sun = 158.0
| Aug sun = 204.5
| Sep sun = 179.5
| Oct sun = 209.4
| Nov sun = 166.4
| Dec sun = 143.2
|year sun = 2135.4
|source 1 = 대한민국 기상청<ref name= KMA1>{{웹 인용
|url=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yy_st=2011&stn=165&norm=M&x=19&y=9&obs=0&mm=5&dd=23
|publisher=대한민국 기상청
|accessdate=2011-05-23
|title=평년값자료 (1981−2010) 목포 (165)}}</ref>
|date=2011-05-23}}
 
== 행정 ==
줄 88 ⟶ 203:
{{참조|목포시장}}
==== 민선 1~2기(33~34대) ====
지방자치제가 시작되면서 민선 1기 시장으로 [[1971년]]부터 목포문화방송 대표이사를 맡던 [[권이담]] 당시 목포시장이 1995년 7월 1일 취임했다. 2선에 성공하면서 2002년까지 목포시장직을 수행했다. 인터뷰 및 본인이 직접 쓴 소논문 <21세기 위대한 목포 건설을 위하여> 등에서는 과거 목포의 영화를 되찾고자 하는 소망을 표명했다. 권이담 시장은 영산강 오염으로 인해 목포시에서 주암댐의 물을 끌어쓰는 등 물문제가 커지자 이에 대한 해결과 [[전남도청]] 이전 계획 성사에 주력했으나 임기 내 전남도청 이전에 대한 확실한 계획을 도출하지는 못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0003261 2002-05-01 오마이뉴스 현직시장 '아름다운 퇴장' ]</ref> 2000년 목포항에서 [[신의주]]로 가는 밀가루 600t을 지원하기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125247 연합뉴스 2002-01-12 목포시, 밀가루 600t 북한 지원]</ref>
==== 민선 3~5기 ====
2002년 지자체 선거를 앞두고 권이담 시장은 [[새천년민주당|민주당]] 지도부와 갈등을 빚었다. 공정 경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무소속 출마를 감행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으나 지원서에 "경선 불공정 시 분담금 1500만원을 돌려달라"는 단서를 달아 목포지구당의 후보등록 무효처리 결정을 받게 된 것이 화근이었다. 이에 후보등록 불공정 시비가 붙으면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102512 국민일보 2002-04-23 "6·13 지방선거 열전지대…목포시장 민주 경선 불공정 시비로 파행"]</ref> 법원까지 오른 논쟁은 법원이 4월 30일 가처분 신청을 기각함에 따라 권이담 시장 측의 민주당 탈당 및 지방선거 출마 포기로 정리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0003308 오마이뉴스 2002-05-01 민주당 목포시장 경선 ‘전태홍’씨 당선]</ref>
줄 151 ⟶ 266:
== 행정 구역 ==
{{본문|목포시의 행정 구역}}
{| class="wikitable sortable" href="서해해양경비안전본부"
| href="목포교도소" |[[파일:Mokpo-map.png|섬네일thumb|700x700픽셀700px|목포시 행정구역]]
|}
 
[[파일:Scenery_of_Mokpo_cityScenery of Mokpo city(South_KoreaSouth Korea).JPG|오른쪽right|섬네일thumb|220x220픽셀220px|목포 시가지 모습]]
목포시는 23개의 행정동과 64개의 법정동으로 구분된다. 면적은 50.12&nbsp;km²으로 [[대한민국]]의 [[도시]]들 중에서 6번째로 작다.<ref>[[구리시]], [[과천시]], [[군포시]], [[광명시]], [[오산시]], 목포시 순이다.</ref> 그로 인해 비수도권에서 가장 작은 면적에 가장 높은 인구밀도가 나타난다. 또한 섬지역은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동으로 편입해 일선 주민 센터에서 관리한다. 현재의 목포시 구획은 1914년 4월 1일 목포부를 분해하여,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기고 부내면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면과 지도군 전역, [[완도군]] 팔금면, [[진도군]] 도초면이 무안군으로 흡수됐고, 그 후 여러 차례 무안군의 지역들을 조금씩 편입시켰다. 하지만 [[1995년]] [[지방자치|지방자치제도]]의 시행으로 인해 더는 편입시키지 못하고 간척으로 인한 면적증가만 이루어졌다.
 
줄 164 ⟶ 279:
=== 행정 구역 목록 ===
[[2016년]] [[3월 31일]]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sortable" href="1995년"
|+
|+ href="지방자치" |
|-
 
! 행정동
! href="하당신도시" | 면적(km<sup href="남악신도시">2</sup>)
! href="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인구(명)
! href="백년대로" | 세대
! href="남악신도시" | 관할 법정동
|-
|- href="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 href="광주가정법원 목포지원" | 원도심권<br /> 인구:135,534 세대:60,458 인구밀도:4,575명/km² 행정동:16동
|-
인구:135,534 세대:60,458 인구밀도:4,575명/km² 행정동:16동
|style=background: colspan=2 align=center|'''구도심권'''||style=background: colspan=1 align=right| 84,602 ||style=background:|40,473 ||
|- href="전라남도교육청"
|-
| colspan="2" style="background:" align="center" href="전남지방경찰청" |'''구도심권'''
| colspan="1" style="background:" align="right" | 84,602
| style="background:" |40,473
| href="2016년" |
|- href="3월 31일"
! style="background:;" | [[용당동 (목포시)|용당1동]]
| style="text-align: right;" |1.45
|- style="text-align: right;" |11,987
| 5,928
| 용당동, 산정동 일부
|-
<tr>
<th! style="background: ;"> | [[용당동 (목포시)|용당2동]]
<td| style="text-align: right;"> |0.9
<td| style="text-align: right;"> |6,244
<td>| 3,121
<td />| 용당동 일부</tr>
|-
! style="background:;" | [[연동 (목포시)|연동]]
줄 197 ⟶ 308:
| style="text-align: right;" |5,623
| 2,952
|- 산정동, 호남동, 용당동 일부
|-
! style="background: ;" href="용당동 (목포시)" | [[산정동 (목포시)|산정동]]
| style="text-align: right;" |0.76
| style="text-align: right;" |8,555
| 3,520
|- 산정동, 연산동, 용당동 일부
|-
! style="background:;" href="용당동 (목포시)" | [[대성동 (목포시)|대성동]]
| style="text-align: right;" |0.34
| style="text-align: right;" |4,686
| 2,192
|- 대성동, 호남동, 산정동, 양동 일부
|-
! style="background: ;" href="연동 (목포시)" | [[목원동]]
| style="text-align: right;" |1.48
| style="text-align: right;" |9,656
| 5,134
|- 북교동, 남교동, 죽교동, 달성동, 양동, 상락동1가, 상락동2가<br />호남동, 무안동, 측후동, 죽동, 명륜동, 대안동, 창평동, 산정동
|-
호남동, 무안동, 측후동, 죽동, 명륜동, 대안동, 창평동, 산정동
|- href="산정동 (목포시)"
! style="background: ;" | [[동명동 (목포시)|동명동]]
| style="text-align: right;" |0.79
| style="text-align: right;" |6,487
|- 3,285
| 동명동, 광동, 호남동, 산정동
|-
|- href="대성동 (목포시)"
! style="background:;" | [[삼학동 (목포시)|삼학동]]
| style="text-align: right;" |0.75
| style="text-align: right;" |6,627
|- 2,683
| 삼학동
|-
|- href="목원동"
! style="background: ;" | [[만호동]]
| style="text-align: right;" |0.94
| style="text-align: right;" |3,883
<td />| 2,245
|-만호동, 수강동, 항동, 중앙동, 금동, 경동, 중동, 해안동, 복만동<br />행복동, 영해동, 대의동, 보광동, 축복동, 유동, 산정동 일부
|-
행복동, 영해동, 대의동, 보광동, 축복동, 유동, 산정동 일부
|- href="동명동 (목포시)"
! style="background: ;" | [[유달동]]
| style="text-align: right;" |12.50
| style="text-align: right;" |5,865
|- 3,275
|유달동, 율도동, 온금동, 서산동, 금화동, 죽교동, 달동, 중앙동1가<br />중앙동2가, 중앙동3가, 대의동1가, 대의동 2가, 대의동 3가<br />경동1가, 경동2가
중앙동2가, 중앙동3가, 대의동1가, 대의동 2가, 대의동 3가<br>
경동1가, 경동2가
|-
! style="background: ;" | [[죽교동]]
|- style="text-align: right;" |0.75
| style="text-align: right;" |4,008
| href="만호동" | 2,115
|죽교동, 대성동, 산정동 일부
|-
! style="background: ;" | [[이로동 (목포시)|이로동]]
<td| style="text-align: right;" />|1.93
|- style="text-align: right;" |10,981
| 4,023
| href="유달동" | 용해동 일부
|-
| colspan="2" style="background:" colspan=2 align="center" |'''북항·용해도심권'''||style=background: colspan=1 align=right|50,932 ||style=background:|19,985 ||
| colspan="1" style="background:" align="right" |50,932 <td style="background:" />19,985 <td />
|-
! style="background: ;" | [[북항동]]
줄 276 ⟶ 382:
| style="text-align: right;" |6,740
|2,388
|- 산정동, 연산동, 용당동 일부
|-
! style="background: ;" href="북항동" | [[원산동 (목포시)|원산동]]
| style="text-align: right;" |0.62
| style="text-align: right;" |15,116
| 6,112
|- 연산동, 산정동 일부
|-
!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 href="용해동" | 하당도심권<br /> 인구:102,916 세대:40,803 인구밀도:4,549명/km² 행정동:7동
인구:102,916 세대:40,803 인구밀도:4,549명/km² 행정동:7동
|-
| colspan="2" style="background:" colspan=2 align="center" |'''하당도심권'''||style=background: colspan=1 align=right| 78,469 ||style=background:|31,920 ||
|- colspan="1" style="background:" align="right" | 78,469
| style="background:" |31,920
| href="연산동 (목포시)" |
|-
! style="background: ;" | [[상동 (목포시)|상동]]
| style="text-align: right;" |3.12
|- style="text-align: right;" |19,720
| 8,183
| href="원산동 (목포시)" |상동, 석현동
|-
! style="background: ;" | [[하당동]]
| style="text-align: right;" |1.20
|- style="text-align: right;" |12,116
| 5,811
<td />|상동, 석현동
|-
! style="background:;" | [[신흥동 (목포시)|신흥동]]
줄 308 ⟶ 410:
| style="text-align: right;" |17,794
| 6,801
|-상동
|-
! style="background: ;" href="상동 (목포시)" | [[삼향동]]
| style="text-align: right;" |7.7
| style="text-align: right;" |5,558
| 2,318
|-대양동, 삼향동, 석현동
|-
! style="background: ;" href="하당동" | [[옥암동]]
| style="text-align: right;" |2.58
| style="text-align: right;" |11,458
|4,164
|-옥암동 일부
|-
! style="background: ;" href="신흥동 (목포시)" | [[부흥동 (목포시)|부흥동]]
| style="text-align: right;" |2.79
| style="text-align: right;" |11,823
|4,643
|-옥암동 일부
|-
| colspan="2" style="background:" aligncolspan="center"2 hrefalign="삼향동" center|'''남악도심권'''||style=background: colspan=1 align=right| 24,447 ||style=background:|8,388 ||
| colspan="1" style="background:" align="right" | 24,447
| style="background:" |8,388
|
|-
! style="background: ;" | [[부주동]]
줄 371 ⟶ 470:
그리고 2006년 목포시가 총액 인건비제 시범 자치단체로 선정됨으로써 목포시는 당시의 행정자치부(현재의 행정안전부)가 사무관 수를 늘리지 않는 조건으로 1국 신설을 승인해주기로 함에 따라 목포시 본청의 1개의 국과 4개의 과가 신설되었고, 국장급에 해당하는 서기관의 수가 1명 늘어났으나 과장 및 동사무소의 동장에 해당하는 사무관의 수는 그대로 두게 됨으로써 본청에 늘어난 사무관의 수만큼의 동사무소(현재의 동 주민센터)를 감축하게 되었다.<ref>[http://www.mokpombc.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23984&sca=%B4%BA%BD%BA%C5%F5%B5%A5%C0%CC&sfl=wr_content&stx=%BC%AD%B1%E2%B0%FC+%BB%E7%B9%AB%B0%FC&sop=and 목포MBC 뉴스투데이 보도 내용]</ref> 이에 따라 2006년 8월 7일 무안동과 북교동 그리고 남양동이 목원동이라는 이름으로 통폐합되고, 산정2동이 용당1동에, 충무동이 유달동에 흡수되었고, 산정1동과 산정3동이 각각 연동과 산정동으로 개칭됨으로써 22개 행정동이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이때에 시청조직이 확대되면서 본청의 사무실이 부족하게 되어 상하수도사업단이 지금의 별관 에 자리 잡게 되었다. 2012년 1월 25일 남악신도시 옥암지구(옥암동 일부, 부흥동 일부)가 부주동으로 분동되었다. 처음에는 남악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려고 했으나 2차에 걸친 주민 설문조사에서 87%가 찬성함에도 무안군의회의 반발과 목포시의회의 제동으로 남악동 명칭을 포기하고, 부주동으로 정하게 됐다.<ref>[http://media.daum.net/press/view.html?cateid=1065&newsid=20111010150016482&p=yonhappr 목포 남악신도심 지역 주민, '남악동' 신설 압도적으로 원해]</ref><ref>[http://media.daum.net/society/nation/jeolla/view.html?cateid=100009&newsid=20111208143635563&p=newsis 목포시 신설동 명칭 '남악동' 무산…'부주동'으로 확정]</ref>
 
현 신도심의 경우에는 과거 본래 목포부(시) 이로면의 지역으로 예부터 내려온 지역으로 구전에 의하면 하당을 창꼬지라 하였는데 창꽃 위쪽에 있다 하여 윗마을, 윗동네 또는 상리(지금의 상동)라 칭하였다고 한다. 1994년 7월 6일 목포시 규칙 제1137호에 의거 상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ref>[http://www2.mokpo.go.kr/home/www/introduction/mokpodong/hadang/hadang1/?dong_no=18 목포시 하당동, 상동, 신흥동 기본현황 참조]</ref> 상동 일대를 토대로 1997년 하당동과 신흥동으로 분리되면서 현재의 하당신도심이 생겨났다. 하당 택지개발은 1999년까지 완료됐으며 석현공단을 중심으로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2003년 초반까지 조성되면서 유통과 교통의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성장 잠재 요인이었던 전남도청 이전과 무안국제공항 건설로 아파트 건설 활기는 더욱 늘어났다.<ref name="'목포지방"'>[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0014205 "(지방 아파트) 내달 지방 16곳 12,500가구 분양"] 매일경제 2000-05-29</ref> 그러나 신도심 개발 직후부터 아파트 건설 현상이 마무리 될 즈음 숙박업소가 무분별하게 들어서 신도심에만 60여 곳이 넘는 모텔이 생겨났다. 기존에 숙박지구처럼 꾸밀 계획과는 달리 러브호텔이 지나치게 생겨나면서 시민들의 원성이 높아졌다. 그렇지만 시 당국의 노력은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ref name="'하당"'>[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47&aid=0000013642 목포시 하당신도심 러브호텔 '천국'] 오마이뉴스 2002-10-07</ref>
 
=== 행정 구역 통합 문제 ===
줄 389 ⟶ 488:
 
{| class="wikitable"
 
!연도
! 인구(명)
! 가구(세대)
! 인구밀도(명/km²)
! href="무안군" | 세대당 인구(명)
|- href="신안군"
| href="해남군" |[[1961년]]
|127,252명 {{막대|청|2|8}}
|22,355 {{막대|녹|2|2}}
| align="center" | -
| align="center" href="남악신도시" |5.69
|- href="남악신도시"
| href="전라남도청" |[[1966년]]
| href="삼향읍" |162,491명 {{막대|청|4|3}}
|28,309 {{막대|녹|2|8}}
| align="center" |7,006
| align="center" |5.74
|-
!연도|| 인구(명) || 가구(세대) || 인구밀도(명/km²) || 세대당 인구(명)
|[[1970년]]||177,801명 {{막대|청|4|5}}||32,937 {{막대|녹|3|2}}
|-
| align="center" |6,849
|[[1961년]]||127,252명 {{막대|청|2|8}}||22,355 {{막대|녹|2|2}}||align="center"|-||align="center"|5.69
| align="center" href="1961년" |5.40
|-
|[[1966년]]||162,491명 {{막대|청|4|3}}||28,309 {{막대|녹|2|8}}||align="center"|7,006||align="center"|5.74
|-
|[[1970년]]||177,801명 {{막대|청|4|5}}||32,937 {{막대|녹|3|2}}||align="center"|6,849||align="center"|5.40
|-
|[[1975년]]||192,927명 {{막대|청|5|1}}||39,236 {{막대|녹|3|9}}||align="center"|5,885||align="center"|4.92
|[[1975년]]
|192,927명 {{막대|청|5|1}}||39,236 {{막대|녹|3|9}}
| align="center" |5,885
| align="center" href="1966년" |4.92
|-
|[[1980년]]||221,856명 {{막대|청|6|1}}||46,577 {{막대|녹|4|6}}||align="center"|6,313||align="center"|4.76
|[[1980년]]
|221,856명 {{막대|청|6|1}}||46,577 {{막대|녹|4|6}}
| align="center" |6,313
| align="center" href="1970년" |4.76
|-
|[[1985년]]||236,078명 {{막대|청|7|3}}||51,722 {{막대|녹|5|1}}||align="center"|6,708||align="center"|4.56
|[[1985년]]
|236,078명 {{막대|청|7|3}}||51,722 {{막대|녹|5|1}}
| align="center" |6,708
| align="center" href="1975년" |4.56
|-
|[[1990년]]||253,423명 {{막대|청|9|0}}||57,831 {{막대|녹|5|7}}||align="center"|5,557||align="center"|4.40
|[[1990년]]
|253,423명 {{막대|청|9|0}}||57,831 {{막대|녹|5|7}}
| align="center" |5,557
| align="center" href="1980년" |4.40
|-
|[[1995년]]||239,571명 {{막대|청|8|1}}||69,868 {{막대|녹|6|9}}||align="center"|5,206||align="center"|3.42
|[[1995년]]
|239,571명 {{막대|청|8|1}}||69,868 {{막대|녹|6|9}}
| align="center" |5,206
| align="center" href="1985년" |3.42
|-
|[[2000년]]||245,831명 {{막대|청|8|8}}||79,378 {{막대|녹|7|9}}||align="center"|5,223||align="center"|3.10
|[[2000년]]
|245,831명 {{막대|청|8|8}}||79,378 {{막대|녹|7|9}}
| align="center" |5,223
| align="center" href="1990년" |3.10
|-
|[[2005년]]||242,998명 {{막대|청|8|7}}||88,849 {{막대|녹|8|8}}||align="center"|5,070||align="center"|2.73
|[[2005년]]
|242,998명 {{막대|청|8|7}}||88,849 {{막대|녹|8|8}}
| align="center" |5,070
| align="center" href="1995년" |2.73
|-
|[[2010년]]||247,442명 {{막대|청|8|8}}||98,181 {{막대|녹|9|3}}||align="center"|4,940||align="center"|2.52
|[[2010년]]
|247,442명 {{막대|청|8|8}}||98,181 {{막대|녹|9|3}}
| align="center" |4,940
| align="center" href="2000년" |2.52
|-
|[[2015년]]||239,403명 {{막대|청|8|4}}||99,366 {{막대|녹|9|7}}||align="center"|4,776||align="center"|2.38
|[[2015년]]
|239,403명 {{막대|청|8|4}}||99,366 {{막대|녹|9|7}}
| align="center" |4,776
| align="center" href="2005년" |2.38
|-
|[[2016년]]||238,450명 {{막대|적|8|3}}||100,766 {{막대|녹|9|8}}||align="center"|4,757||align="center"|2.36
|[[2016년]]
|238,450명 {{막대|적|8|3}}||100,766 {{막대|녹|9|8}}
| align="center" |4,757
| align="center" href="2010년" |2.36
|}
 
줄 484 ⟶ 539:
목포는 도농복합형 도시가 아닌 단일 도시로서 외곽 지역에 간간히 농가가 나타나지만 대규모가 아닌 0.5ha 미만의 농가가 총 1,326가구 중 459가구를 차지한다. 쌀이나 보리, 콩 중에서 콩류의 생산량이 그나마 많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목포시 통계연표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계속적으로 [[참외]], [[오이]], [[토마토]] 등 과채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참깨 등 특용작물의 생산량도 증감을 반복하고는 있으나 지속적인 생산세를 보이고 있다.
 
[[파일:SquidDrying.jpg|섬네일thumb|220x220픽셀220px|[[홍어]]를 말리는 모습(목포시 소재)]]
목포항에는 수많은 어선이 정박해있다. 어선들은 [[흑산도]] 연안으로 나가 흑산 [[홍어]]를 잡아 팔거나 [[갈치]]를 파는 어선이다. 목포 거주 어민 수는 2005년 2,727명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목포 연안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수산물은 어류로서 2006년 기준 26,862톤의 어획고를 올렸다. [[갑각류]]와 [[연체동물]], [[해조류]]가 그 뒤를 이으며 세발낙지로 대표되는 연체동물의 수획고는 한때 1,000톤에도 미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으나 2004년부터 호조세로 돌아섰다.<ref>농어업 부분은 목포시 2007년 통계연표를 참조해 작성한 것임을 밝힙니다.</ref>
 
줄 499 ⟶ 554:
광복 이후에는 목포역 일대의 구도심에 모든 기능이 집중되어 문화시설 및 상업 기능이 모두 이루어졌다. 그러나 새로 생겨난 연산동 위주로 아파트 단지가 대거 들어서고 1999년부터 하당신도시가 생겨나면서 상당 부분의 인구 유출로 신도시 인근의 상권이 대두되고 원도심의 시내는 계속된 도심공동화 현상을 겪게 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0102027& 목포시, 전국 최초 '원도심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ref> 원도심의 상업 기능은 상당 부분 상실되어 식품 및 주류 업소들도 거의 자리를 옮겼다. 상권이 줄어들면서 시에서는 오래전부터 대책마련에 고심했으며 원도심 활성화 조례까지 제정했다. 그러나 인구 유출이 많이 진행된 상태고 구도심과 신도심 사이의 거리 차이로 인해 쉽사리 회복되지 않고 있다.<ref>[http://www.asiae.co.kr/uhtml/read.jsp?idxno=2009021814394289765 원도심활성화, 또 하나의 신도시건설] 아시아경제 2009-02-19</ref>
 
[[파일:Mokpo_Sushi_CenterMokpo Sushi Center.jpg|섬네일thumb|220x220픽셀220px|북항 지역에 밀집해 있는 회 음식점들. 일명 '북항회센터'.]]
전통적으로 구도심에 있었던 목포역 상권과 중앙시장을 중심으로 한 여러 시장은 시민들이 소비를 하는 중추로 꼽혀왔다. 인근에 유일한 백화점이었던 화니백화점이 있었으나 [[IMF 위기]]를 겪으며 화니백화점을 문을 닫았고 중앙극장이 되었다가 현재는 다른 업종으로 변경되어 각 층별로 별도 점포가 영업을 하고 있다. 더욱이 상업 기능의 대부분을 담당하던 구도심은 [[이마트]](2000.12), [[롯데마트]](2001), [[농협]] [[농협유통#.EB.86.8D.ED.98.91농협 .ED.95.98.EB.82.98.EB.A1.9C.ED.81.B4.EB.9F.BD하나로클럽|농수산물유통센터]](2003.08)가 각각 하당 석현지구, 하당 [[평화광장]], 하당 석현지구 근처에 개점하면서 기능을 상실하게 됐고 목포역 주변에 있던 코렉스 마트(2004년 폐점)도 문을 닫기에 이르러 대형할인점의 경우 2008년 1월 17일 문을 연 [[홈플러스]] 목포점이 용당동 인근에 있어 신도심이 아닌 곳에 있는 것으로는 유일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1890613 2008-01-11 "삼성 홈플러스 목포점 17일 개점"]</ref> 이제 구도심 인구가 장을 보기 위해 시장 대신 하당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상이다. 다만 여객선터미널 인근에 있는 동명어시장 및 북항에 어시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 홍어나 낙지를 찾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구도심활성화와 재래시장을 돕기 위해 시 당국은 재래시장 상품권을 도입하는 한편 각 시장의 자율권을 살려 문화교실을 도입하는 방편으로 재래시장 되살리기에 나서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508116 목포시 재래시장상품권 인기몰이 `왜?'] 2009-02-18</ref> 비케이큐브 사와 목포시와의 소송전 끝에 광주고검의 상고 포기 지휘로 결국 건축 허가를 내주고, 하당 포르모큐브 옆 부지에 비케이큐브의 대형할인마트가 들어서게 됐다.<ref>[http://media.daum.net/politics/administration/view.html?cateid=1017&newsid=20120109144710147&p=yonhap '법정 다툼' 목포 신도심 대형마트 허가]</ref><ref>[http://media.daum.net/society/nation/others/view.html?cateid=100011&newsid=20120109143010352&p=moneytoday 목포시, 3년 만에 대형마트 건축허가…광주고검 상고포기 지휘]</ref>
2016년 12월 22일에는 [[남악신도시]]에 [[롯데아울렛]] 남악점과 [[롯데마트]] 남악점이 새로 오픈하면서 대형 할인점들끼리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줄 541 ⟶ 596:
=== 철도 교통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href="하당신도시"
|-
 
! [[목포역]]
| [[호남본선]]
| ||align="center" |[[호남고속철도|KTX]] [[새마을호|새마을]] [[무궁화호|무궁화]]
|
| align="center" |[[호남고속철도|KTX]] [[새마을호|새마을]] [[무궁화호|무궁화]]
| [[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행신역|행신]]·[[용산역|용산]]·[[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서대전역|서대전]]·[[광주송정역|광주송정]]·[[나주역|나주]]
|-
|- href="롯데마트"
! [[임성리역]]
| [[호남본선]]
| ||align="center" | [[무궁화]]
|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구포역 (한국철도공사)|구포]]·[[창원역|창원]]·[[광주송정역|광주송정]]·[[광주역|광주]]
| align="center" href="롯데슈퍼" | [[무궁화]]
|-
| href="롯데슈퍼"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구포역 (한국철도공사)|구포]]·[[창원역|창원]]·[[광주송정역|광주송정]]·[[광주역|광주]]
|- href="농협유통"
|}
[[파일:Korail_Honam_Line_Mokpo_StationKorail Honam Line Mokpo Station.jpg|섬네일thumb|220x220픽셀220px|목포역]]
[[목포역]]은 [[1913년]] [[5월 15일]] [[호남선]] 목포역 - [[함평역]] 간 운행이 시작되면서 보통역으로 출범했다. [[호남선]]의 종착역이자 수탈의 아픔을 지닌 역으로서 현재에는 연간 120만명의 여객 수송을 담당하며 호남권 물류를 담당하고 있다.<ref>[http://www.daos.net/railway/info.htm?code=180 다오스 기차역]</ref>
 
줄 567 ⟶ 620:
 
=== 도로 교통 ===
[[파일:국도1,2호선시작점.JPG|오른쪽right|섬네일thumb|293x293픽셀220px|국도1, 2호선 시작점 기념비]]
주된 교통은 승용차 및 시내버스, 시외버스가 있다. 또한 국도 제1,2호선, 서해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로 전국각지와 연결되어 있다.
 
줄 576 ⟶ 629:
 
{| border="1" cellpadding="5" style="border: 1px #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 colspanalign="15left" aligncolspan="left15" style="padding:2px 2px 2px 2px;" href="호남선" |<div style="background-color:#ddeecc; padding:4px 4px 4px 8px;" href="2020년대">[[대한민국의 고속도로|고속도로]]</div>
|-
|- href="오송역"
! align="center" style="padding:4px 10px 4px 10px; font-size:9pt;" href="ITX-새마을"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속국도|10}}
| align="left" style="padding:4px 20px 4px 10px; font-size:10pt;" href="광주역"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목포 나들목]])''' ↔ [[국도 제2호선]] [[무영로]] ([[죽림 분기점]] ↔ [[남악 나들목]]) ↔ [[서영암 나들목]]
|-
!align="center" style="padding:4px 10px 4px 10px; font-size:9pt;"|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속국도|15}}
|align="left" style="padding:4px 20px 4px 10px; font-size:10pt;"|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
! align="center" style="padding:4px 10px 4px 10px; font-size:9pt;" href="파일:국도1,2호선시작점.JPG"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속국도|15}}
| align="left" style="padding:4px 20px 4px 10px; font-size:10pt;"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 href="8월 24일"
|}
 
==== 국도 ====
[[일제 강점기]] 최초로 건설된 도로인 [[국도 제1호선]]은 목포에서 출발해 [[신의주시|신의주]]까지를 잇는 도로지만 [[한국 전쟁]] 이후 잠시 국도의 구간이 [[임진각]]까지 끊어지기도 했다. [[2000년]] 착공한 경의선 도로 연결 공사를 통해 다시 [[개성특급시]]와 이어졌다.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목포IC에서 빠져나와 국도를 타고 들어가면 [[목포여객선터미널|여객선터미널]]에 닿을 수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8&aid=0000190375& 2003-07-08 한국일보, "길과사람 차로 바다건너 병어·민어회 '실컷'" ]</ref>
[[부산광역시]]와 연결하는 [[국도 제2호선]]이 예전엔 국도 제1호선과 같이 목포기점이었으나 신안기점으로 바뀌면서 본 노선이였던 [[녹색로]]가 국도 제2호선에서 해제되고 [[고하대로]]부터 [[무영로]]로 바뀌었다. 또한 [[국도 제77호선]]이 [[해남군]] [[화원면]]부터 목포시 [[유달동]]의 [[달리도]], [[율도 (목포시)|율도]]를 거쳐 [[신안군]] [[압해읍]]로 이어질 예정이다.
{| border="1" cellpadding="5" style="border: 1px #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href="국도 제2호선"
! colspanalign="10left" aligncolspan="left10" style="padding:2px 2px 2px 2px;" href="무영로" |<div style="background-color:#ddeecc; padding:4px 4px 4px 8px;" href="죽림 분기점">[[대한민국의 도로|일반 도로]]</div>
|-
|- href="서영암 나들목"
|- !align="center" style="padding:4px 10px 4px 10px; font-size:9pt;"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국도|1}}
<td |align="left" style="padding:4px 20px 4px 10px; font-size:8pt;">| [[고하대로]], [[영산로]]</td>
! align="center" style="padding:4px 10px 4px 10px; font-size:9pt;" href="국도 제1호선"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국도|2}}
| align="left" style="padding:4px 20px 4px 10px; font-size:8pt;" href="목포 나들목" | [[녹색로]](옛 노선), [[압해로]], [[고하대로]], [[무영로]]
! align="center" style="padding:4px 10px 4px 10px; font-size:9pt;" href="일제 강점기"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국도|77}}
| align="left" style="padding:4px 20px 4px 10px; font-size:8pt;" href="신의주시" | 예정중
! align="center" style="padding:4px 10px 4px 10px; font-size:9pt;" href="한국 전쟁"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지방도|820}}
| align="left" style="padding:4px 20px 4px 10px; font-size:8pt;" href="2000년" | [[임성로]]
|-
|- href="서해안고속도로"
|}
 
줄 609 ⟶ 662:
2005년부터 천연가스버스(CNG)를 연차적으로 확대 시행, 2007년 3월 1일에는 모든 노선에 무료환승제를 도입했다.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외곽버스, [[좌석버스]]로 구분해 시행하게 됐으며 서울과 같은 교통카드 무료 환승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됐다. 전라남도 최초로 [[저상버스]]를 2007년 도입해 현재 운영 중이다.
 
[[2008년]]부터 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시에서 추진해 왔지만 시민단체들은 시가 지나치게 시내버스에 지원을 쏟아부으면서 지방세 재정을 낭비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서비스가 개선되지 않은 채 버스회사만 배불릴 수 있다는 이유였다. 목포경실련은 2003년부터 버스 요금이 연간 12%꼴로 오른데다 적자를 메꿔준다는 명목으로 20억을 지원했음에도 경영 실적이 나아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시가 더 큰 비용을 부담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ref>[http://www.dailian.co.kr/news/n_view.html?id=128113&sc=naver&kind=menu_code&keys=25 데일리안 2008-10-01 "목포경실련, 시내버스 준공영제 “사회적 합의가 우선" ]</ref>
 
[[2012년]]에는 목포시가 국토해양부으로부터 목포-무안권역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사업에 선정되어 목포지역에도 [[버스정보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ref>[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427942&thread=09r02 목포-무안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선정돼]</ref> 2011년부터 목포시가 주축이 되어 인근 [[무안군|무안]]·[[신안군|신안]]·[[영암군]]과 광역버스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협의를 하였으나, 무안군만이 참여 의사를 밝혀 목포시와 무안군이 광역 버스정보시스템 구축계획을 수립, 2011년 11월에 국토해양부에 제출하여 심사결과 2012년 광역 BIS 구축 지원 자치단체로 선정되었다. 사업범위는 총 14억으로, 국비 4억 2000만원, 지방비 9억 8000만원(목포 8억4000만원 · 무안 1억4000만원)이다. 목포~무안 광역노선 8개 노선과 목포시·무안군 일원 12개 노선 등 총 20개 노선에 정류소 안내기 43곳, 차량단말기 170대, 버스정보센터 1식이 설치되었고, [[2013년]] [[11월 23일]]에 개통하였다.<ref>[http://news1.kr/articles/1434275 목포-무안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개통]</ref>
줄 620 ⟶ 673:
{{참고|목포공항}}
 
<p>[[목포공항]]이 인근 영암군에 있어 [[서울특별시|서울]]과 항공편으로 연결되었지만 목포공항은 잦은 안개와 활주로 시설 미비로 여러 어려움을 겪어왔다. 더군다나 [[1993년]] [[아시아나항공]]의 추락사고로 국정 감사를 받았지만 활주로 50m 확장에 그쳤다. 결국 이러한 목포공항의 문제점과 광주공항의 시내문제점 등으로 인해 전남 서남권 신공항인 [[무안국제공항]]을 완공하여 운영하고 있다.</p>
 
2013년 [[대한민국 국회|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무안국제공항의 경우 2012년 -79억2100만원으로 수익은 증가하고 있으나 적자가 심각한 상태이다. 2011년에 비해 부채비율이 40,9%에서 20.2%로 줄어들고 있는 상태이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1015_0012434605&cID=10809&pID=10800 광주·무안·여수공항 적자 '헉헉'] 뉴시스 2013-10-15</ref> [[일본]] [[후쿠오카]]에 기반한 저가항공사 부정기 취항이 2013년 9월부터 시작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472887 무안국제공항, 일본 저비용항공사 21일 취항] 연합뉴스2013-09-08</ref>
 
=== 해상 교통 ===
[[파일:Coastal_area_around_MokpoCoastal area around Mokpo.JPG|오른쪽thumb|섬네일220px|220x220픽셀오른쪽|[[유달산]]에서 본 목포 앞바다]]
목포에는 국내 연안 및 해외를 연결하는 [[목포항]]의 [[목포여객선터미널]]과 농협 철부선이 다니는 목포 북항이 있다. 목포여객선터미널은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과 목포항국제여객터미널로 분리되어 있고, 국내 여객항로는 [[흑산도]], [[홍도]], [[제주도]] 및 신안군 도서 지역을 연결하는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담당한다. 목포항국제여객터미널은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상하이]]로 국제여객선이 공식취항식을 갖고 국내 유일 상하이행 배편으로 출범하였지만 현재는 여객선 운항이 중단된 상태다.
 
줄 632 ⟶ 685:
== 문화 ==
=== 목포권 관광 ===
[[파일:Yudalsan_Mokpo_at_NightYudalsan Mokpo at Night.jpg|섬네일thumb|220x220픽셀220px|야간조명이 설치된 유달산의 야경]]
[[파일:Downtown_of_MokpoDowntown of Mokpo.jpg|섬네일thumb|293x293픽셀220px|루미나리에가 설치된 목포 구시가지]]
[[파일:Korean_marine_relic_pavilionKorean marine relic pavilion,_Mokpo Mokpo.JPG|섬네일thumb|220x220픽셀220px|국립해양유물전시관]]
[[파일:Mokpo_MusicfountatinMokpo Musicfountatin.jpg|섬네일thumb|330x330픽셀220px|목포 춤추는 바다분수]]
목포역 인근에 있는 [[유달산]]은 목포의 자랑이자 상징과 같다. 유달산은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병풍처럼 보인다 해서 금강산의 여름 별칭인 개골산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4~5월에는 유달산 꽃축제가 열려 수많은 인파가 몰린다. 유달산의 볼거리는 정상에 올랐을 때 보이는 [[다도해]] 절경에 있다. 유달산은 228m로 그 높이가 낮지만 목포시 한가운데서 보는 다도해의 절경이 아름다우며 [[낙조대]]로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줄 652 ⟶ 705:
목포시티투어 버스는 목포역 앞에서 운행하며 월요일을 빼고 매일 운행한다. 오전 9시에 출발해 오후 3시에 끝나는 일정으로 11곳의 주요 명소를 순회한다. 유달산 일대와 갓바위 일대에서 축제 및 공식 행사가 있을 경우 버스편이 증편된다.<ref>[http://tour.mokpo.go.kr/ 목포시티투어 항목 참조]</ref> 목포시청은 KTX를 이용한 시티투어 상품을 위해 목포-용산 고속철 열차 1칸을 목포시티투어 패키지 관광용으로 운영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8&aid=0000227218& 2004-0401 "고속철 관련 여행상품 '봇물'"]</ref>
 
하당 택지개발은 1999년까지 완료됐으며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2003년 초반까지 조성되면서 목포의 유통과 교통의 신중심으로 성장하였다. 그 후로도 [[전남도청]] 이전과 [[무안국제공항]] 건설로 아파트 건설 활기는 더욱 늘어났다. 도시민의 많은 유동인구와 바다가 선물한 시원한 공기와 풍치는 타지역에 관광명소로 소문이 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숙박업소가 무분별하게 들어서 신도심에만 60여 곳이 넘는 [[모텔]]이 생겨났다. 기존에 숙박지구처럼 꾸밀 계획과는 달리 [[러브호텔]]이 지나치게 생겨나면서 시민들의 원성이 높아졌지만 시 당국의 노력은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ref name="'목포지방" '/><ref name="'하당" '/> [[하당신도시]]에서 바다와 면하는 넓고 시원한 [[평화광장]]은 특히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어 신목포의 관광 중심지 중의 하나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한편 목포는 신안, 진도, 완도 등 많은 도서지역으로 들어가는 주요 교통 중심지이기도 하다. [[신안군]]은 [[흑산도]], [[홍도]]를 제외한 13개 읍·면 섬 25개를 [[연륙교]], [[연도교]]로 잇는 '다이아몬드 섬 프로젝트'에 3조 2천억 원을 투입해 빠르면 2022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2009년 7월 22일 밝혔다. 특히 [[압해도]]와 [[암태도]]를 잇는 연도교인 "[[새천년대교]]가 완공되면 서남해안 일대의 주요 산업지역과 관광단지를 하나로 묶는 '랜드마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된다"며 "배 대신 차를 타고 들어가 천혜의 자연경관을 즐기게 된다"고 말했다.
줄 658 ⟶ 711:
이런 연륙교 연도교 건설프로젝트는 [[완도]] · [[진도 (진도군)|진도]] 지역에서도 이뤄질 계획이기에 신 해양관광시대에 관광도시로써의 목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06/02/0200000000AKR20090602100600054.HTML?did=1179m 완도-고흥 섬 7곳, 다리로 연결한다] 연합뉴스 2009-06-02</ref>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는 2025년까지 해남군 산이면 구성리 일대 2187만m<sup href="2008년 8월">2</sup>에 4조9000억원을 투자, 인구 1만8300명이 거주하는 관광 · 레저 · 문화 · 주거 · 산업 · 교육 등 다양한 기능을 두루 갖춘 자족적인 관광 · 레저 기업도시로 조성한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72393781 전남 서남해안관광도시 연말 착공] 한경데일리 2010-07-23</ref> 목포는 그 배후 중심 도시로써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 관광지 ====
줄 695 ⟶ 748:
 
=== 언론 기관 ===
<p>목포에는 [[KBS목포방송국]]과 [[목포문화방송]] 외 여러 언론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지역방송으로는 최초로 설립되어 목포 연동육교(소방파출소 인근) 산자락에 있던 것을 용당동 시청 사옥 옆으로 이전해 지금에 오고 있다. 목포문화방송은 1967년 무선국 가허가를 받은 뒤 이듬해 목포라디오(RMB)로 개국하면서 시작됐으며 호출부호 HLAM, 주파수 1386kHz였다. 목포문화방송은 과거 민중 항쟁 당시 민중의 소리를 담았으며 1980년 광주민주항쟁으로 시설이 피습당해 5월 31일까지 방송을 중단하기도 했다. [[1988년]] 현재 용당동 신사옥을 준공해 이전했으며 1999년 89.1MHz로 표준FM을 개국하여 방송을 시작했다.<ref>[http://www.mokpombc.co.kr/sub07_mbc/sub0702.html 목포문화방송 회사연혁]</ref></p>
 
종교계통 방송으로는 유일한 [[목포극동방송]]은 호남 서남부를 관할하며 1999년 개원해 전파 송출을 담당하며 전라권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유선방송 사업자로 한국케이블TV 호남방송이 있다. 신문사업자로 목포투데이와 목포시민신문 등이 있다.
 
=== 문화·체육 시설 ===
[[파일:Mokpo_Art_CenterMokpo Art Center.JPG|섬네일thumb|220x220픽셀220px|목포 문화예술회관]]
용당동 용당로에 자리한 [[목포유달경기장]]은 [[1987년]] 9월 목포실내수영장과 함께 개관하였으며 총 부지 면적 65,964m<sup>2</sup>, 천연잔디구장(69×97m), 8레인의 우레탄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장 뒤편에는 정구장과 테니스장이 있어 지역 스포츠 동호회의 활동이 잦다. 경기장 1층에는 핸드볼, 태권도 등 다양한 종목 협의회가 들어서 있다. 유달경기장과 실내체육관을 바탕으로 목포시는 2004년부터 시 체육회와 함께 동계전지훈련 유치를 위해 뛰어왔다. 홍보 결과에 힘입어 2004년 12월에서 이듬해 2월에까지 축구, 육상, 유도, 경정 등 127개팀 5,912명을 유치했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258574 한국일보 2004-11-23 "스포츠 동계훈련 목포로 오세요"]</ref> 앞으로 그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05년부터 투척 종목만을 다루는 목포전국육상대회가 시작되면서 선수들의 발길이 더욱 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0108469& 2006-02-03 2006 목포 전국육상경기대회 개최 ]</ref> 2009년 8월 23일부터 한중일 주니어 기능경기대회가 목포에서 열리게 됨에 따라 시설 정비가 이뤄져<ref>[http://mokpombc.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63609&sca=%B4%BA%BD%BA%C5%F5%B5%A5%C0%CC&spt=-61129&page=7 목포MBC 2008-11-28 "목포 유달경기장 리모델링 추진"]</ref> 트랙을 비롯한 내부 시설 증강 및 외벽 철거가 이뤄졌다.
 
이외에도 유달산, 양을산, 입암산 등 지역의 산 일대에는 주민들을 위한 체육 공원이 간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과거 철도 노선이 도시를 관통하던 것이 석현동 일대로 빠지면서 철로를 철거하고 연동 육교에서 버스터미널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인 정비가 이뤄졌다. 이를 통해 버스터미널과 구 동목포역사 일대에 근린 공원이 조성되어 주민들의 걷기 운동을 돕는 산책로가 정비되었다.
줄 765 ⟶ 818:
구 목포상업고등학교(현 전남제일고)는 1920년 [[목포공립상업학교]]로 설립돼 1920년 개교<ref>[http://www.jeonnamjeil.hs.kr/frame1-5.htm?mode=1 전남제일고등학교 연혁소개]</ref> 했으며 [[김대중]] 전대통령의 모교이다. 1941년 지역 유지이던 [[문재철]]이 문태학원을 설립해 [[문태고등학교]]를 세웠으며 목포고등학교는 1950년 설립된 후 호남의 명문고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1946년 설립돼 [[1976년]] 이후 국립으로 승격된 [[목포대학교]]가 있으며<ref>[http://www.mokpo.ac.kr/index.html 목포대학교 대학연혁]</ref>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의 [[누리사업]] 대학으로 선정돼 조선, 문화 분야에 연구력을 집중 투입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083168 뉴시스 2004-09-18 목포대 누리사업 본격 출범]</ref> 2007 국립대학 혁신수준 진단평가에서 [[서울대]], [[전남대]] 등과 함께 최우수 4단계로 평가받기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967088 연합뉴스 2008-02-20 목포대 국립대 혁신 수준 평가서 '최우수' ]</ref> [[1950년]] 개교한 [[목포해양대학교]]는 목포상선고등학교로 인가돼 [[1993년]] 현재 해양 관련 인력을 육성하고 있다.<ref>[http://www.mmu.ac.kr/intro.aspx?part=w3&book=s4&num=12&menuNumber=12 목포해양대학교 연혁]</ref> 1967년 개교한 [[목포가톨릭대학교]]는 성신간호전문대학으로 1979년 개편인가를 받은 후 1999년부터 현재의 학과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ref>[http://www.mcu.ac.kr/esub.php?section=intro&sub=2 목포가톨릭대학교 연혁]</ref> 이외에도 [[한국폴리텍5대학]]이 1996년 목포기능대학으로 출범한 뒤 컴퓨터정보, 조선응용, 조선설비 등의 학과를 두고 있다.<ref>[http://www.kpmp.ac.kr/ 한국폴리텍5대학 참조]</ref>
 
=== 고교평준화 ===
줄 772 ⟶ 825:
그러나 계속된 시내 고등학교의 명문대 진학 경쟁으로 학부모들의 선호도가 10배 이상 차이 나는 등 고등학교 간 경쟁이 과열되고 있으며 평준화로 인해 오히려 선호 또는 기피 현상이 두드러져 교육 당국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477092 연합뉴스 2009-01-30 "전남고교 평준화 맞아?"..선호도 10배차]</ref>
 
{| class="collapsible collapsed" width="100%" href="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 align="left" style="background-color: #eeeeee; margin: 0 auto; padding: 0 10px 0 10px; border: 1px solid #aaa; " | <p style="font-size:90%;">목포시 소재 단설유치원</p>
|-
| style="border: 1px #aaa solid;" href="목포 갓바위" |
{||-
| valign="top" href="목포문화예술회관" |&nbsp;&nbsp;
| valign="top" | 공립
* [[목포서부유치원]]
* [[목포옥암유치원]]
줄 786 ⟶ 839:
 
{| class="collapsible collapsed" width="100%"
! align="left" style="background-color: #eeeeee; margin: 0 auto; padding: 0 10px 0 10px; border: 1px solid #aaa; "| href<p style="롯데시네마font-size:90%;" | >목포시 소재 초등학교</p>
|-
|- href="CJ CGV"
| style="border: 1px #aaa solid;" |
{||-
{| href="메가박스"
| valign="top" |&nbsp;&nbsp;
| valign="top" href="목포과학대학" | 국립
* [[광주교육대학교 목포부설초등학교]]
| valign="top" href="북교초등학교" | 공립
{{col-begin}}
{{col-5}}
줄 839 ⟶ 892:
|}
 
{| class="collapsible collapsed" width="100%" href="목포심상소학교"
! align="left" style="background-color: #eeeeee; margin: 0 auto; padding: 0 10px 0 10px; border: 1px solid #aaa; "| href<p style="목포공립상업학교font-size:90%;" | >목포시 소재 중학교</p>
|-
|- href="문재철"
| style="border: 1px #aaa solid;" href="문태고등학교" |
{||-
| valign="top" href="목포대학교" |&nbsp;&nbsp;
| valign="top" href="누리사업" | 공립
* [[목포제일중학교]]
* [[목포유달중학교]]
줄 855 ⟶ 908:
* [[목포옥암중학교]]
* [[목포애향중학교]]
| valign="top" | 사립
* [[문태중학교]]
* [[목포홍일중학교]]
줄 866 ⟶ 919:
|}
 
<table{| class="collapsible collapsed" width="100%">
<tr><th! align="left" style="background-color: #eeeeee; margin: 0 auto; padding: 0 10px 0 10px; border: 1px solid #aaa; " | <p style="font-size:90%;"> 목포시 소재 고등학교</p>
|-
</th>
|style="border: 1px #aaa solid;"|
 
{||-
<td style="border: 1px #aaa solid;">
|valign="top"|&nbsp;&nbsp;
{|
| valign="top"| |&nbsp;&nbsp;공립
| valign="top" | 공립
* [[목포고등학교]]
* [[목포여자고등학교]]
<li>* [[목포제일여자고등학교]]</li>
* [[목상고등학교]]
* [[목포공업고등학교]]
 
| valign="top" | 사립
* [[문태고등학교]]
* [[목포홍일고등학교]]
줄 893 ⟶ 945:
 
|}
|}
</table>
 
== 상징 ==
줄 934 ⟶ 986:
== 자매 도시 ==
목포시의 자매 결연 도시는 다음과 같다.<ref>[http://www.mokpo.go.kr/open_content/life/sisterhood/ 목포시소개-자매결연도시]</ref>
<li>* {{국기나라|대한민국}} [[성남시]]</li>
* {{국기나라|대한민국}} [[영주시]] (1998년)
* {{국기나라|대한민국}} [[마산시]] (1998년)
줄 949 ⟶ 1,001:
{{위키공용분류|Mokpo, Jeollanam-do}}
* {{언어링크|ko|en|ja|zh}} [http://www.mokpo.go.kr/ 목포시청 (공식)]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3266&path=%7C184%7C196%7C349%7C|184|196|349|&leafId=355 네이버 캐스트 : 여행 - 목포시]
 
{{지리적 위치
|중앙 = 전라남도 목포시
|중앙=전라남도 목포시|북=[[무안군|전라남도 무안군]]|북동=[[나주시|전라남도 나주시]]|동=[[영암군|전라남도 영암군]]|남동=[[강진군|전라남도 강진군]]|남=[[영암군|전라남도 영암군]]|남서=[[해남군|전라남도 해남군]]|서=[[신안군|전라남도 신안군]]|북서=}}
|북 = [[무안군|전라남도 무안군]]
|북동 = [[나주시|전라남도 나주시]]
|동 = [[영암군|전라남도 영암군]]
|남동 = [[강진군|전라남도 강진군]]
|남 = [[영암군|전라남도 영암군]]
|남서 = [[해남군|전라남도 해남군]]
|서 = [[신안군|전라남도 신안군]]
|북서 =
}}
 
{{목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