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서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 전한 ==
[[유주 (중국)|유주자사부]]에 속했다.<ref name=":0">{{서적 인용|url=|제목=汉书地理志汇释|이름=|날짜=2006-06|출판사=安徽教育出版社|위치=合肥市回龙桥路1号|쪽=411 - 416|isbn=7-5336-4757-2|확인날짜=|저자=周振鹤}}</ref> 작은 강이 48개 있어 함께 3046리를 간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72,654호, 352,325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ref name="h28b">반고: 《한서》 권28 지리지 제8 하</ref><ref name=":0" /> [[원연 (전한)|원연]]·[[수화 (전한)|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4현이다. 치소는 고제의 사당이 있는 저려현일 가능성이 높고, 나중에 후한 시절의 치소인 양락현으로 옮겼을지도 모른다.
 
{| class="wikitable"
!현명
줄 12 ⟶ 13:
|저려현
|且慮縣
|[[진저우 시 (랴오닝 성)|진저우시진저우 시]] [[이 현 (진저우 시)|이 현]] 북부 일대
|고제의 사당[高廟]이 있다.
|-
|해양현
|海陽縣
|[[탕산 시|탕산시]] [[롼 현]] 남서남서부
|용선수(龍鮮水)가 동으로 봉대수(封大水)로 들어간다. 봉대수와 수허수(綏虛水)가 모두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염관이 있다.
|-
|신안평현
|新安平縣
|탕산시탕산 시 롼 현 북서북서부
|이수(夷水)가 동으로 새외로 들어간다.
|-
|유성현
|柳城縣
|[[차오양 시|차오양시]] 남서남서부
|마수산(馬首山)이 남서에 있다. 참류수(參柳水)가 북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서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
|영지현
|令支縣
|탕산시탕산 시 [[첸안 시]] 서부
|고죽성(孤竹城)이 있다. [[응소 (후한)|응소]]에 따르면 옛 [[백이]]의 나라다.
|-
|비여현
|肥如縣
|[[친황다오 시|친황다오시]] [[루룽 현]] 북부
|현수(玄水)가 동으로 난수(濡水)로 들어간다. 난수가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또 노수(盧水)가 있어 남으로 현수로 들어간다. 응소에 따르면 옛 비(肥)나라 임금[肥子]이 연나라로 망명한 후 연나라에서 받은 땅이라 한다.
|-
|빈종현
|賓從縣
|진저우 시 북부
|진저우시 북
|
|-
|교려현
|交黎縣
|진저우시진저우 시 이 현
|유수(渝水)가 새외에서 갈라져 나와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동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
|양락현
|陽樂縣
|진저우시진저우 시 이 현 서부
|
|-
|호소현
|狐蘇縣
|차오양 시 남동부
|차오양시 남동
|당취수(唐就水)가 도하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
|도하현
|徒河縣
|진저우 시
|진저우시
|
|-
|문성현
|文成縣
|[[후루다오 시|후루다오시]] [[젠창 현]] 동부
|
|-
|임유현
|臨渝縣
|차오양 시 동부
|차오양시 동
|유수(渝水)가 백랑에서 갈려져나와 동으로 새외로 들어간다. 또 후수(侯水)가 있어 북으로 유수로 들어간다.
|-
|누현
|絫縣
|친황다오시친황다오 시 [[창리 현]] 남부
|하관수(下官水)가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또 갈석수(揭石水)와 빈수(賓水)가 있어 모두 남으로 관수로 들어간다.
|}
줄 83 ⟶ 84:
== 신 ==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 class="wikitable"
!전한
줄 148 ⟶ 150:
|陽樂縣
|양락현
| rowspan="3" |변함없음변함 없음
|
|-
줄 159 ⟶ 161:
|
|}
조위말대부터조위 말대부터 선비족이 난하유역에 정착하였는데, 선비족중 [[우문부]], [[단부선비]]가 요서군 일대에, [[모용부]]가 창려군일대에 정착했다.
 
[[영가의 난]]이후 모용부가 유성현의 고성북쪽에 도성을 쌓고 이를 '용성'으로 삼았다.
줄 174 ⟶ 176:
|肥如縣
|비려현
| rowspan="3" |변화없음변화 없음
|고죽산사(孤竹山祠)와 갈석산(碣石山), 무왕사(武王祠), 영지성(令支城), 황산(黃山), 난하(濡河)가 있다. 평주자사부가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