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여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591년]](선조 24년) 식년과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바로 [[임진왜란]]을 맞았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터지자 [[의병장]]으로 [[영천]] 지역에서 거병하여 왜적에 맞서 싸웠다. [[1598년]](선조 31년) 전란이 종결되었으나 바로 부친상을 마친 뒤 [[1605년]](선조 28년)에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1606년 벽사도[[찰방]](碧沙道察訪)으로 나갔으나 병중인 어머니를 생각하여 1년만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1610년]](광해군 2) [[성균관]][[전적]]으로 등용되었으나 [[정인홍]](鄭仁弘)과 [[이이첨]](李爾瞻), [[김개시]] 등이 국정 운영에 문란하게 하므로 나아가지 않았다. 그는 오히려 이이첨과 상궁 김개시의 목을 벨 것은 상소하고 돌아왔다.
 
[[1610년]](광해군 2) 통훈대부로 승진, [[성균관]]전적에 임명되었으나 모친상으로 사직하고 낙향, 그 뒤 3년간 [[죽]]을 마시며 여묘살이를 하였다. 3년상 중에도 [[이이첨]] 등의 주도로 [[영창대군]]이 화의 근원이니 [[영창대군]]을 죽여야 된다는 여론이 나오자나타나자, 그는 이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 3년상을 마쳤으며, [[1614년]] 옥사가 일어나 이이첨과 정인홍이 폐비를 주장하자 친어머니와 친동생은 아니지만 계통상 어머니와 아우의 관계이니 이를 헤아릴 것을 간하는 전은소를 올려 폐모살제의 불가함을 상소했다. 이후 정인홍, 이이첨 등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자 양선생변무소(兩先生辨誣疏)를 올려 [[이황]]과 [[이언적]]의 공적을 치하하며 [[이이첨]]과 [[정인홍]]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영창대군의 옥사 때에는 여덟살 된 어린아이가 무슨 역심을 품겠느냐며 영창대군의 신구를 청하는 상소를 몰렸다. 그 외에도 그의 아들 이성재 또한 [[이이첨]]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