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의 역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러셀의 역설과 소박한 집합론(naïve set theory): 유한의 틀에 갇혀서 러셀의 역설을 이해한 사람(들)이 자신만의 논리로 러셀의 역설 자체가 모순되었다고 적어놨으나 실은 무한의 개념이 없는 경우에만 성립할 수 있는 논리로 러셀의 역설에 반대한 것이었음(즉 우기는 거였기에 말도 안되는 논리 다 삭제함)
태그: m 모바일 웹
12번째 줄:
=== 러셀의 역설과 소박한 집합론(naïve set theory) ===
'''<nowiki/><nowiki/>'''
<nowiki>칸토어가 세상에 내어 놓은 집합론은 러셀의 역설과 같은 서술이 논리적으로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강력한 수학이론이다. .이러한 소박한 집합론에서 아무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공집합을, ψ = { } 로 표시하는데,  이러한 공집합을 표현할 수 있는 서술 방법은 무한히 많다.   예를 들어 { x | x=1 and x≠1 } = ψ, 러셀의 역설에서 가정하는 집합은 수학적 대상은 아니지만, 소박한 집합론에서 공집합의 원소는 될 수 있다. 공집합에 자신을 원소로 포함시키는 과정을 되풀이하면, ψ, {ψ}, {ψ, {ψ}},….  되고, 자연수가 도출된다. 다른 수학이론의 기초가 되고, 함수를 정의할 수 있으면, 또한 무한한 대상들을 다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래서, 수학자 힐버트는 칸토어의 집합론이 이끄는 세계를 수학자의 낙원이라고 묘사했다.  </nowiki>
 
소박한 집합론에서 ‘소박한’은 후대 수학자들이 칸토어가 발견한 집합론을 공리 집합론(axiomatic set theory)과 구분 짓기 위해 붙인 것이다.  ‘naïve’ 란 단어를 ‘소박한’이라고 긍정적으로 해석했지만, ‘덜 성숙된’, ‘생각이 얕은’ 이런 느낌의 단어이다.   칸토어의 집합론에 그런 단어를 붙여 부르는 것이 옳은지는 의문이다.
 
천재 칸토어는 집합론을 세상에 내어 놓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제논의 역설 이후 금기 시 되어온 무한의 개념을 집어 들었다.  당연히 엄청난 부담감을 느꼈을 것이다.  그리고 조심스럽게 무한한 집합을 분류하기 시작했다.  그리곤, 당시 수학자들로부터 엄청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동년배인 수학자 푸앙카레는 칸토어의 집합론과 무한 수를 심각한 수학 질병이라고 불렀고, 칸토어에게 중요했던 선배 수학자 크로네커는 그를 과학 사기군, 배교자, 젊은이를 지적 타락으로 이끄는 자라고 매도 했다매도했다.  철학자들도 이러한 비난에 가세했고, 성직자들은 그의 시도를 신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여겼다. 그리고, 러셀의 역설과 [[베른의 역설과역설]]과 같은 역설들이 쏟아져 나온다.
 
한편, 그의 당대 일부 수학자들은 칸토어 집합론의 공리화를 시작한다. [[유클리드의 원론]](elements) 에 나오는 그 공리화[[공리]]화 방법론을 집합론에 도입한 것이다.  집합론을 체계화 시킨 측면도 있지만, [[러셀의 역설을역설]]을 비롯한 역설들이 주장하는 칸토어 집합론이 지닌 모순들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문제의 소지도 있다. 오직 이러한 역설들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계급의 공리]](Axiom of class)는 그 필요성이 의문일 뿐 만뿐만 아니라, 칸토어의 집합론에 심각한 제약을 가한다.
 
== 응용 방면과 관련 주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