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비중립적 내용 및 출처 없는 내용
29번째 줄:
}}
{{몽골의 역사}}
'''흉노'''({{zh|c=匈奴|p=Xiongnu|h=슝누}}, {{llang|mn|{{만몽 유니코드|ᠬᠣᠨᠨᠣ}}|콩노}})는 [[기원전 4세기]]부터 [[5세기]]까지 [[몽골]] 및 [[중국]] 북부 지역에 존재한 [[유목제국]]이다.<ref>{{서적 인용|last=Ebrey|first=Patricia Buckley|title=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year=2010|edition=2nd|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978-0-521-12433-1|url=http://books.google.com/?id=vr81YoYK0c4C&pg=PA69&dq=%22Xiongnu+Confederation%22#v=onepage&q=%22Xiongnu%20Confederation%22&f=false|page=69|이탤릭체=예}}</ref> [[기원전 3세기]] 무렵 몽골 고원 지역에서 세력을 확대하기 시작하여, 전성기에는 [[시베리아]] 남부, [[만주]]알타이 서부, [[중화인민공화국]]의 [[내몽골 자치구]](內蒙古自治區), [[간쑤 성]](甘肅省), [[신장 위구르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까지 지배하였다. [[한나라]]와 군사적 충돌을 겪기도 하였고, 때로는 조공무역이나 결혼동맹을 하는 등 복잡한 관계를 맺었으며, 결국 [[한무제]] 때 한나라의 공격으로 급격하게 쇠퇴하였다.고고학계와 사학계에선 흉노족은 몽골계가 아닌 튀르크계라는 학설이 지배적이다.(편성자 덧☞그 시대에는 몽골계=튀르크계 [[언어동조대|동조대]] 동족이었다. [[알타이제어|알타이족]] 참조)
 
일각에서는 흉노와 [[훈족]]을 같은 민족<ref>권오진 [http://www.ytn.co.kr/_ln/0106_200701130943321949 사라진 고대 유목국가 흉노!], 《YTN》, 2007년 1월 13일 작성, 2011년 3월 14일 확인.</ref> 으로 간주하기도 하지만 명확하게 증명된 것은 없다.(편성자 덧☞'흉노'는 그 민족의 동부 방언 발음을 [[한어]]식 발음으로 옮긴 것이고 '훈'은 그 민족의 서부 방언 발음을 [[슬라브어]]식 발음으로 옮긴 것일 수 있다.)
 
== 역사 ==
93번째 줄:
 
=== 한민족과의 관계 ===
신라의 일부 금석문에는 흉노 출신의 [[김일제]]가 신라 김씨 왕실의 조상이라 기록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재야사학자 및 소수의 역사학자들은 신라 왕실이 흉노의 후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ref>{{저널 인용|제목=고구려와 흉노의 친연성에 관한 연구|저널=백산학보|issue=제67호}}</ref><ref>{{저널 인용|url=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_donga/9908/nd99080420.html|제목=<이색보고> 金家 뿌리 탐사, 흉노왕의 후손 김일제 유적을 찾아서|저자=김대성|저널=[[신동아]]|연도=1999년|작성월=8월}}</ref><ref>{{저널 인용|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0403100027&ctcd=&cpage=1|제목=騎馬흉노국가 新羅 연구, 趙甲濟(月刊朝鮮 편집장)의 심층취재|저자=[[조갑제]]|저널=[[월간조선]]|연도=2004년|작성월=3월}}</ref><ref>{{뉴스 인용|url=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050830181724&Section=04|제목=김운회의 '대쥬신을 찾아서' <23> 금관의 나라, 신라|저자=김운회|출판사=[[프레시안]]|날짜=2005년 8월 30일}}</ref> 그러나 이러한 내용은 고대 신라인들이 왕가의 혈통을 미화하기 위해 흉노중국 역사 속의 위인을 시조로 꾸며낸 것으로 해석하는 주장이것이 있다역사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이다.<ref>[[대당고김씨부인묘명]]을 발견한 부산외대 권덕영 교수의 견해</ref><ref>김창호, 〈문무왕릉비에 보이는 신라인의 조상인식 - 태조성한의 첨보 -〉,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1986년</ref><ref>[http://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14167918&colltype=YON_ART&place_code_info=132&place_name_info=%EC%97%B0%EC%86%8D%EA%B0%84%ED%96%89%EB%AC%BC%EC%8B%A4%283%EC%B8%B5%29&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portal&category=storage&srchFlag=Y&h_kwd=%E6%96%B0%E7%BE%85%E5%BB%BA%E5%9C%8B%E8%A8%AD%E8%A9%B1%EC%9D%98+%E7%A1%8F%E7%A9%B6%7C4%E8%BC%AF%281972%EB%85%84+5%EC%9B%94%29%2C+p.+1-52 문경현, 〈신라건국설화의 연구〉, 《대구사학》, 대구사학회, 1972년]</ref>
 
== 같이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