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섬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섬유 삭제함, 분류:견섬유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다른 뜻 넘어옴|실크}}
[[파일:Meister nach Chang Hsüan 001.jpg|250px|섬네일|비단천을 갈무리하는 여인들을 표현한 그림]]
'''견섬유'''(絹纖維, silk)는 [[누에]] [[고치]]에서 얻은 천연 [[단백질]] [[섬유]]다. 이것으로 짠 천을 '''견직물'''(絹織物)이라고 한다.
'''명주'''(明紬) 또는 '''주'''(紬)는 [[누에]]의 [[고치]]로부터 얻은 천연 [[단백질]] [[섬유]]인 '''견사'''(絹絲, 곧 명주실) 및 명주실로 짠 천('''견'''(絹))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원래는 '''주'''(紬)라고 불렸으나, 명나라에서 만든 견이 널리 알려지면서 명주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비단'''(緋緞)은 명주 가운데 특유의 광택을 띠는 천을 가리키며, 이러한 광택은 빛을 [[산란]]하여 [[프리즘]]과 같이 형형색색의 반사광을 만들기 때문에 생겨난다. 한국어 고유어로는 '''깁'''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조금 거칠게 짠 비단을 가리키며, 사라(紗羅)로도 불린다.
 
견섬유를 일컫는 다른 표현으로 견사(絹絲), 잠사(蠶絲), 주(紬)가 있으며, 고대에는 "실"을 뜻하는 絲 자체가 견섬유만을 의미했다. 견직물은 명주(明紬)라고도 하며, '''비단'''(緋緞)은 견직물 가운데 특유의 광택을 띠는 천을 가리킨다. 비단의 광택은 빛을 [[산란]]하여 [[프리즘]]과 같이 형형색색의 반사광을 만들기 때문에 생겨난다. 조금 거칠게 짠 비단은 한국어 고유어로 깁, 사라(紗羅)로도 불린다.
여러 종류의 [[유충]]이 [[번데기]]가 되면서 단백질 섬유를 만들기는 하지만 [[누에]]처럼 양이 많지는 않다. 누에가 만드는 [[고치]]는 번데기 전체를 명주실로 감싸기 때문에 인간은 오래전부터 이를 섬유로 이용하였다. 비단은 [[중국]], [[남아시아]], [[유럽]]과 같은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여러 종류의 [[유충]]이 [[번데기]]가 되면서 단백질 섬유를 만들기는 하지만 [[누에]]처럼 양이 많지는 않다. 누에가 만드는 [[고치]]는 번데기 전체를 명주실로 감싸기 때문에 인간은 오래전부터 이를 섬유로 이용하였다. 비단은 [[중국]], [[남아시아]], [[유럽]]과 같은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명주실은 누에고치에서 얻었기 때문에 잠사(蠶絲) 또는 견사(繭絲)라 하며, 그밖에 비단실, 깁실, 진사(眞絲) 등으로 불린다.
 
== 역사 ==
{{본문|명주의견섬유의 역사}}
[[파일:Landscape of quick water from high mountain by Zhao Zuo.jpg|섬네일|100px|비단에 그려진 1611년 명나라 화가 조주의 산수도]]
 
최초의 명주(비단)는견직물은 [[기원전 6000년]] 무렵에서 [[기원전 3000년]] 무렵 사이 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중국의 전설에 따르면, [[황제 (전설)|황제]]의 아내 누조(嫘祖)가 처음 비단을 만들었다고 한다.<ref>[http://blog.daum.net/yjo722/13445554 중국천진 문동이유학기<!-- 봇이 붙인 제목 -->]</ref> 비단은 원래 중국의 왕과 귀족만이 사용하였으나 [[중국 문화]]의 전파와 함께 여러 지역으로 전파되으며, 기원전 200년경 최초로 한국에, 이후 호탄과 일본, 인도 등에서도 양잠이 행해졌다. 비단은 [[아시아]]의 대부분 지방에서 가장 귀한 옷감으로 취급되었으며, 아주 오래전부터 중국의 중요한 수출품으로 자리잡았다. 비단은 도자기, 향료 등과 함께 [[산업혁명]] 이전 시대의 [[무역]]에서 가장 무역량이 큰 상품 가운데 하나였다. 2007년 중국의 [[고고학|고고학자]]들에 의해 [[장시 성]]에서 약 2,500년 전의 비단 옷감과 베틀, 염료 등이 발굴되어, [[주나라|동주]] 시대부터 비단이 대량으로 생산되었음이 알려졌다.<ref>[http://english.people.com.cn/90001/90782/6228297.html People's Daily Online - Chinese archaeologists make ground-breaking textile discovery in 2,500-year-old tomb<!-- 봇이 붙인 제목 -->]</ref> 한편 [[한나라]]([[기원전 202년]]~[[220년]]) 시대의 유적인 [[마왕퇴]]에서 비단의 생산을 위한 전문 기술인 집단이 있었음을 암시하는 여러 유물들이 발굴되기도 하였다.
 
고대 비단 무역의 증거로는 [[기원전 1070년]] 비단을 이용한 [[고대 이집트]] 제21왕조의 [[미라]]가 있다.<ref>[http://www.silk-road.com/artl/egyptsilk.shtml Use of Silk In Ancient Egypt<!-- 봇이 붙인 제목 -->]</ref> 이러한 비단 무역은 결국 [[한국|한국과]] [[일본]], [[중국]]과 [[인도]], [[중동]]과 [[북아프리카]], [[유럽]]을 잇는 무역로로 발전하였다. 이 무역로가 바로 [[비단길]]이다.
 
== 생산 ==
명주는견섬유는 약 30여 국가에서 생산되고 있다.
{| class="wikitable"
! colspan=5|주요 명주견섬유 생산국 — 2005년
|-
! bgcolor="#DDDDFF" width="30%" | 국가
53번째 줄:
|}
 
== 명주의견섬유의 이용 ==
명주실을견섬유를 뽑아 이용하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gallery>
파일:Morus-alba.jpg|[[누에]] 유충의 먹이는 [[뽕나무]] 잎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