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정 (1552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이광정'''(李光庭, [[1552년]] ~ [[1629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자는 덕휘(德輝), 본관은 [[연안 이씨|연안]]이다. 정언을 지낸 이주(李澍)의 아들로, 어머니 유씨는 [[유순정]]의 증손이다.<ref name="np">《국역 국조인물고》 권11 경재(卿宰) 이광정의 비명(碑銘)</ref> 1604년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고 연원군(延原君)에 봉해졌다.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공신|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민유중]]의 외조부이자 [[조선 숙종|숙종]]비 [[인현왕후]]의 진외조부이다.
 
== 생애 ==
[[1590년]](선조23)에 급제해 벼슬길에 올랐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까지 [[조선 선조|선조]]를 보필했다.<ref>《조선왕조실록》 인조 20권, 7년(1629년) 2월 19일 1번째 기사</ref> 1593년 호종의 공을 인정받아 [[승정원]] 동부승지로 발탁되었는데<ref>《조선왕조실록》 선조 43권, 26년(1593년) 10월 13일 3번째기사</ref> 조정에 출사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의 파격적인 승진이었기에 외람된 관직이라는 의견이 있었으나 선조가 듣지 않았다.<ref>《조선왕조실록》 선조 43권, 26년(1593년) 10월 18일 2번째기사</ref>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군량을 담당하는 일을 맡았고 1598년에는 공을 인정받아 자헌 대부(資憲大夫)로 가자되었다.<ref name="np"/> 이 인사에 대해서도 [[사헌부]]와 [[사간원]] 등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과분한 가자라고 간했으나 선조가 윤허하지 않았다.<ref>《조선왕조실록》 선조 102권, 31년(1598년) 7월 18일 4번째기사</ref><ref>《조선왕조실록》 선조 102권, 31년(1598년) 7월 29일 1번째기사</ref> 정유재란 중에는 명나라에서 원정을 온 [[마귀 (명나라)|마귀]]의 접반사로 그를 수행하기도 했다.<ref>《조선왕조실록》 선조 104권, 31년(1598년) 9월 30일 4번째기사</ref> 1601년 지중추부사, 1602년 예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대사헌]]에 올랐다. 1604년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고 연원군(延原君)에 봉해졌다.<ref name="np"/><ref>《조선왕조실록》 선조 175권, 37년(1604년) 6월 25일 7번째기사</ref> 같은 해에 보국 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 연원 부원군(延原府院君)에 가봉(加封)되었다.<ref name="np"/> 청렴결백한 인물이었으나 [[인목대비 폐비 사건]] 당시 화가 미칠 것을 두려워하여 폐비론에 동조한 이후로 비난을 받았다.<ref>《조선왕조실록》 인조 1권, 1년(1623년) 3월 14일 9번째기사</ref>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공신|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1623년 이조판서에 올랐으며 같은 해 공조판서의 벼슬을 제수받았다. [[1627년]] [[정묘호란]]의 발발로 [[조선 인조|인조]]를 보필해 강화로 피신했는데 여기서 전염된 수토병이 악화되어 1629년 죽었다.<ref name="np"/>
 
== 묘소 ==
줄 51 ⟶ 53:
[[분류:연안 이씨]]
[[분류:남인]]
[[분류:조선의 공신]]
[[분류:원종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