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아송 다양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4번째 줄:
=== 공등방성 부분 다양체 ===
[[매끄러운 다양체]] <math>M</math>의 [[부분 다양체]] <math>C\hookrightarrow M</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math>C</math>의 '''쌍대 법다발'''({{llang|en|conormal bundle}})은 다음과 같다.
:<math>\mathrm N^*C = \{\alpha \in \mathrm T^*M\colon \langle\alpha,v\rangle = 0\qquad;\forall v\in \mathrm TC\} \subseteq \mathrm T^*M</math>
 
이제, <math>(M,\pi)</math>이 푸아송 다양체의 구조를 지녔다고 하자. 그렇다면, 부분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부분 다양체를 '''공등방성 부분 다양체'''(共等方性部分多樣體, {{llang|en|coisotropic submanifold}})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