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뿌쉬낀 (토론 | 기여)
잔글 →‎부실 복원 논란: 오탈자 수정
230번째 줄:
|출판사 = 연합뉴스
|확인날짜 = 2016년 3월 20일
}}</ref><ref name="경향20130504">{{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5041000171&code=960201|제목=숭례문 오늘 오후 2시 복구 기념식…시민 품으로|저자=홍도은 기자|날짜=2013년 5월 4일|뉴스=|출판사=경향신문|확인날짜=2016년 3월 20일}}<!--동일기사예비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5041429351&code=960201--></ref>
}}</ref><ref name="경향20130504">{{뉴스 인용
|url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5041000171&code=960201
|제목 = 숭례문 오늘 오후 2시 복구 기념식…시민 품으로
|저자 = 홍도은 기자
|날짜 = 2013년 5월 4일
|뉴스 =
|출판사 = 경향신문
|확인날짜 = 2016년 3월 20일
}}<!--동일기사예비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5041429351&code=960201--></ref>
 
== 특징 ==
줄 408 ⟶ 400:
}}</ref>
 
문화재청은 [[연륜연대학]] 전문가 [[박원규]] 교수에게 나이테를 이용한 분석을 의뢰했고 [[국립산림과학원]]에는 유전자 검사를 의뢰했다. 숭례문에 사용된 소나무가 [[대한민국]]에서 자라는 소나무 종인 Pinus densiflora일 경우 삼척시 준경묘에서 베어낸 [[금강송]]이 맞는지 유전자 검사로 진위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러시아에서 주로 분포하는 소나무의 종인 [[구주소나무]](구주적송,Pinus sylvestris)일 경우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위를 판명할 수 있다. 한편 나이테 분석을 통해서는 유전자 검사로 진위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인, 같은 [[소나무]]종 목재의 원산지가 한국이 맞는지도 분석할 수 있다. [[박원규]] 교수는 [[1월 17일]] 나이테 분석을 통해 19개중 7개가 의심스럽다며 그중 2개가2개는 가짜가 유력하고 5개는 판단이 불가능하다고 인터뷰하였다<ref name="JTBC TV-20140117">{{뉴스 인용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37&aid=0000024438
|제목 = 숭례문 목재 일부 나이테 달라…검사 방식 두고 논란도
줄 424 ⟶ 416:
 
== 사진 ==
<gallery mode="packed">
파일:South Gate, Seoul, c.1900.jpg|구한말 남대문의 모습 1
파일:Namdaemun1904.jpg|구한말 남대문의 모습 2
줄 448 ⟶ 440:
 
=== 2013년 복원 이후 여러 방향에서 본 숭례문 사진 ===
<gallery mode="packed">
파일:Sungryemun of seoul.jpg|x70px|:전면
파일:Sungnyemun front restoration right.jpg|x70px|:앞 부분 오른쪽
줄 454 ⟶ 446:
파일:Sungnyemun back right.jpg|x70px|:뒷 부분 오른쪽
</gallery>
<gallery mode="packed">
파일:Sungnyemun back through gate.jpg|x70px|:뒷 부분 정면
파일:Sungnyemun back left.jpg|x70px|:뒷 부분 왼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