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도서집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9번째 줄:
== 국외로의 전래 ==
[[파일:Geojunggi.png|200px|섬네일|오른쪽|[[화성성역의궤]]에 실려 있는 거중기의 그림. 정약용이 거중기를 고안할 때 참조한 기기도설은 고금도서집성을 통해 입수된 것이었다. ]]
[[1781년]]에 규장각에는 총 3만 책의 서적이 소장되어 있었는데 이는 《고금도서집성》 5천 책을 포함한 숫자였다. 이 책은 창덕궁 후원에 위치한 규장각 건물에 보관되어 규장각을 출입하는 사람만이 접근할 수 있었다. [[조선]]의 [[조선 정조|정조]]는 즉위한 직후에 사절을 청에 보내면서 부사 서호수(徐浩修, 1736~1799)에게 특별히 당시 청 왕조에서 편찬중이던 《[[사고전서]]》(四庫全書)를 구입해 오라는 명을 내렸지만, 현지에 도착한 사절단은 당시 《사고전서》는 아직 인쇄가 완료되지 않았고 인쇄한 수량도 4건에 불과하여 구입하기가 어려움을 보고 방향을 바꾸어 《고금도서집성》을 당시 숙소를 출입하던 서반을 통해 구입했다. 그때 대금으로 은 2,150냥이라는 거금을 지불했다고 한다.<ref>홍한주의 《지수염필》에는 조선에서 고금도서집성을 수입할 당시, 연경의 서점가 사람들은 "이 책은 간행된 지 50년이 지났는데, 귀국은 문(文)을 숭상한다면서 이제야 사가는지요? 일본에서는 이미 나가사키에서 1부, 에도에서 2부 등 이미 3부를 구해 갔습니다"라며 비웃었다는 일화를 싣고 있다.</ref>
 
《고금도서집성》이 조선에 들어오자 정조는 우선 책을 조선식으로 다시 장정을 하고, 규장각 검서관이던 [[이덕무]](李德懋), [[유득공]](柳得恭), [[박제가]](朴齊家), [[서이수]](徐理修)에게 책의 목차를 베끼게 했는데 이 네 사람이 목차를 쓰는 데만 40일이 걸렸다고 하며, 목차가 완성되자 정조는 당대의 명필이던 조윤형(曺允亨)에게 책의 제명을, 사자관들에게는 부의 제목으로 쓸 글씨를 쓰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