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6번째 줄:
'''마르크스주의'''({{llang|de|Marxismus}}, {{문화어|맑스주의}}) 또는 '''마르크시즘'''({{llang|en|Marxism}}) 혹은 엥겔스식 표현으로 '''[[과학적 사회주의]]'''는 사회 계급의 관계와 사회적 충돌에 초점을 둔 사회적 분석의 방법이자 세계관인데, 역사전개를 [[유물사관]]론적으로 해석하며, 사회 변동을 [[변증법]]적 견해로 해석한다. 마르크스주의 방법론은 경제 및 사회정치적 탐구를 하고 이를 [[자본주의]] 전개에 대한 분석 및 비평과 체제상의 경제 변화내의 [[계급 투쟁]]의 역할에 적용한다.
 
19세기 중후반 마르크스주의의 지적 교리는 두 독일 철학자들—[[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에서 사상의 영감을 받았다. 마르크스주의적 분석과 방법론들은 다수의 정치 이론과 사회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 경제학]], [[마르크스주의 사회학]], 정치적인 [[마르크스의 방법]](Marx's method) 및 사회 변화에 대한 [[혁명적 사회주의]](revolutionary socialism) 관점을 수반한다. <ref>[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551385/social-science/38930/Marxist-influences social science : Marxist influences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ref>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확정적인 단일 이론은 없다.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은 다양한 주제에 적용되었고, 발달 과정 동안 오해를 받고 수정되어 마르크스주의나 마르크스적 분석 밑에 들어가는 때로는 수많은 모순되는 이론들을 만들어 냈다. <ref>{{서적 인용|last= Wolff and Resnick|first= Richard and Stephen |title= Economics: Marxian versus Neoclassical |publisher=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date=August 1987|isbn= 0-8018-3480-5|page = 130|quote= Marxian theory (singular) gave way to Marxian theories (plural).}}</ref>
 
시작점으로서 필요한 경제활동을 인간 사회의 물질적인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마르크스주의는 사회전개에 대한 유물론적인 이해에 바탕을 둔다. 경제 기구나 생산 양식(mode of production)의 형태는 사회적 관계, 정치 및 법 체계, 도덕 및 이상을 포함하면서 대부분의 다른 사회 현상을 일으키거나 적어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므로 경제 시스템과 사회 관계는 토대와 상부구조(base and superstructure)로 불린다. 생산력(forces of production)(특히 대부분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존재하는 사회 기구들은 비효율적으로 변하며 진보를 억압한다. 이러한 비효율성들은 [[계급 투쟁]] 형태의 사회적 모순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ref name="ComparingEconomic">''Comparing Economic Systems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03, by Gregory and Stuart. P.62, ''Marx's Theory of Change''. {{ISBN|0-618-26181-8}}.</ref>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에 의하면, 자본주의 내의 계급 충돌은 프롤레타리아들이 행한 매우 생산적으로 기계화되고 [[생산수단의 사회화 (경제학)|사회화된 생산]]과 적은 소수의 [[부르주아지]]의 잉여 가치인 잉여 생산물의 사적 소유와 유용으로 격심해지는 모순때문에 일어난다. 프롤레타리아에게 모순이 명백해지면서 두 적대적인 계급 사이의 사회적 불만이 격심해지며, 사회 혁명으로 정점에 이르게 된다. 결국 이 개혁의 장기적 결과는 사회주의의 확립, 즉 생산수단의 협동 소유에 바탕을 둔 사회경제적 시스템, 기여에 기초한 분배 및 사용을 위해 직접적으로 조직된 생산이 되겠다. 칼 마르크스는 생산력과 기술이 계속해서 진보함에 따라 사회주의가 결국 사회 발달이라는 공산주의 단계에 무너지리라 가정했다. 공산주의는 계급, 국가가 사라지고 "능력에 따른 개인에서 필요에 따른 개인으로(From each according to his ability, to each according to his needs)"의 원칙과 공동소유 위에 세워진 인간 사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