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자꾸 님 개인 주장을 하시면, 독자 연구 및 문서 훼손 행위로 차단 신청하겠습니다.
인천직전(토론)의 24281775판 편집을 되돌림. 기존 문서들의 훼손 행위 방지 요청함.
4번째 줄:
|존속기간_시작=676년
|존속기간_끝=935년
|p1 = 고구려신라
|p2 = 백제
|p3 = 신라고구려
|p4 = 보덕국
|s1 = 후삼국 시대
|국기_그림 =
|문장_그림 =
|문장_이름 =
|공용어=[[신라어]] ([[고대 한국어]])
|입법부 = [[화백]]
31번째 줄:
|종교=[[불교]], [[유교]], [[무속신앙|무교]]
}}
'''통일신라'''(676년~935년)란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하고 [[신라]]가 한반도 중남부를중남부 통합한일부를 점령한 이후의 신라를 말한다. 대체용어로 [[후기신라]]가 있다. [[남북국 시대]] 유득공은 북국(발해)과 대비하여 '''남국'''이라 부르기도 했다.
== 명칭 ==
{{참고|남북국 시대}}
[[한국의 역사]] 전체를 놓고 볼 때 일반적으로 제29대 [[무열왕]] 이전을 [[삼국 시대]]라고 한다. 무열왕이 한반도 남부를 통합한 사건을 두고 통일신라 시대라고 하는데, 이는 명백히 잘못된 것이다. 백제, 가야 등에 대해서는 인적 물적 통일을 이루었다고도 할 수 있으나, 고구려는 발해가 인적 물적 승계를 이루었기에 삼국 통일, 통일 신라 등의 표현은 틀린 것이다. 남쪽의 신라가 소멸할 때까지 북쪽의 발해가 대부분의 시기를 공존했으므로 [[남북국 시대]]라고 하는 것이 맞다. 고구려가 멸망하고 [[발해]]가 세워진 698년까지의 시기를 구분하고자 할 때에도 '원삼국 해체기' 등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며 한국사를 신라를 기준으로 구분하고자 한다면 '후기신라 등의 표현이 적절하다.
[[한국의 역사]] 전체를 놓고 볼 때 일반적으로 제29대 [[무열왕]] 이전을 [[삼국 시대]], 그 이후를 통일신라시대로 구분짓는다. 그러나 [[발해]]의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시작하면서, '통일신라'라는 표현에 꾸준히 이의가 제기되고 있다. [[발해]]가 세워진 698년부터를 [[남북국 시대]]라고 하며 '통일신라시대'를 역사에 받아들여야 하는지도 의견이 분분하다. [[발해]]를 [[한국의 역사]]로 취급하고, [[신라의 삼국통일]] 또한 온전한 통일로 보기 어렵다는 관점이 고개를 들기 시작하여, 이를 '후기신라' 혹은 '대신라' 등으로 대체하기도 한다.<ref>이종욱, 《신라의 역사》2, 김영사, 2002</ref>
 
== 역사 ==
54번째 줄:
 
=== 전성기 ===
삼국통일한반도 이후남부 통합이후 신라는 영토 확장과 함께 인구가 크게 늘어났다. 오랜 전쟁이 끝나고 대외 관계가 안정되어 생산력이 증대하였다. 이 무렵, 신라는 중요한 정치적 변화가 있었는데 무열왕 이후에 왕권이 강화되었다는 것이다. 태종 무열왕은 최초의 진골 출신의 왕으로 통일 전쟁을 치르는 과정에서 왕권을 강화하였다. 아울러 이때부터 태종 무열왕의 직계 자손만이 왕위를 세습하였다.
 
신문왕 때에는 김흠돌의 모역사건을 계기로 귀족 세력들에 대한 숙청을 가하였다. 이 후, 왕명을 받들고 기밀 사무를 관장하는 시중의 기능을 강화하고, [[화백|화백회의]]를 주도하여 귀족 세력의 이익을 대변하던 상대등의 세력을 억제하였으며, 녹읍을 폐지하고 수조권만을 인정한 관료전(官僚田)이 지급하는 등 신문왕은 진골 귀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이 전제화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였다. 또한 5묘제를 설치하여, 태종무열왕계의 정통성을 강화하였다.<ref><한국의 전통예술> ( 한국문화재 보호재단 편집부 저 ) 304p</ref> 이 후 685년에 사지(舍知)를 설치하여 영(令)·경(卿)·대사(大舍)·사지(舍知)·사(史)의 5단계 관직제도를 완성하였으며, 같은 해에 지방제도인 9주 5소경제를 확립하였다.
80번째 줄:
 
== 경제 ==
삼국통일신라는 이후한반도 신라는남부 통합 이후 모든 지역의 크기와 인구, 가축의 수, 특산물 따위를 모두 조사하는 양전을 실시하여 [[민정문서]]를 작성했다.<ref>Korean history for high school p.141, issued by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Korea.</ref> 이 민정문서의 일부가 일본에서 발견되어 현재까지 전한다.
 
== 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