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르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아이신 교로 도르곤'''({{llang|mnc|{{MongolUnicode|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br />ᡩᠣᡵᡤᠣᠨ}}}}, {{한자|愛新覺羅多爾袞|애신각라다이곤}}, [[1612년]] [[11월 17일]] ~ [[1650년]] [[12월 31일]])은 [[청 제국]] 초기의 [[황족]]으로, [[후금]]의 초대 한이자 청 제국의 초대 황제로 여겨지는 [[누르가치]]의 14남이며, 누르가치의 세 번째 정실 [[효열무황후]] 아바하이의 소생이다. 작위는 '''[[예친왕 (도르곤)|예친왕]]'''(和碩睿親王, Hošoi Mergen Cin Wang)이며, [[시호]]는 충(忠), 정식 시호는 '''예충친왕'''(睿忠親王)이다.
 
청년 시절부터 이복형 홍타이지를 따라 여러 전쟁에서 전공을 세웠으며, 그 공으로 친왕에 책봉되었고, [[팔기군]] 중 정백기와 양백기를 관장하였다. [[1643년]](숭덕 8년) 홍타이지가 급사하자, 조카이자 홍타이지의 장자 숙친왕 [[후거호오거]]와 황위를 놓고 경쟁을 벌였으나, 결국 어린 조카인 [[순치제]]를 대신 옥좌에 올리고 자신은 섭정왕이 되어 죽을 때까지 국사를 결정하고 황권을 행사하였다.<ref> {{서적 인용|last=Makeham|first=John|title=China: The World's Oldest Living Civilization Revealed|year=2008|publisher=Global Book Publishing|location=Lane Cove, NSW|isbn=978-174048069-7|page=314}} </ref>
 
이후 [[명나라]]가 멸망하고 입관(入關)하여 중원을 차지하였고, 청 제국의 중원 지배를 공고히 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한편으로는 자신의 권력 강화를 위해 또다른 섭정왕이었던 정친왕 [[아이신기오로 지르갈랑|지르갈앙]]의 실권을 빼앗고, 경쟁자인 후거호오거 역시 제거하여 옥사케 하였으며, 황부(皇父), 즉 황제의 아버지라 자칭하는 등 순치제의 섭정이란 명분으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다가 [[1650년]](순치 7년)에 죽었다.
 
사후 황제로 추숭되어 묘호는 '''성종'''(成宗)이고 시호는 '''무덕수원광업정공안민입정성경의황제'''(懋德修遠廣業定功安民立政誠敬義皇帝)라 올려졌으나, 곧 친정을 개시한 순치제에 의해 묘호와 시호를 포함한 모든 명예를 추탈당하고 [[부관참시]]되었다. 그러나 사후 100년이 넘은 [[1778년]](건륭 43년)에 다시 복권되어 친왕의 작위와 시호를 추증받았다.
64번째 줄:
}}</ref> 전쟁이 끝나자 청군은 조선인 포로와 인삼, 금 등의 공물과 공녀 수백여 명을 사로잡아 수도인 [[선양 시|묵던]]으로 귀환하였다.
 
[[1638년]](숭덕 3년) 8월, 홍타이지는 도르곤을 봉명대장군으로 삼고 군대를 몰아 [[명나라]]를 치게 하였다. 이 때, 홍타이지의 장자이자 도르곤보다 세 살이 많은 조카 버일러 [[후거호오거]]도 도르곤을 따라 종군하였다. 이후 [[하북성]]과 [[산서성]]의 여러 도시를 공략, 이듬해인 [[1639년]](숭덕 4년) 3월에야 묵던으로 회군하였다. 도르곤은 성 36곳을 함락시키고 6곳의 투항을 받아냈으며 12만여 명의 포로를 생포하는 등 전과를 올렸다. [[1641년]](숭덕 6년)에는 홍타이지의 명을 받고 정친왕 [[지르갈랑]]과 함께 10여만의 군사를 이끌고 산해관을 공략하였다. 전선 뒤에서는 황제인 홍타이지도 친히 참전하여 응원군을 이끌고 있었다. 명군에서는 당시 북방의 행정과 병력을 관장하던 계료총독 [[홍승주 (명나라)|홍승주]](洪承疇)가 송산성에서 지휘하였으나 성이 무너진 후 생포, 투항하였고, 금주성을 지키던 조대수(祖大壽) 역시도 생포하였다.<ref name="등소잠"/> 이로써 명나라는 산해관 이북의 땅을 모두 잃었고 청나라는 요동을 차지하였다.
 
=== 숙질간의 황위 쟁탈 ===
[[파일:Mukden Palace 010.jpg|섬네일|left|220px|[[심양고궁]] 대정전(大政殿)의 옥좌. 예전에는 독공전(篤恭殿)으로 불리었으며 순치제는 이곳에서 즉위하였다.]]
[[1643년]](숭덕 8년) [[9월 21일]], 홍타이지는 아무런 유조도 남기지 않은 채 52세의 나이로 급사하였다. 홍타이지는 생전에 아무런 후계자도 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정은 큰 파란에 휩싸이게 되었다. 홍타이지 사후 5일 후에 당시 황족 중 가장 서열이 높았던 누르하치의 차남이자 도르곤의 이복형 예친왕(禮親王) [[다이샨]]은 [[선양 고궁|성경 황궁]]의 숭정전(崇政殿)에서 [[의정왕대신회의]]를 소집하여 다음 황위에 대해 논의하였다.<ref>{{저널 인용|저자=조재덕|날짜=1997|제목=순치시기 중앙권력의 성격 - 팔기왕공의 권력투쟁을 중심으로|저널=동양학연구|권=3|쪽=171|확인날짜=2013-12-27}}</ref> 이 중 도르곤과 도르곤의 조카이자 홍타이지의 장남인 숙친왕 [[후거호오거]]가 각축을 벌였다. 도르곤의 친형 무영군왕 아지거와 동복 아우인 예친왕(豫親王) 도도를 비롯한 당여들은 그의 서열이 후거보다호오거보다 위이고 전공 또한 후거보다호오거보다 높은데다가 원래 누르하치가 도르곤을 한에 앉히려 하였으나 그 자리를 홍타이지를 비롯한 4대 버일러<ref group="주">누르하치가 후금 건국 직후 임명한 네 명의 팔기군 기주(旗主)를 일컫는 말로, 정홍기를 예하로 둔 누르하치의 차남 [[아이신기오로 다이샨|다이샨]], 양람기를 관장한 누르하치의 조카로 슈르하치의 차남 [[아이신기오로 아민|아민]], 정람기를 손에 쥔 누르하치의 5남 [[아이신기오로 망골타이|망골타이]], 그리고 양황기의 기주 홍타이지이다.</ref> 가 가로채갔다고 주장하였다.<ref name="염숭년1">{{웹 인용
|언어=zh
|저자=옌총니엔(閻崇年)
77번째 줄:
}}</ref>
 
후거는호오거는 홍타이지가 아들로서 누르하치의 뒤를 이은 것을 전례로 하여 다음 황위도 부자승계로 이어져야 한다고 맞섰다. 당시 도르곤은 팔기군 중 정백기를 거느리고 있었고 그의 동생 도도는 양백기를 관장하며 정백기와 양백기의 지지를 확보하였다. 후거는호오거는 자신이 장관하던 정람기는 물론 홍타이지의 예하 부대였던 정황기와 양황기의 지지를 얻으며 팽팽히 맞서고 있었다.<ref name="염숭년1"/> 이 사이에 의정왕대신회의의 의장인 다이샨이 정홍기를, 정친왕 지르갈랑이 양람기를 거느리며 두 세력을 견제하고 있었다.
 
그러나 도중 다이샨의 아들인 패륵 시오토와 다이샨의 손자인 영군왕 아다리가 몰래 도르곤을 황위에 앉히려 도모하였다가 발각되었다. 이에 의정왕대신회의에서 도르곤을 의심하기 시작하자, 도르곤은 이 사건이 자신과 무관하다고 항변하고 둘을 바로 참형에 처한 후 자신이 황위에 아무런 욕심이 없다는 뜻을 내비쳤다.<ref>《[[청사고]]》 열전제3권, 제왕2.</ref> 그리하여 그는 후거가호오거가 주장하는 부자승계의 예를 따르되 홍타이지의 아홉 번째 아들인 [[순치제|푸린]]을 대신 황위에 올리고 자신과 중도파인 지르갈랑이 좌, 우 섭정왕으로서 국사를 돌보는 것이 어떻겠냐는 절충책을 내놓았다.<ref name="염숭년1"/> 후거와호오거와 다이샨은 이에 동의하였고 그리하여 홍타이지가 붕어한지 17일 뒤인 [[10월 8일]], 6살에 불과한 푸린이 성경의 독공전(篤恭殿)에서 즉위를 하니 이가 순치제이다.
 
=== 명나라의 멸망과 청군의 입관 ===
91번째 줄:
|url=http://books.google.com/?id=8nXLwSG2O8AC&printsec=frontcover#v=onepage&q&f=false
|isbn=0-520-04804-0
|page=299}}</ref> 순치제가 즉위한 이듬해인 [[1644년]](순치 원년) 4월, 숙친왕 후거의호오거의 수하 하락회(何洛會)가 도르곤에게 밀고하였는데 후거가호오거가 도르곤을 죽이고 자신이 섭정왕에 오를 것이라고 모함하였다. 이미 황위 계승을 놓고 후거와호오거와 극심한 알력을 빚었던 도르곤은 이 말을 믿고 즉시 후거를호오거를 체포, 숙친왕의 작위를 박탈하고 감옥에 가두었으며 그 당여들을 모두 처형하였다.<ref name="청사고246">《청사고》 권 246, 열전 제33.</ref> 이 사건으로 도르곤은 자신의 부하들을 후거가호오거가 거느리던 정황기와 양황기의 요직에 임명하며 청나라의 최정예 부대인 상삼기(上三旗)<ref group="주">팔기군 중 정황기, 양황기, 그리고 정백기를 일컫는다.</ref> 의 지휘권을 손에 넣었다. 이후 후거는호오거는 백의종군으로 군공을 세워 같은 해 10월에 숙친왕으로 복작되어 [[1646년]](순치 3년)에 사천 지역을 평정하는 전과를 올리지만 같은 해 3월 6일에 다시 죄를 받아 작위를 박탈당한 채 유금을 당하였으며, [[1648년]](순치 4년)에 연금에서 풀리지 못한채 사망하였다.<ref>조재덕 1997년, 178쪽.</ref> 후거호오거 사후에 도르곤은 후거의호오거의 아내를 자신의 잉첩으로 취하기도 하였다. 도르곤은 이렇게 자신에게 대항하던 이들을 제거하고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를 발판을 마련하였다.
 
같은 해, 중원을 차지하고 있던 명나라는 이미 틈왕(闖王)을 자처한 [[이자성]]의 농민군에 의해 세력을 급격히 잃어갔고 이자성군은 수도인 북경에 다다르고 있었다. [[1644년]](순치 원년, 명 숭정 17년) [[4월 21일]] 이자성의 군대는 북경성에 공격을 가하였고 그 다음날,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 [[숭정제]]는 자금성 뒤의 후원인 매산에서 목을 매 자진하였다.<ref>{{서적 인용
127번째 줄:
도르곤이 죽고 난 후 도르곤을 추종하던 신료들은 순치제에게 상소를 올려 황부섭정왕 도르곤을 황제에 추숭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비록 도르곤이 죽었으나 명목상으론 여전히 실권이 없던 순치제였기에 그 주장에 따랐고 결국 순치제는 도르곤이 사망한지 며칠 후 도르곤에게 성종(成宗)의 묘호와 무덕수원광업정공안민입정성경의황제(懋德修遠廣業定功安民立政誠敬義皇帝)의 시호를 올려 황제에 추숭하였으며 그의 장례를 국상으로 치루었다. 그러나 도르곤의 국상을 치루고 한달 반 후, 도르곤의 수하에 있던 정백기와 양백기의 장군들이 도르곤의 형인 영친왕 아지거를 새로이 섭정왕으로 모시고 자신들은 조정의 요직을 차지하려 도모했다가 발각되는 사건이 있었다. 이러한 사건은 도르곤에 의해 실각되었던 정군왕 지르갈랑에게 호기가 되었으며 곧 도르곤에게 불만을 품고 있던 대신들과 팔기군의 장수들을 규합하기 시작하였다. 아지거는 이에 자진하였고 역모에 관련되어 있던 정백기와 양백기의 장수는 모두 처형되었다. [[1651년]](순치 8년) [[2월 1일]], 지르하란은 친왕의 작위를 회복함과 동시에 순치제에게 대권을 봉환하였고, 14살의 순치제는 그날로 친정을 개시하였다.<ref name="청사고4"/>
 
얼마 후, 지르하란은 순치제에게 도르곤이 섭정왕으로서 전횡을 휘두르고, 황제만 입을 수 있는 황포를 수시로 입었으며, 또한 순치제의 이복형인 후거를호오거를 모함하여 옥사하게 하고 자신은 그 첩을 취하였다는 등을 쓴 장문의 상소를 올렸다.<ref>{{웹 인용
|url=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qa_10202018_003&tabid=k
|저자=조선왕조실록
149번째 줄:
|제목=〈韃靼漂流記〉,〈清史研究集〉第一輯
|page=378
}}</ref> 《[[조선왕조실록]]》 〈효종실록〉에서는 정친왕 지르갈랑이 순치제에게 아뢰기를 도르곤이 숙부로서 맹세를 어기고 권력을 자행하고 스스로 황제의 아버지를 자처하는 등 도를 넘은 전횡을 휘둘렀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숙친왕 후거를호오거를 모함하여 죽이고 그 부인을 차지하는 등 패륜을 저질렀으며 좋아하는 사람에겐 한없이 높은 관직을 주었으나 싫어하는 자는 내치거나 턱없이 낮은 관직을 주는 등 붕당을 형성했다고도 하였다.<ref name="조선1">{{웹 인용
|url=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qa_10203017_003&tabid=k
|저자=조선왕조실록
165번째 줄:
* 계복진 보르지기트씨 - 이름 찰이망(紮爾莽). 찰로특부 태길 근두이(紮魯特部 台吉 根杜爾)의 딸.
* 계복진 보르지기트씨 - 커얼친 태길 납포희서(拉布希西)의 딸
* 계복진 보르지기트씨 - 커얼친 태길 색낙포(索諾布)의 딸, 숙친왕 후거의호오거의 정복진.
* 계실 대복진 이씨 (繼福晉 李氏, [[1635년]] ~ [[1662년]]) - [[조선]] 출신, 종실 금림군 이개윤(錦林君 李愷胤)의 딸, [[의순공주]](義順公主).
* [[측복진]] 궁기트씨(側福晉 公齊特氏): 차하르 태길 포연도(布延圖)의 딸
185번째 줄:
* [[아이신기오로 다이샨|다이샨]]
* [[아이신기오로 도도|도도]]
* [[아이신기오로 후거호오거|후거호오거]]
{{Col-2}}
* [[아이신기오로 지르갈랑|지르갈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