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건전성 정리'''(soundness theorem, 健全性定理)는 [[일차 논리학]]에서 연역 계산이 '''건전성'''을 가진다는 내용의 [[정리]]이다. 여기서 건전성이란({{llang|en|soundness}})이란, '모든형식 참인체계 것으로내에서 [[증명]]가능한증명가능한 명제(즉 정리)가 의미론상으로도의미론 참임'을상으로도 참이 되는 의미한다성질이다. 이는 정리는논리학에서 [[괴델의 완전성 정리]]의 역을역개념이 제공한다된다.
 
'''건전성 정리'''({{llang|en|soundness theorem}})에 따르면 [[1차 논리]] 체계에서는 연역 계산이 항상 건전성을 가지며, 이 정리도 역시 [[괴델의 완전성 정리|완전성 정리]]의 역을 제공한다.
== 공식화 ==
 
어떤 [[논리식]]들의 [[집합]] G와 논리식 p에 대하여, 이 정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ref name="a">Herbert B. Enderton (2002), ''A mathematical introduction to logic'', Academic Press(Elsevier), p.131.</ref>
== 정의 ==
구문론적 귀결 관계 <math>\vdash</math>와 의미론적 귀결 관계 <math>\vDash</math>를 포함하는 [[형식 체계]]가 있다 하자. 임의의 [[논리식]]들의 집합 G와 논리식 p에 대하여. 다음이 항상 성립하면 형식 체계가 '''건전'''({{llang|en|sound}})하다고 한다.<ref name="a">Herbert B. Enderton (2002), ''A mathematical introduction to logic'', Academic Press(Elsevier), p.131.</ref>
 
* <math>G \vdash p</math> 이면, <math>G \vDash p</math> 이다.
 
== 증명 ==
건전성 정리의정리(soundness theorem)에 따르면 [[1차 논리]]에서는 항상 건전성이 성립한다. 그 증명은 다음과 같은 '[[타당성]] 보조정리'를 가정하면 쉽게 얻을 수 있다.<ref name="a"/> 사실 이 정리의 증명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타당성 보조정리의 증명인데, 이 보조정리는 의미상으로는 명백해 보이지만 그 증명은 비교적 길고 복잡하므로 여기서는 이를 받아들이고 건전성 정리의 증명만을 다루도록 한다.
 
* (타당성 보조정리) 모든 논리적 [[공리]]는 타당하다.
줄 20 ⟶ 22:
 
== 같이 보기 ==
* [[완전성]]
* [[괴델의 완전성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