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태그: m 모바일 웹
4번째 줄:
[[전한]]의 열후에게 하사된 봉토를 후국(侯國)이라 했다. 후국은 대우는 현과 동급으로 했지만, 실제로는 현보다 규모가 훨씬 작아서 처음 봉해졌을 당시 호수가 기록된 경우 중 3천 호 미만인 것이 [[전한 고제|고제]] ~ [[전한 무제|무제]] 시기에 83.6%, [[전한 소제 (8대)|소제]] ~ [[전한 평제|평제]] 시기에 89.2%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지나치게 작은 후국들은 [[후한]] [[후한 광무제|광무제]] 시기에 작은 현들과 함께 통폐합되어 사라졌다. 후국이 처음부터 한 현을 하사받는지, 현의 일부 영토만을 하사받는지는 논쟁이 있으며, 전대흔(錢大昕)이 “고조의 공신 가운데 한 현을 모두 식한 자는 오직 (진)평 한 사람 뿐이다.”라고 지적한 곡역헌후 [[진평]]의 사례{[[사기 (역사서)|사기]] 진승상세가의 구절 “진평을 고쳐 봉해 곡역후로 삼아 그 땅을 모두 식하게 하고 전의 식읍 호유향은 제했다(更以陳平爲曲逆侯, 盡食之, 除前所食戶牖”}가 시금석이 된다. 모두 식하는 대상을 곡역현이 아닌 곡역현의 5천 호로 보고, 전한의 후국은 먼저 열후의 공적이나 [[황제]]의 은택에 따라 호수를 정해놓고 그에 맞추어 후국을 구성하여 하사한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작은 후국은 한두 향(鄕)·취(聚)로 구성되는 것이다.
 
열후에게는 금으로[[금]]으로도장과[[도장]]과 자줏빛 도장끈을 내렸고, 그 후국을 다스리는 현령과[[현령]]과 현장은 제후왕국에서처럼 [[제후상|]](相)이라 했다. 또 가승(家丞)·문대부(門大夫)·서자(庶子)를 열후의 속관으로 두었다.
 
고제는 “유씨가 아니면서 왕이 되려는 자, 공적이 없으면서 후(열후, ·[[관내후]])가 되려는 자는 천하가 모두 주멸하라.”라고 했다. 전한의 승상은[[승상]]은 열후나 관내후(사실 관내후 출신 승상은 [[신도가]] 뿐이고 나머지는 전부 열후 출신) 중에서 발탁하는 것이 관례였고, 무제가 열후나 관내후가 아닌 공손홍을[[공손홍]]을 승상으로 발탁하면서 이 관례는 깨지고 대신 승상이 되면 열후로 봉하는 새로운 관례가 생겼다.
 
한서에서는 열후를 왕자후, ·공신후, ·은택후로 나누어 수록했다.
 
== 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