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성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110.70.59.85(토론)의 24941305판 편집을 되돌림
6번째 줄:
{{범례|#7D377B|[[정 (성씨)|정(鄭)]]}}
{{범례|#E8E8E8|그 외}} ]]
'''최'''(崔)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최(崔)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333,92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에서성씨 인구 번째로4위이다.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최(崔)씨의 본관은 문헌에 387본까지 기록되어 있지만, 이 중 시조와 계대가 확인되는 본관은 [[경주 최씨|경주]](慶州)·[[전주 최씨|전주]](全州)·[[해주 최씨|해주]](海州)·[[강릉 최씨|강릉]](江陵)·[[탐진 최씨|탐진]](耽津:강진)·[[수성 최씨|수성]](隋城)·[[삭녕 최씨|삭녕]](朔寧)·[[화순 최씨|화순]](和順)·[[강화 최씨|강화]](江華)·[[낭주 최씨|낭주]](朗州)·[[동주 최씨|동주]](東州:철원)·[[우봉 최씨|우봉]](牛峰)·[[흥해 최씨|흥해]](興海)·[[수원 최씨|수원]](水原)·[[통천 최씨|통천]](通川)·[[영흥 최씨|영흥]](永興)·[[상원충주 최씨|상원충주]](祥原)·[[완산 최씨|완산]](完山忠州) 등 43본이다.
'''최'''(崔)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최(崔)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333,92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 기원 ==
최(崔)씨의 기원은 중국[[신라]] 제나라 왕족 최씨(강태공 후손/강성최씨(姜姓崔氏),계통과 [[신라고구려]] 계통 등 다양한 계통이 존재한다.
 
한반도 역사에서 가장 먼저 발견되는 최(崔)씨는 1세기 [[평양]] [[대동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었던 ‘최씨 낙랑’이 거론된다[[최씨낙랑국]]이다. [[고구려]] 기록에 [[낙랑]]의 [[최리]](崔理)가 [[옥저]]에서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好童)을 사위로 삼았다고 한다.
 
[[신라]] 계통의 최씨의 기원은 [[신라사로국]] 6부족의 하나인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의 촌장이었던 '''[[소벌도리]]'''(蘇伐都利)로 알려져 있다이다.
 
또 다른 계통으로 중국 제나라 왕족 계통의 최(崔)씨가 있다. 최치원의 금석문으로 알려진 쌍계사 진감선사비에 ‘진감선사’의따르면 속명이진감선사의 최씨임을속성이 밝히며최씨이고, 제나라 강태공의 후손으로, 제나라 왕족이며, 고향은 금마(金馬, 현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익산시)|금마면]])로 적고 있다. 진감선사의 선조에 대해선 [[수나라]] 때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포로가 되어 [[고구려]]에 눌러 살다가 [[고구려]]가 멸망한 뒤 금마로금마(金馬, 현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익산시)|금마면]])로 내려와 살았다고 기록하고 있다.<ref>[http://www.segye.com/content/html/2012/06/19/20120619022612.html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 최씨의 유래], 세계일보, 2012년 6월 28일</ref>
 
== 본관별 시조역사 ==
* '''[[경주 최씨]]'''(慶州 崔氏) 시조 '''[[최치원]]'''(崔致遠, 857년 ~ ?)은 돌산고허촌의 촌장인 [[소벌도리]](蘇伐都利)의 24세손으로, 신라 후기의 6두품 출신 학자다. 최씨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본관이지만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2명을 배출하였을 뿐, 가문이 퇴조하여 상신이나 대제학은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하였다.<ref>[http://www.jokbo.re.kr/book/index.html?fnkey=11541014&fn=1154&sn=차&vcode= 부천족보전문도서관]</ref> 2000년2015년 인구는 976945,820명이다005명이다.
최(崔)씨의 본관은 문헌에 387본까지 기록되어 있지만, 이 중 시조와 계대가 확인되는 본관은 [[경주 최씨|경주]](慶州)·[[전주 최씨|전주]](全州)·[[해주 최씨|해주]](海州)·[[강릉 최씨|강릉]](江陵)·[[탐진 최씨|탐진]](耽津:강진)·[[수성 최씨|수성]](隋城)·[[삭녕 최씨|삭녕]](朔寧)·[[화순 최씨|화순]](和順)·[[강화 최씨|강화]](江華)·[[낭주 최씨|낭주]](朗州)·[[동주 최씨|동주]](東州:철원)·[[우봉 최씨|우봉]](牛峰)·[[흥해 최씨|흥해]](興海)·[[수원 최씨|수원]](水原)·[[통천 최씨|통천]](通川)·[[영흥 최씨|영흥]](永興)·[[상원 최씨|상원]](祥原)·[[완산 최씨|완산]](完山) 등 43본이다.
 
* '''[[철원 최씨]]'''(鐵原 崔氏) 시조 '''최준옹'''(崔俊邕)은 고려 태조를 도와 삼한공신(三韓功臣) 삼중대광 태사(三重大匡 太師)가 되었다. 최준옹의 현손 [[최석]](崔奭, 1026년 ~ 1121년)이 1051년(문종 5)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수태보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예부사(守太保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禮部事)에 이르렀으며, 최석(崔奭)의 아들 [[최유청]](崔惟淸)은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349 『고려사』 권99, 열전12]</ref> 최유청의 5세손 [[최영]](崔瑩)이 철원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해지고, 우왕 때 문화시중을 역임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2011 『고려사』 권113, 열전26]</ref> [[동주 최씨]](東州崔氏)라고도 한다. 2015년 인구는 15,050명이다.
* '''[[경주 최씨]]'''(慶州 崔氏) 시조 '''[[최치원]]'''(崔致遠, 857년 ~ ?)은 돌산고허촌의 촌장인 [[소벌도리]](蘇伐都利)의 24세손으로, 신라 후기의 6두품 출신 학자다. 최씨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본관이지만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2명을 배출하였을 뿐, 가문이 퇴조하여 상신이나 대제학은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하였다.<ref>[http://www.jokbo.re.kr/book/index.html?fnkey=11541014&fn=1154&sn=차&vcode= 부천족보전문도서관]</ref> 2000년 인구는 976,820명이다.
 
* '''[[해주 최씨]]'''(海州 崔氏) [[문헌공도]]시조 최온(崔溫)창시자인아들 '''[[최충]]'''(崔沖, 984년 ~ 1068년) 아버지1005년(고려 최온목종 8년)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개부의동삼사(崔溫開府儀同三司) 시조로수태사(守太師) 한다겸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내사령(內史令)에 이르렀으며, [[문헌공도]](文憲公徒)를 창시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247 『高麗史』 卷 九十五, 列傳 八]</ref> 그의 선조가 [[해주시|해주]]에서 여러 대에 걸쳐 목민관(牧民官)을 지낸 후 해주의 수양산(首陽山) 아래서 세거(世居)했으므로 해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6세손 [[최윤의]](崔允儀)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인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을 편찬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8명을 배출하였는데, 인물로는 세종 때의 집현전부제학 [[최만리]](崔萬理),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에서 순절한 [[최경회]](崔慶會),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최규서]](崔奎瑞) 등이 있다. 2015년 인구는 201,625명이다.
* '''[[철원 최씨]]'''(鐵原 崔氏) 시조 '''최준옹'''(崔俊邕)은 고려 태조를 도와 삼한공신(三韓功臣) 삼중대광 태사(三重大匡 太師)가 되었다. 최준옹의 현손 [[최석]](崔奭, 1026년 ~ 1121년)이 1051년(문종 5)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수태보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예부사(守太保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禮部事)에 이르렀으며, 최석(崔奭)의 아들 [[최유청]](崔惟淸)은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349 『고려사』 권99, 열전12]</ref> [[동주 최씨]](東州崔氏)라고도 한다. 2015년 인구는 15,050명이다.
 
* '''[[낭주 최씨]]'''(朗州崔氏) 시조인 원보(元甫) 최상흔(崔相昕)은 [[전라남도]] [[영암군]](靈巖)에 대대로 살아온 토착인이다. 그의 아들이 [[고려 태조]]가 후삼국 통일할 것을 예지하여 '''[[최지몽]]'''(崔知夢)이란 이름을 하사 받았고, 고려 개국 공신이 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078 『고려사』 권92, 열전5]</ref> 2000년2015년 인구는 1417,264명이다205명이다.
* '''[[해주 최씨]]'''(海州 崔氏)는 [[문헌공도]]의 창시자인 '''[[최충]]'''(崔沖, 984년 ~ 1068년)의 아버지 최온(崔溫)을 시조로 한다. 그의 선조가 [[해주시|해주]]에서 여러 대에 걸쳐 목민관(牧民官)을 지낸 후 해주의 수양산(首陽山) 아래서 세거(世居)했으므로 해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6세손 [[최윤의]](崔允儀)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인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을 편찬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8명을 배출하였는데, 인물로는 세종 때의 집현전부제학 [[최만리]](崔萬理),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에서 순절한 [[최경회]](崔慶會),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최규서]](崔奎瑞) 등이 있다. 2015년 인구는 201,625명이다.
 
* '''[[우봉 최씨]]'''(牛峰崔氏) 시조 '''최원호'''(崔元浩)는 고려 명종 때 영열우성공신(英烈佑聖功臣)으로 삼중대광문하시중상장군(三重大匡門下侍中上將軍)에 오르고, 그의 아들 '''[[최충헌]]'''(崔忠獻)은 문하시중(門下侍中), 진강군개국후(晉康郡開國侯)에 봉해졌으며,<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2514&cid=49632&categoryId=49632 『고려사』 권129, 열전42, 반역3]</ref> 손자 [[최우]](崔瑀)가 강화천도의 공으로 진향후(晉陽侯)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25_458_0552|우봉 최씨}}</ref> [[최충헌]]의 증손 [[최의]]가 숙청된 후 우봉 최(崔)씨 [[무신정권]] 세습 체제는 종결되었다. 2000년2015년 인구는 196명이다120명이다.
* '''[[낭주 최씨]]'''(朗州崔氏) 시조인 원보(元甫) 최상흔(崔相昕)은 [[전라남도]] [[영암군]](靈巖)에 대대로 살아온 토착인이다. 그의 아들이 [[고려 태조]]가 후삼국 통일할 것을 예지하여 '''[[최지몽]]'''(崔知夢)이란 이름을 하사 받았고, 고려 개국 공신이 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078 『고려사』 권92, 열전5]</ref> 2000년 인구는 14,264명이다.
 
* '''[[전주 최씨]]'''(全州 崔氏)는 시조가 다른 네 계통이 있다. 문열공파 '''최순작'''(崔純爵)은 고려 정종 때 문하시중으로 완주 개국백에 봉해졌다고 한다. 사도공파 '''[[최균]]'''(崔均)은 고려 인종 때 과거에 급제하고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추증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503&cid=62131 『高麗史』 卷 九十九, 列傳 十二]</ref> 문충공파 '''최군옥'''(崔群玉)은 고려 때 평장사를 지내고 완산부원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458,191명이다.
* '''[[우봉 최씨]]'''(牛峰崔氏) 시조 '''최원호'''(崔元浩)는 고려 명종 때 영열우성공신(英烈佑聖功臣)으로 삼중대광문하시중상장군(三重大匡門下侍中上將軍)에 오르고, 그의 아들 '''[[최충헌]]'''(崔忠獻)은 문하시중(門下侍中), 진강군개국후(晉康郡開國侯)에 봉해졌으며,<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2514&cid=49632&categoryId=49632 『고려사』 권129, 열전42, 반역3]</ref> 손자 [[최우]](崔瑀)가 강화천도의 공으로 진향후(晉陽侯)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25_458_0552|우봉 최씨}}</ref> [[최충헌]]의 증손 [[최의]]가 숙청된 후 우봉 최(崔)씨 [[무신정권]] 세습 체제는 종결되었다. 2000년 인구는 196명이다.
 
* '''[[강릉 최씨]]'''(江陵 崔氏)는 시조가 다른 세 계통이 있다. 경주계 시조 '''[[최필달]]'''(崔必達)은 고려 태조를 도와 삼한벽상공신으로 좌정승이 되고 경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전주계 시조 '''최흔봉'''(崔欣奉)은 [[고려 태조]]의 부마이다. 그의 12세손 최입지가 고려 말에 문하평리 상호군을 지내면서 공을 세워 강릉군에 봉해졌다. 강화계 시조 최문한(崔文漢)은 고려 문과에 급제한 최전(崔佃)의 후손으로 충숙왕의 부마이다. 이성계가 왕위를 빼앗고 조선을 개국하자 강릉 산 속 깊숙히 은거하여 살았다. 2000년2015년 인구는 140145,854명이다335명이다.
* '''[[전주 최씨]]'''(全州 崔氏)는 중국 제나라 왕족이며, 충주최씨와 더불어 강태공의 후손으로 전한다. 제나라 왕 강태공의 아들이 제나라 2대 임금인 강급이고, 강급은 적장자인 강계자를 낳았는데, 강계자는 3대 왕위를 서제인 '강득'에게 양보하고 강계자는 제나라 최읍에 봉해져 살았다. 이 봉해진 읍명을 씨로 따다씀으로 최씨가 탄생했다. 즉, 세계최씨의 득성시조는 제나라 왕족인 '최계자'(강계자) 이다. 이는 원화성찬, 신당서 재상세게표, 통지 씨족략, 사마천의 '사기' 등이 입증해주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경주최씨 시조 최치원이 지은 진감선사대공탑비에 전주최씨가 강태공의 후손이라는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즉, 전주최씨는 강씨와 한핏줄이 된다. 전주최씨는 대다수가 강태공의 후예이며, 각 시조가 다른 네 계통이 있다. 문열공파 '''최순작'''(崔純爵)은 고려 정종 때 문하시중으로 완주 개국백에 봉해졌다고 한다. 사도공파 '''최균'''(崔均)는 고려 [[조위총의 거병]] 때 순절하고 완산군에 추봉되었다. 문충공파 '''최군옥'''(崔群玉)은 고려 때 평장사를 지내고 완산부원군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392,548명이다.
 
* '''[[삭녕 최씨]]'''(朔寧 崔氏) 시조 '''최천로'''(崔天老)는 고려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다고 한다. 중시조 [[최유가]](崔兪嘉)는 [[고려 명종]] 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 그러나 최유가(崔兪嘉) 이후의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친어모군낭장(新禦侮軍郎將)을 지낸 최선보(崔善甫)와 함경전부사(含慶殿副使)를 지낸 최연(崔珚)을 각각 1세조로 하여 계대를 이어오고 있는 두 계통을 전한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3명을 배출하였는데 [[영의정]]에 오른 인물로는 [[최항 (1409년)|최항]](崔恒)과 [[최흥원]]이 있다. 2000년2015년 인구는 3851,736명이다525명이다.
* '''[[강릉 최씨]]'''(江陵 崔氏)는 시조가 다른 세 계통이 있다. 경주계 시조 '''[[최필달]]'''(崔必達)은 고려 태조를 도와 삼한벽상공신으로 좌정승이 되고 경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전주계 시조 '''최흔봉'''(崔欣奉)은 [[고려 태조]]의 부마이다. 그의 12세손 최입지가 고려 말에 문하평리 상호군을 지내면서 공을 세워 강릉군에 봉해졌다. 강화계 시조 최문한(崔文漢)은 고려 문과에 급제한 최전(崔佃)의 후손으로 충숙왕의 부마이다. 이성계가 왕위를 빼앗고 조선을 개국하자 강릉 산 속 깊숙히 은거하여 살았다. 2000년 인구는 140,854명이다.
 
* '''[[탐진 최씨]]'''(耽津 崔氏)의 원조는 고려 때 상약원직장(尙藥院直長)을 역임한 '''최철'''(崔哲)이며, 시조는 고려 때 장작감(將作監)을 역임한 최정(崔靖)의 아들 '''최사전'''(崔思全)이다. 그러나 최사전의 아들 최변(崔弁)과 최열(崔烈) 이후의 기록이 전란에 실전되어 각 파 중시조들의 세거지를 따서 그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시조인 최사전은 의술로 조정에 진출하였으나 고려 인종 때 이자겸(李資謙)을 제거한 공을 인정받아 공신에 책록되었고,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후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으로 수태위(守太尉),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다. 최철의 선조는 탐진현(현 [[전라남도]] [[강진군]]) 사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7명을 배출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25_623_0558|탐진 최씨}}</ref> 2000년2015년 인구는 6889,127명이다943명이다.
* '''[[삭녕 최씨]]'''(朔寧 崔氏) 시조 '''최천로'''(崔天老)는 고려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다고 한다. 중시조 [[최유가]](崔兪嘉)는 [[고려 명종]] 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 그러나 최유가(崔兪嘉) 이후의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친어모군낭장(新禦侮軍郎將)을 지낸 최선보(崔善甫)와 함경전부사(含慶殿副使)를 지낸 최연(崔珚)을 각각 1세조로 하여 계대를 이어오고 있는 두 계통을 전한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3명을 배출하였는데 [[영의정]]에 오른 인물로는 [[최항 (1409년)|최항]](崔恒)과 [[최흥원]]이 있다. 2000년 인구는 38,736명이다.
 
* '''[[화순 최씨]]'''(和順 崔氏)의 시조 '''최세기'''(崔世基)는 [[고려]]시대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 그가 [[전라남도]] [[화순군]]의 옛 이름인 오산(烏山)군에 봉해짐으로써 화순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최세기와 같이 몽골군의 침입 때 공을 세우고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최부(崔傅)를 함께 시조로 삼기도 한다. 그러나 상계가 실전되어 서북면도감판관(西北面都監判官)을 지낸 최언(崔堰)를 기세조(起世祖)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는데,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낸 최윤의(崔允儀)를 기세조로 삼는 계통도 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18_638_0526|화순 최씨}}</ref> 화순 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1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2015년 인구는 3138,173명이다604명이다.
* '''[[탐진 최씨]]'''(耽津 崔氏)의 원조는 고려 때 상약원직장(尙藥院直長)을 역임한 '''최철'''(崔哲)이며, 시조는 고려 때 장작감(將作監)을 역임한 최정(崔靖)의 아들 '''최사전'''(崔思全)이다. 그러나 최사전의 아들 최변(崔弁)과 최열(崔烈) 이후의 기록이 전란에 실전되어 각 파 중시조들의 세거지를 따서 그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시조인 최사전은 의술로 조정에 진출하였으나 고려 인종 때 이자겸(李資謙)을 제거한 공을 인정받아 공신에 책록되었고,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후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으로 수태위(守太尉),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다. 최철의 선조는 탐진현(현 [[전라남도]] [[강진군]]) 사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7명을 배출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25_623_0558|탐진 최씨}}</ref> 2000년 인구는 68,127명이다.
 
* '''[[강화 최씨]]'''(江華崔氏) 시조 최익후(崔益厚)는 고려 중엽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냈고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올라 강화(江華)에서 터를 잡고 살았다고 한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2015년 인구는 1413,557명이다372명이다.
* '''[[화순 최씨]]'''(和順 崔氏)의 시조 '''최세기'''(崔世基)는 [[고려]]시대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 그가 [[전라남도]] [[화순군]]의 옛 이름인 오산(烏山)군에 봉해짐으로써 화순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최세기와 같이 몽골군의 침입 때 공을 세우고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최부(崔傅)를 함께 시조로 삼기도 한다. 그러나 상계가 실전되어 서북면도감판관(西北面都監判官)을 지낸 최언(崔堰)를 기세조(起世祖)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는데,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낸 최윤의(崔允儀)를 기세조로 삼는 계통도 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18_638_0526|화순 최씨}}</ref> 화순 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1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31,173명이다.
 
* '''[[흥해 최씨]]'''(興海 崔氏) 시조 '''최호'''(崔湖)는 고려 공민왕 때 삼중대광문하시중(三重大匡門下侍中), 신호위상장군(神虎衛上將軍)을 역임하였으며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훈되고 곡강부원군(曲江府院君)에 봉해졌다. 2000년2015년 인구는 1114,479명이다792명이다.
* '''[[강화 최씨]]'''(江華崔氏) 시조 최익후(崔益厚)는 고려 중엽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냈고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올라 강화(江華)에서 터를 잡고 살았다고 한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4,557명이다.
 
* '''[[통천 최씨]]'''의 시조 '''최경현'''(崔景賢)은 고려 정종 때 정의대부판밀직사사(正義大夫判密直司事), 중서좌상시(中書左常侍), 감찰어사(監察御使)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25_632_0559|통천 최씨}}</ref> 통천 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 인물로는 [[조선]] 초기의 장군인 [[최운해]], 세종 때 4군을 개척하고 세종묘에 배향된 [[최윤덕]], 선조 때의 명문장가인 [[최립]]이 있다. 2000년2015년 인구는 811,144명이다178명이다.
* '''[[흥해 최씨]]'''(興海 崔氏) 시조 '''최호'''(崔湖)는 고려 공민왕 때 삼중대광문하시중(三重大匡門下侍中), 신호위상장군(神虎衛上將軍)을 역임하였으며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훈되고 곡강부원군(曲江府院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11,479명이다.
 
* '''[[수성 최씨]]'''(隋城 崔氏) 시조 '''최영규'''(崔永奎)는 원래 김(金)씨였다. 그는 1261년([[고려 원종]] 2년) 문과에 급제하고 형조전서겸 보문각 대경을 지냈다. [[1302년]](충렬왕 28년) [[충렬왕]]이 그에게 최씨 성을 내리고 수성백에 봉했다. 시조의 묘는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에 있다. 수성 최씨는 고려 때 부정을 지낸 최거경을 1세조로 하는 또 다른 두 계통이 있다. 수성 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2015년 인구는 5161,780명이다231명이다.
* '''[[통천 최씨]]'''의 시조 '''최경현'''(崔景賢)은 고려 정종 때 정의대부판밀직사사(正義大夫判密直司事), 중서좌상시(中書左常侍), 감찰어사(監察御使)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25_632_0559|통천 최씨}}</ref> 통천 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 인물로는 [[조선]] 초기의 장군인 [[최운해]], 세종 때 4군을 개척하고 세종묘에 배향된 [[최윤덕]], 선조 때의 명문장가인 [[최립]]이 있다. 2000년 인구는 8,144명이다.
 
* '''[[수원 최씨]]'''(水原 崔氏)는 시조를 다른 두 계통이 있다. 하나는 고려시대 산원동정(散員同正)을 지낸 최정(崔靖)을 시조로 하며, 또 다른 계통은 고려 예종 때 수주(水州)의 호장(戶長) 최상저(崔尙翥)를 시조로 한다. 고려사 열전에 기록된 인물로 [[최사위]](崔士威, 961년 ~ 1041년)가 있다. 2000년2015년 인구는 1314,156명이다687명이다. 수원(水原)의 옛 이름이 수성(隋城)이라 와 수성 최씨(隋城 崔氏)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수원 최씨(水原 崔氏)는 원최(原崔)라 하고 수성 최씨(隋城 崔氏)는 내최(來崔)라고 부른다.
* '''[[수성 최씨]]'''(隋城 崔氏) 시조 '''최영규'''(崔永奎)는 원래 김(金)씨였다. 그는 1261년([[고려 원종]] 2년) 문과에 급제하고 형조전서겸 보문각 대경을 지냈다. [[1302년]](충렬왕 28년) [[충렬왕]]이 그에게 최씨 성을 내리고 수성백에 봉했다. 시조의 묘는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에 있다. 수성 최씨는 고려 때 부정을 지낸 최거경을 1세조로 하는 또 다른 두 계통이 있다. 수성 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51,780명이다.
 
* '''[[영흥 최씨]]'''(永興 崔氏) 시조 '''최지미'''(崔之美)의 손자 최한기의 원래 성은 조씨(趙氏)이며, 그의 딸이 이자춘에게 시집 간 후 성을 최(崔)씨로 바꾸고 이름도 한기(閑奇)로 고쳤다. 최한기의 딸은 이성계를 낳았고, 후에 동북면 출신의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여 태조로 즉위하자 최한기가 영흥백(永興伯)에 봉해졌다. 묘소는 함경남도 영흥군 덕흥면 진동리에 있다. 이성계의 어머니는 의비(懿妃)로 봉하여졌고, 뒤에 태종이 [[의혜왕후]]로 추봉하였다. 1985년2015년 인구는 1,021명이다328명이다.
* '''[[수원 최씨]]'''(水原 崔氏)는 시조를 다른 두 계통이 있다. 하나는 고려시대 산원동정(散員同正)을 지낸 최정(崔靖)을 시조로 하며, 또 다른 계통은 고려 예종 때 수주(水州)의 호장(戶長) 최상저(崔尙翥)를 시조로 한다. 고려사 열전에 기록된 인물로 [[최사위]](崔士威, 961년 ~ 1041년)가 있다. 2000년 인구는 13,156명이다. 수원(水原)의 옛 이름이 수성(隋城)이라 와 수성 최씨(隋城 崔氏)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수원 최씨(水原 崔氏)는 원최(原崔)라 하고 수성 최씨(隋城 崔氏)는 내최(來崔)라고 부른다.
 
* '''[[충주 최씨]]'''(忠州 崔氏) 시조 최승(崔陞)은 846년(신라 문성왕 8)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도적을 토평하였고, 889년(진성여왕3) 원종(元宗)·애노(哀奴)의 반란을 평정하여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에 올랐다고 한다. 하지만 상계(上系)가 실전되어 호장(戶長) 최공의(崔公義)를 1세로 한다. 최공의의 증손자 [[최우청]](崔遇淸)이 충주의 향리로서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때 수사공(守司空)·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이르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540 『高麗史』 卷 一百一, 列傳 十四]</ref> 2015년 인구는 15,705명이다.
* '''[[영흥 최씨]]'''(永興 崔氏) 시조 '''최지미'''(崔之美)의 손자 최한기의 원래 성은 조씨(趙氏)이며, 그의 딸이 이자춘에게 시집 간 후 성을 최(崔)씨로 바꾸고 이름도 한기(閑奇)로 고쳤다. 최한기의 딸은 이성계를 낳았고, 후에 동북면 출신의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여 태조로 즉위하자 최한기가 영흥백(永興伯)에 봉해졌다. 묘소는 함경남도 영흥군 덕흥면 진동리에 있다. 이성계의 어머니는 의비(懿妃)로 봉하여졌고, 뒤에 태종이 [[의혜왕후]]로 추봉하였다. 1985년 인구는 1,021명이다.
 
* '''[[완산 최씨]]'''(完山 崔氏)의 시조 '''최순작'''(崔純爵)은 고려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으며 검교신호위상장군(檢校神虎衛上將軍)으로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2000년2015년 인구는 484명이다3,563명이다.
 
== 중국계같이 최씨보기 ==
* [[최 (중국 성씨)]]
중국 최씨는 강태공(강씨)에서 분파하였다. 중국에서 최씨는 《백가성》 제74위이며 중국최씨는 인구수 약 400만명 정도이다.
 
* '''[[청하 최씨]]'''는 중국의 최씨 본관 가운데 하나이다. [[북위]] 때 [[선비족]]에게 숙청 당했다가 [[당나라]] 때 다시 성장하며 당대 4대 귀족성씨로 발전하였다. 중국 최씨는 청하 최씨 등을 비롯한 [[한족]]계 이외에도 [[후이족]], [[이족]] 등에서 극소수 나타나는 성씨라고 한다.
 
* '''[[충주 최씨]]'''는 중국 제나라 왕족이며, 전주최씨 일부와 더불어 강태공의 후손으로 전한다. 제나라 왕 강태공의 아들이 제나라 2대 임금인 강급이고, 강급은 적장자인 강계자를 낳았는데, 강계자는 3대 왕위를 서제인 '강득'에게 양보하고 강계자는 제나라 최읍에 봉해져 살았다. 이 봉해진 읍명을 씨로 따다씀으로 최씨가 탄생했다. 즉, 세계최씨의 득성시조는 제나라 왕족인 '최계자'(강계자) 이다. 이는 원화성찬, 신당서 재상세게표, 통지 씨족략, 사마천의 '사기' 등이 입증해주고 있다. 즉, 충주최씨는 강씨와 한핏줄이 된다.
 
충주최씨의 시조는 '''[[당나라]]''' [[당 무종|무종]] 때 [[산동성]] [[청하 최씨|청하]] 출신 '''최승'''(崔陞)으로, 초명은 '''[[최우]]'''(崔偶)이다. 그는 846년, [[신라]] [[문성왕]] 8년에 신라에 도적이 창궐할 때 [[당나라]] [[당 무종|무종]]의 명을 받고 병마사로 들어와 도적들을 토평하였다. 889년, [[진성여왕]] 3년에 원종(元宗), 경노(京奴)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당나라]] [[당 소종|소종]]의 명을 받아 상장군으로 들어와 반란을 평정하여 은청광록대부에 올랐고 후손들은 충주에 정착하였다. 고려 [[충선왕]] 때 중원백(中原伯)에 봉해진 '''최공의'''(崔公義)를 1세로 하고 있다.
 
== 발음 / 표기 ==
표준 로마자 표기는 '''Choe'''이나 대개 '''Choi'''로 적는다. 발음은 '최/췌[ t͡ɕʰø/t͡ɕʰwe ]'로 한다.
 
== 각주 ==
<references/>
{{중국의 100 성씨}}
 
[[분류:한국의 성씨]]
[[분류:중국의 성씨]]
[[분류:최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