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만조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5번째 줄:
게르만조어를 규정하는 특징은 [[그림의 법칙]]이라 불리는 음운 변화 과정을 완전히 겪었다는 것이다. 그림의 법칙은 게르만조어가 [[인도유럽조어]]의 방언이던 시기부터 독립된 언어로 갈라진 시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난 일련의 음운 변화를 가리킨다. 이러한 음운 변화는 수백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났을 것이므로, 게르만조어를 단순히 [[나무 모형]]의 한 마디로 여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보다는 거의 1,000년에 걸친 변화 과정을 나타낸다고 보아야 한다. 4세기경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하면서 게르만조어 시기는 끝이 난다.
 
[[북유럽 청동기 시대]]와 [[로마 이전 북유럽 철기 시대]](기원전 2000년 ~ 서기 원년)처럼 게르만조어보다 더 넓은 시간적 범위에 걸친 언어 변화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게르만 조상 언어”({{llang|en|Germanic parent language}})라는 용어가 쓰이기도 한다. 여기에는 “선게르만어”(Pre-Germanic, PreGmc), “초기 게르만조어”(Early Proto Germanic, EPGmc), “후기 게르만조어”(Late Proto-Germanic, LPGmc) 등의 단계가 포함된다.<ref>{{cite book서적 인용|first=Leonard |last=Bloomfield |authorlink=레너드 블룸필드 |title=Language |publisher=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location=Chicago and London |year=1984 | isbn=0-226-06067-5 |pages= 298–299}}</ref> 게르만조어라는 용어는 모든 게르만어파 언어의 최근 [[공통 조상]]만을 가리키는 반면, 게르만 조상 언어라는 용어는 나중에 게르만조어가 된 인도유럽조어 방언의 1,000년에 달하는 역사 전체를 가리킨다.
 
게르만조어로 된 온전한 기록은 오늘날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게르만조어의 모습은 [[역사언어학]]의 [[비교 재구]]라는 방법을 통해 재구성한 것이다. (후기) 게르만조어로 된 단편적인 기록은 초기 [[룬 문자]] 새김글(기원후 2세기의 [[비모세 명문]]과 기원전 2세기의 [[네가우 투구]] 명문)<ref name="Comrie">{{cite서적 book인용|last=Comrie|first=Bernard (editor)|authorlink=Bernard Comrie |title=The World's Major Languages|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location=New York, New York|year=1987|isbn=0-19-506511-5|pages= 69–70}}</ref> 및 [[로마 제국]] 시기에 몇몇 단어들을 기록한 것(특히 기원후 90년경 [[타키투스]]의 《[[게르만족의 기원과 현황|게르마니아]]》<ref>게르만족 대이동 시기의 창을 뜻하는 ‘framea’와 같은 일반명사, ‘Mannus’와 같은 신화의 등장인물, ‘Ingaevones’와 같은 부족 이름 등이 기록되어 있다.</ref>)이 남아 있다.
 
== 음운론 ==
28번째 줄:
|- style="font-size: 90%;"
|+ 게르만조어 자음
!
! colspan="2" style="width:20px;"| [[양순음]]
! colspan="2" style="width:20px;"| [[치음]]
137번째 줄:
|}
 
p, t, k는 s 등 마찰음이나 다른 파열음(게르만어파 마찰음화 법칙에 따라 마찰음으로 변했다) 뒤에서는 그림의 법칙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 예를 들어 원래의 t 소리를 보존한 [[라틴어]]의 stella ‘별’과 octō ‘여덟’에 대응하는 [[중세 네덜란드어]]는 ster와 acht로, t가 변하지 않고 보존되었다.<ref>{{cite서적 book인용|first=Colette M. |last=Van Kerckvoorde |title=An Introduction to Middle Dutch |publisher=Mouton de Gruyter | location=Berlin and New York |year=1993 |isbn=3-11-013535-3 |page=123}}</ref> 이렇게 보존된 원래의 t는 그림의 법칙으로 유성음이 변해서 생긴 t와 합쳐졌다.
 
(훗날 [[고지 독일어]]는 비슷한 변화를 한 번 더 겪었다.<blockquote>"그림과 베르너의 법칙은&nbsp;... 함께 첫 번째 게르만어파 자음 추이를 이룬다. 그 이후에 일어난 두 번째 게르만어파 자음 추이는&nbsp;... 게르만조어의 무성 파열음에만 영향을 미쳤고&nbsp;... 게르만어파를 두 개의 방언군으로 나누었는데, 북부의 [[저지 독일어]]와&nbsp;... 남부의 [[고지 독일어]]가 그것이다...")<ref>{{cite서적 book인용|first=April M. S. |last=McMahon |title=Understanding Language Change |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 |year=1994 |isbn=0-521-44665-1 |page=227}}</ref></blockquote>
 
일반적으로 베르너의 법칙은 그림의 법칙보다 나중에 일어난 것으로 재구되며, 무성 마찰음 {{IPA|/s/}}, {{IPA|/ɸ/}}, {{IPA|/θ/}}, {{IPA|/x/}}가 강세 없는 모음 뒤에 올 때 유성음이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베르너의 법칙이 적용된 시점의 강세는 인도유럽조어에서 물려받은 것으로, 단어의 어느 음절에나 올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인도유럽조어|PIE]] {{PIE|*bʰréh₂tēr}} > PGmc. *brōþēr (‘남자 형제’)이지만, PIE {{PIE|*meh₂tḗr}} > PGmc. *mōdēr (‘어머니’)이다. 베르너의 법칙에 의해 유성음화된 {{IPA|/s/}}는 새로운 음소인 {{IPA|/z/}}가 되었다.<ref name=EB/> 그림과 베르너의 법칙이 일어나고 얼마 뒤에 게르만조어는 물려받은 강세를 잃었고 모든 단어는 어근 음절에 강세를 받게 되었다. 접두사가 붙지 않는 한, 이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 음절이었다.
<!--
인도유럽조어에서 물려받은 강세가 사라진 결과 베르너의 법칙에 따른 음운 교체를 설명할 환경이 사라졌다. 따라서 게르만어 화자들은 더 이상 음운 교체가 일어나는 이유를 알 수 없게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변이음에 지나지 않았던
The loss of the Proto-Indo-European contrastive accent got rid of the conditioning environment for the consonant alternations created by Verner's law. Without this conditioning environment, the cause of the alternation was no longer obvious to native speakers. The alternations that had started as mere phonetic variants of sounds became increasingly grammatical in nature, leading to the grammatical alternations of sounds known as [[Grammatischer Wechsel]]. For a single word, the grammatical stem could display different consonants depending on its grammatical case or its tense. As a result of the complexity of this system, significant levelling of these sounds occurred throughout the Germanic period as well as in the later daughter languages. Already in Proto-Germanic, most alternations in nouns were leveled to have only one sound or the other consistently throughout all forms of a word, although some alternations were preserved, only to be levelled later in the daughters (but differently in each one). Alternations in noun and verb endings were also levelled, usually in favour of the voiced alternants in nouns, but a split remained in verbs where unsuffixed (strong) verbs received the voiced alternants while suffixed (weak) verbs had the voiceless alternants. Alternation between the present and past of strong verbs remained common and was not levelled in Proto-Germanic, and survives up to the present day in some Germanic languages.
-->
151번째 줄:
 
== 참고문헌 ==
* {{cite서적 book인용|last=Bennett|first=William Holmes|year=1980|title=An Introduction to the Gothic Language|location=New York|publisher=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 {{cite서적 book인용|last=Campbell|first=A.|year=1959|title=Old English Grammar|location=London|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 {{cite journal저널 인용| ref=harv | last=Cercignani | first=Fausto | title=Indo-European ē in Germanic | journal=Zeitschrift für vergleichende Sprachforschung | volume=86 | number=1 | year=1972 | pages=104–110}}
* {{cite journal저널 인용| ref=harv | last=Cercignani | first=Fausto | title=Indo-European eu in Germanic | journal=Indogermanische Forschungen | volume=78 | year=1973 | pages=106–112}}
* {{cite journal저널 인용| ref=harv | last=Cercignani | first=Fausto | title=Proto-Germanic */i/ and */e/ Revisited | journal=Journal of English and Germanic Philology | volume=78 | number=1 | year=1979 | pages=72–82}}
* Fulk, R. D.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Early Germanic Languages''.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2018.
* Harðarson, Jón Axel. “The Morphology of Germanic”, in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vol. 2. Eds. Jared Klein, Brian Joseph, & Matthias Fritz. Berlin/Boston: de Gruyter, 2018, pp. 913–54.
* Kapović, Mate, ed. ''The Indo-European Languages'', 2nd edn. London: Routledge, 2017. {{ISBN|978-0-415-73062-4}}.
* Krahe, Hans & Wolfgang Meid. ''Germanische Sprachwissenschaft'', 2 vols. Berlin: de Gruyter, 1969.
* {{cite book서적 인용|last=Kroonen| first=Guus| title=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Germanic | series= Leiden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Series, 11 |publisher=Brill Academic Publishers| year= 2013 |isbn= 978-90-04-18340-7| url= http://www.brill.nl/default.aspx?partid=227&pid=24855}}
* {{cite book서적 인용| ref=harv | last=Orel | first=Vladimir | year=2003 | url=https://archive.org/details/Orel-AHandbookOfGermanicEtymology | title=A Handbook of Germanic Etymology | location=Leiden; Boston | publisher=Brill}}
* {{cite서적 book인용|last=Plotkin|first=Vulf|year=2008|title=The Evolution of Germanic Phonological Systems: Proto-Germanic, Gothic, West Germanic, and Scandinavian|location=Lewiston|publisher=Edwin Mellen}}
* {{cite서적 book인용| ref=harv | last=Ringe | first=Donald A. | year=2006 | title=From Proto-Indo-European to Proto-Germanic | location=Oxford |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 series=Linguistic history of English, v. 1 | isbn=0-19-955229-0}}
* {{cite서적 book인용|last=Voyles|first=Joseph B.|year=1992|title=Early Germanic Grammar|location=San Diego|publisher=Academic Press|isbn=0-12-728270-X}}
 
{{전거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