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59번째 줄:
== 생애 ==
==== 출생과 가정 배경 ====
김정일은 [[1941년]]([[주체연호|주체]] [[1941년|30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김성주김일성]]와 [[김정숙 (1917년 12월)|김정숙]]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그러나 주장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명백히김정일이 사실이1942년에 아니다백두산 근처 밀영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는데, 역사학자들은 이 주장이 거짓이라고 본다. 출생년도를 1942년으로 조작한 것은 김일성의 출생년도 1912년과 30년 주기로 맞추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보고 있다.<ref>[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4100&num=91000 말썽꾸러기 김정일은 어떻게 최고통치자 됐나?] DailyNK 2011-06-12</ref>[[파일:Kim Il-sung and Kim Jong-suk.jpg|섬네일|왼쪽|200px|김일성이 [[라즈돌노예|하마탄]](라즈돌노예)]]의 남야영 시절인 1941년 3월 1일 아내 [[김정숙 (1917년 12월)|김정숙]]과 함께 찍은 사진.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8권에 김일성 자필로 1941년 3월 1일 B야영에서 봄을 맞아 찍었다고 적어 놓았다.<ref name="photo">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8권 (계승본) 서두에 실린 화보의 이 사진 옆에 김일성 자필로 1941년 3월 1일 B야영에서 봄을 맞으면서 찍은 사진이라고 했고, 본문 제23장 3절에서도 B야영에서 겨울을 보낸 후 사진을 찍었다고 했다.</ref> 김정일 출산 직후의 사진으로 보이며, 당시 김일성부부가김일성 부부가 남야영에 있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흔히들 김정일이 [[소비에트 연방]](현재의 [[러시아]]) [[하바롭스크]] 인근 [[뱌츠코예]]에서 '''유리 이르세노비치 킴'''({{llang|ru|Юрий Ирсенович Ким}}, Yuri Irsenovich Kim)이라는 이름으로 출생했다고 하지만 이도 정확하지 않다. 김일성 일가가 뱌츠코예에 [[제88국제여단 (소련)|88여단]]이 창설되면서 거기로 이주한 것은 1942년 7월 중순이므로, 뱌츠코예는 김정일의 출생지가 아니라 유년기를 보낸 곳이다. 또 소련군 시절 김일성의 이름은 김일성(Ким Ир Сен, Kim Ir-sen) 아닌 진지첸(Цзин Жи Чен 또는 Цзин Жичэн, Jing Zhichen)이었으며, 소련군 문서에는 해방 후 평양에 온 뒤인 1945년 10월 2일부터 김일성(Ким Ир Сен)으로 바꾸어 적기 시작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61700209202007&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92-06-17&officeId=00020&pageNo=2&printNo=21856&publishType=00020 소(蘇), 6.25 남침(南侵) 비밀 문건(文件) 공개] 동아일보 1992.06.17 일자 2면</ref> 따라서 김정일의 소련식 이름 유리 이르세노비치 킴(Юрий Ирсенович Ким)도 평양에 온 이후에나 가능하고, {{출처|소련에 있을 당시 이름은 '''유리 지체노비치 진'''(Юрий Жичэнович Цзин, Yuri Zhichenovich Jing)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날짜=2020-01-28}}
 
김정일의 정확한 출생지를 두고는 논란이 많으나 명백히 밝혀진다. 만주서 일본군의 토벌에 쫓기던 김일성은 김정숙과 함께 부하 몇명을 데리고 1940년 10월 23일 소만국경을 불법월경하여 소련으로 도주한다<ref name="joins">[http://news.joins.com/article/3106307 (다시쓰는한국현대사) 38.만주서 소련으로 金日成의 越境] 중앙일보 1995.08.01 / 종합 10면</ref>. 소련으로 망명해온 항일연군들은 [[우수리스크|보로쉴로프보로실로프]](오늘날의 우수리스크)]] 근처의 남야영(南野營, B캠프)과 [[하바로프스크]] 인근 [[뱌츠코예|뱌츠코예(Vyatskoye, Вятское)]] 마을의 북야영(北野營, A캠프) 두 곳에 분산 수용되는데 김일성은 남야영에 들어간다. 김정일은 거기서 1941년 2월 16일 태어났다. 남야영은 보로쉴로프보로실로프 근처 조그만 기차역이 있는 하마탄이란 마을에 있었다고 하는데, 블라디보스톡과 우수리스크 중간쯤에 있는 오늘날의 [[라즈돌노예|라즈돌노예(Razdolnoye, Раздольное)]] 마을이다.<ref>[http://v.youku.com/v_show/id_XMzM2NzcwNTA0.html 특별기획 김정일 ‘제1편 유라 킴 (Yura Kim)’] {{웨이백|url=http://v.youku.com/v_show/id_XMzM2NzcwNTA0.html |date=20170419194830 }} : 2011년 12월 22일 밤 10:00 방영<br>
[http://news.donga.com/Main/3/all/20150805/72876368/1 (황호택 칼럼)유라의 탯줄을 길게 자른 조산원 엘냐] 동아닷컴 2015-08-05 <br>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61300209209011&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06-13&officeId=00020&pageNo=9&printNo=21852&publishType=00020 "金正日(김정일) 출생지는 蘇(소)「하마탄」마을"] 동아일보 1992.06.13<br>
82번째 줄:
주보중(周保中),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 1991年 人民出版社) p.660 : 1942년 7월 19일자에 김일성이 어제 보로실로프에서 하바로프스크로 와서 뱌츠코예 마을 본 숙소에 머문다고 하였다. (七月十九日 金日成同志已于昨日由B城來X城 住B街本寓); B城은 보로실로프(Вороши́лов)로 지금의 [[우수리스크]]이고, X城은 [[하바로프스크]](Хабаровск), B街는 뱌츠코예(Вя́тское)를 말한다.</ref>
 
북한에서는 김정일이 [[백두산 근처 밀영([[|백두산 근처 밀영]])에서 1942년 2월 16일 태어난 것으로 선전하고 있으며, 이 밀영은 성역화되어 있다. 하지만 김정일이 그런 곳에서 태어나지도 않았거니와, 김일성이 빨치산 활동 당시 백두산 속에 밀영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만한 근거도 없다. 그가 한동안 백두산 인근 만주의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창바이 현]](長白縣)]], [[푸쑹 현|푸쑹 현]](撫松縣)]], [[안투 현|안투 현]](安圖縣)]] 등지에서 활동한 것은 사실이지만, 식량과 물자 조달이 어렵고, 겨울이면 외부와 단절되어 고립되는 백두산 깊숙한 곳에 밀영을 만들어 있었을 가능성은 희박하고, 그런 곳에서 한겨울에 김정일을 낳았을 가능성은 더욱더 없다. 해방 후 김일성을 항일 영웅으로 조작하는 과정에서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의 이미지를 덧붙이기 위해 지어낸 말이며, 백두혈통이니 하는 말도 그렇게 해서 나온 것이다. [[레오니드 바신|레오니드 바신(1915~2006)]]도 후일 해방 직후 소련 군정 당시 일을 회상하며 [[김일성 가짜설|김일성이 가짜]]라는 소문이 퍼지자 "우리는 그가 진짜이고 백두산의 호랑이가 맞다는 것을 증명해야만 했다."라고 증언하였다.<ref>[http://books.google.co.kr/books?id=UpZWfYqiVLMC&pg=PA51&lpg=PA51#v=onepage&q&f=false Jasper Becker, Rogue Regime : Kim Jong Il and the Looming Threat of North Korea] (Oxford University Press, 200) p.51</ref> 이를 보아도 백두산의 이미지는 억지로 끌어다 붙여 조작한 것이다.
 
어린 시절 그는 러시아어 이름 유리의 애칭인 '유라'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1945년 8·15광복 이후 부모를 따라 북한으로 들어온 후로도 한동안 '김유라'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88번째 줄:
그 이후 러시아식 이름을 버리고 김정일(金正一)이라 하였고,<ref name="wo1">[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7/03/2010070300055.html '어두운 구름(雲, 운)' 대신 '빛나는 銀(은)'으로?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봇이 따온 제목 -->]</ref> 1980년에는 한자 이름을 正日로 개명하였다. 북한 쪽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부인하고 처음부터 김정일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주장한다. 참고로 정일(正日)이라는 이름은 어머니 [[김정숙 (1917년 12월)|김정숙]](金正淑)의 '정'(正)과 아버지 [[김일성]](金日成)의 '일'(日)을 합친 이름이다. 조부 [[김형직]]이나 조모 [[강반석]]은 그가 태어나기 이전에 사망했으나, 증조부 [[김보현 (1871년)|김보현]]과 증조모 [[이보익]]은 그가 10대일 때까지도 생존하고 있었다.
 
광복으로 귀국한 후, 김정일은 북한에서 유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나 아홉 살 때 어머니가 난산 끝에 세상을 떠나고 만다.<ref name="투쟁1">[http://news.empas.com/show.tsp/cp_hd/20081024n08195/?kw=%B1%E8%C0%CF%BC%BA+%B1%E8%C1%A4%BC%F7+%B1%E8%C0%CF%BC%BA+%B1%E8%C1%A4%BC%F7+%B1%E8%C0%CF%BC%BA+%B1%E8%C1%A4%BC%F7+ 네이트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ref>난산이 아니라 병사했다는 설도 있다.</ref> 이후 김정일은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불우하게 자랐다.
 
==== 유년기 ====
163번째 줄:
2000년 이후 [[러시아]]와 [[중화인민공화국]]을 수시로 방문하여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미국]]의 [[카터]], [[클린턴]] 등의 전직 대통령 역시 수시로 [[평양]]을 방문하여 외교 활동을 하고 있다. 외교활동의 목적으로 그는 자원 지원을 주로 중점적으로 하였다.
 
북한은 1993년부터 역사적으로 유래없는 자연재해와 공산주의권 나라들의 붕괴, 그리고 서방세력의 경제봉쇄 등으로 최악의 경제난 및 식량난을 겪었는데, 이를 북한에서는 '고난의 행군'이라고 부른다. 약 6년간의 고난의 행군을 마치고 북한은 이제 강성대국으로 향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 통계청]]이 [[유엔]]의 [[인구센서스]]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주민 33만여명이 90년대 후반 ‘고난의 행군’시기에 굶어 죽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4779426 북한주민 기대수명 남한보다 11세 낮아</ref><ref name="통계청">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108780 북한 ‘고난의 행군’ 5년 동안 주민 33만 명 굶어 죽어</ref> 2003년에 발표된 [[국제앰네스티]]의 리포트에서는 북한 인구의 절반을 넘는 1300만 명이 기근에 시달리고 있으며 2001년에는 [[미국]], [[한국]], [[일본]], [[유럽연합]] 등으로부터 상당량의 식량, 비료 원조를 받기도 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www.amnesty.org/en/library/info/ASA24/003/2004 |제목=North Korea: Starved of Rights: Human rights and the food crisi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 Amnesty International<!-- 봇이 따온 제목 --> |확인날짜=2008-12-1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10140649/http://www.amnesty.org/en/library/info/ASA24/003/2004 |보존날짜=2008-12-10 |url-status=dead }}</ref>
 
===== 7.1 경제개혁조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