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레타리아 독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소련에서는 [[1930년대]] 전반에 사기업이 없어지고, 자본가계급도 없어졌으며, 농업의 전면적인 집단화에 의해 개인경영 농민은 콜호스 원(員)으로 변했다. 이 계급 관계의 재편성에 따라서 국가론(國家論)도 재편성되고, 소비에트 국가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국가이지만 동시에 이제야말로 전인민국가라는 성격을 갖게 되었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의 실천에 큰 영향을 준 것은 스탈린의 이론이었다. 스탈린은 1930년대의 소련이 직면한 모든 곤란을 계급투쟁의 표현으로 파악하고, 계급투쟁의 격화와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강화(구체적으로는 국가안보기구의 강화)를 주장했다. 그러나 1930년대 말에는 스탈린이 자기의 설을 철회하고, 착취계급의 소멸에 의해서 소비에트 국가는 이미 계급억압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고 말했으나, 그때 논증(論證) 없이 소비에트 국가는 여전히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국가라고도 말했다. 그렇지만 그 뒤의 소련에서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대해서는 그다지 언급되지 않았다.
 
평의회주의자나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프롤레타리아 독재국가를 표방했던 [[마르크스-레닌주의]] 또는 스탈린주의 국가들이 마르크스가 꿈꾸던 이상 세계와는 정반대로 운영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역사상에 실제로 등장한 현실 사회주의 국가 거의 대부분은 혁명적 공산당에게 권력이 독점되는 일당 독재의 성격을 가진 프롤레타리아 독재 체제를 구성했으나, 냉전이 한창이던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는 스탈린이나 마오쩌둥 혹은 호치민과 김일성 같은 한 명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일인 독재가 되기도 하였다. 일부의 경우에는 일인 독재를 하다 보면 후손에게 권력을 물려주려는 욕심이 생기고, 결국엔 봉건주의 독재가 된다. 그러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같은 현실 공산주의 국가에선 김일성의 권력을 사실상 아들 김정일과 손자 김정은이 물려 받았다. 현실 공산주의(프롤레타리아 독재) 국가가 마르크스의 개념과는 다르게 나중엔 봉건주의 독재국가로 변질된 것이다. 평의회주의자들은 이러한 현실 공산주의 국가를 '변질된 노동자 국가'라고 정의했다.
 
== 다른 표현 ==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공산주의 문헌상 여러 가지 표현으로 불렸다. 대표적인 표현으로는 '''노농정부'''(勞農政府), '''노동자정부'''(勞動者政府), '''사회주의정부'''(社會主義政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