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번째 줄:
당시 중국에서 육상과 해상을 통한 국제교역의 증대는 기존의 화폐 제도에도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중국은 원래 동전을 주된 화폐로 사용하는 동본위 제도를 채택해 왔으나, 동은 무거웠기 때문에 고액의 광역적인 결제 수단으로서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래서 이미 송대부터는 일종의 약속어음과 같은 교자라는 것이 상인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남송과 금나라 시대에는 교자 혹은 교초라고 불리는 지폐의 사용이 확대되기 시작했다.<ref name="김호동">김호동 《[https://books.google.co.kr/books?id=dYSYBgAAQBAJ&pg=PT225&lpg=PT225&dq=%EA%B5%90%EC%B4%88(%E4%BA%A4%E9%88%94)&source=bl&ots=Q8Yx_xRwai&sig=ACfU3U3MP5FyHdYfjvByr0zQODfrc8OSUQ&hl=ko&sa=X&ved=2ahUKEwiVudzTqcfqAhVWUd4KHU-_DOIQ6AEwBXoECAcQAQ#v=onepage&q=%EA%B5%90%EC%B4%88(%E4%BA%A4%E9%88%94)&f=false 몽골 제국과 세계사의 탄생]》</ref>
 
금 왕조는 송대에 사용하던 교자를 이어받아 12세기에 교초고와교초고(交鈔庫)와 성고에서성고(省庫)에서 교초를 발행하였다. 금 왕조 말기에는 지폐의 가격 유지를 위해 여러 가지 신교초를 발행해 교초의 전용을 강요했으나, 민간에서는 오히려 신용이 확실한 은화를 계속 사용하였다.<ref name="실크로드 사전"></ref> 또한 화베이(華北) 지역에서는 동이 귀했기 때문에 동화 발행에 지장이 있었고, 때문에 금 왕조는 북송을 멸망시킨 뒤에도 송 왕조의 교자를 이어받아서 지폐와 은을 도입하였던 것이다. [[해릉양왕|해릉왕]](海陵王)의 시대에도 교초가 발행되었고 훗날 은으로 만든 화폐로써 승안보화(承安宝貨)나 마제은(馬蹄銀) 즉 말발굽 모양으로 제련한 평량화폐(秤量貨幣)인 원보은(元宝銀)도 발행되었다. 그러나 교초는 발행이 늘어나서 인플레이션을 일으켰고, 이는 금 왕조 멸망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ref name="yuasa"></ref>
 
원 왕조는 우구데이 칸(원 태종) 때 교초를 발행하기 시작하였다.<ref name="실크로드 사전"></ref> 몽골 제국이 금 왕조를 멸망시킨 뒤, 금 왕조의 화폐 제도를 이어받아서 [[1236년]]에 교초를 발행하였다.<ref>湯浅 (1998) p.173</ref> 강남(江南)의 남송을 정복하기 전에는 동이 부족했다는 점도 몽골 제국이 교초를 발행하게 된 한 이유였다. 몽골 제국에 출사했던 [[야율초재]](耶律楚材)는 금 왕조의 선례를 본받아 교초의 발행량을 조정해야 한다고 제언했고, 당초에는 1만 정(錠, 50만 관)이 상한으로 정해졌다. 우구데이 칸의 시대에는 다른 몽골족이나 한인(漢人) 출신의 제후들도 지폐를 발행하였고,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