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잔글 각주 수정
39번째 줄:
== 어원과 분류 ==
[[파일:Dugong skeleton displayed at Philippine National Museum.jpg|섬네일|right|[[필리핀 국립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듀공 골격]]
듀공이라는 명칭은 [[필리핀]] 군도에서 널리 쓰이는 [[비사야어군]] 계열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는 낱말 두궁(dugung)이 근본이다유래이다.<ref name="buffon">{{서적 인용|author=Leclerc, Georges-Louis |author-link=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 백작 |title=Histoi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ére, avec la Description du Cabinet du Roi|publisher=L'Imprimerie Royal|year=1765|page=374|url=https://books.google.com.ph/books?id=QN5bTgkbOBwC&pg=PA374#v=onepage&q&f=false|quote=Dugon, ''Dugung'', nom de cet anìmal à l'île de Lethy ou Leyte, l'une des Philippines,& que nous avons adopté.}}</ref><ref name="mw">{{웹 인용|title=Dugong |url=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dugong |website=Merriam-Webster |accessdate=18 December 2018}}</ref><ref name="weekley">{{서적 인용|author=Weekley, Ernest |editor=|title=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Modern English|chapter=|publisher=Courier Corporation|series=|year=2013|page=484|isbn=9780486122878|url=https://books.google.com.ph/books?id=fj_CAgAAQBAJ&printsec=frontcover#v=onepage&q&f=false}}</ref> 이 이름은 [[프랑스]]의 자연학자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 백작]]이 본인의 저서 《자연사》(1765)에 처음 기재한 명칭이다. 기록을 볼 때, 백작은 필리핀의 [[레이테섬]]에서 듀공을 처음 관찰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 name="buffon" /><ref name="weekley" /><ref name="burnell">{{서적 인용|editor=Burnell, A.C. |editor2=Yule, Henry |title=Hobson-Jobson: Glossary of Colloquial Anglo-Indian Words And Phrases|chapter=|publisher=Routledge|series=|year=1995|page=330|isbn=9781136603310|url=https://books.google.com.ph/books?id=Mnl0DwAAQBAJ&printsec=frontcover#v=onepage&q&f=false}}</ref>
 
듀공이 속해 있는 [[듀공과]](''Dugongidae'')에는 듀공 외에 현존하는 종이 단 하나도 남아있지남아 있지 않으며, 또한 바다소목 전체로 보아도 현재 듀공을 비롯한 4종 이외의 생명체는 모두 멸종된 처지이다.<ref name="IUCNpdf">Marsh, H. ''et al.'' (2002). [https://portals.iucn.org/library/sites/library/files/documents/2002-001.pdf Dugong: status reports and action plans for countries and territories]. IUCN.</ref> 듀공이 처음으로 근현대적 분류 체계를 따라 분류된 것은 1776년의 일로, [[독일]]의 학자 [[필리프 루트비히 슈타티우스 뮐러]]가 [[칼 폰 린네]]가 기재한 [[매너티속]](''Trichechus'')에 편입시켜 트리케쿠스 두공(''Trichechus dugon'')이라는 학명을 붙여 기록했다.<ref name="paleo5">{{웹 인용|url=http://paleodb.org/cgi-bin/bridge.pl?action=checkTaxonInfo&taxon_no=65051&is_real_user=0|title=Dugong dugon|last=|first=|date=|website=paleodb.org|publisher=Fossilworks|access-date=22 July 2007}}</ref><ref name="paleo2">{{웹 인용|url=http://paleodb.org/cgi-bin/bridge.pl?action=checkTaxonInfo&taxon_no=64973&is_real_user=0|title=Trichechinae|last=|first=|date=|website=paleodb.org|publisher=Fossilworks|access-date=22 July 2007}}</ref> 훗날 [[베르나르제르멩 드 라세페드 백작]]은 다시 듀공을 듀공속으로 재분류하여 해당 속의 [[모식종]]으로 기재하였으며,<ref name=paleo3>[http://paleodb.org/cgi-bin/bridge.pl?action=checkTaxonInfo&taxon_no=53124&is_real_user=0 Dugong]. The Paleobiology Database. Retrieved on 22 July 2007.</ref> [[존 에드워드 그레이]]와 [[조지 게일로드 심슨]]은 다시 듀공에게 독립된 과와 아과를 부여했다. 따라서, 듀공은 현재 바다소목 듀공과 듀공아과 듀공속에 속한다.<ref name="paleo5"/><ref name="paleo4">{{웹 인용|url=http://paleodb.org/cgi-bin/bridge.pl?action=checkTaxonInfo&taxon_no=43286&is_real_user=0|title=Dugongidae|last=|first=|date=|website=paleodb.org|publisher=Fossilworks|access-date=22 July 2007}}</ref>
 
듀공을 비롯한 바다소목 동물들은 [[고래]]나 [[바다사자]]와 같은 여타 [[해양 포유류]]들보다는 오히려 [[코끼리]]와 유전적으로 가깝다.<ref name="Sydney">{{인용|title=Dugongs in the Great Barrier Reef: Current State of Knowledge |url=http://www.reef.crc.org.au/publications/brochures/dugong_2002.pdf |year=2002 |author=Lawler |display-authors=etal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21185455/http://www.reef.crc.org.au/publications/brochures/dugong_2002.pdf |publisher=[[Cooperative Research Centre]] (CRC) for [[The Great Barrier Reef]] World Heritage Area |archivedate=21 February 2014 |url-status=dead |df=dmy }}</ref> [[코끼리]]·[[바위너구리]]·[[땅돼지]]·바다소는 같은 [[단계통군]]을 공유하며, 이 단계통군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진수하강]]으로부터 갈라져 나왔다. 화석 기록으로 볼 때, 현생 바다소목 동물의 조상뻘 되는 생물이 처음 나타난 것은 [[에오세]] 시대이며 주로 [[테티스해]] 인근에 분포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58번째 줄:
 
[[파일:Dugong dugon fin egypt.jpg|섬네일|오른쪽|듀공 꼬리]]
뇌 무게는 몸무게의 1000분의 1 가량, 다시 말해 약 300g 정도이다.<ref name=AussieFauna /> 눈은 크기에 견주어 특히나 작은 편으로,<ref name="CaseStudy">{{웹 인용|url=http://www1.american.edu/ted/persian.htm |title=Case Study |publisher=American.edu |accessdate=7 April 2011 |url-status=dead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610020406/http://www1.american.edu/TED/persian.htm |archivedate=10 June 2010 }}</ref> 시력이 좋지 못하지만못한 대신 청력은 아주 날카롭고 [[가청범위]]가 넓다. 귀에는 [[귓바퀴]]가 없고, 머리 측면에 붙어있으며붙어 있으며, 코 역시 머리 맨 앞쪽에 구멍만 두 개 뚫려 있다. 이 콧구멍은 호흡기에 물이 들어차지 않도록 밸브처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다.<ref name="Sydney"/> 유선과 유두는 겨드랑이에 양쪽 겨드랑이에 숨겨져 있다.<ref name=AussieFauna /> 암수간 형태적 차이는 거의 없고, [[생식기]] 형태만이 다르다.<ref name="ADW"/> 수컷의 [[고환]]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암수 모두 [[항문]]과 [[배꼽]] 사이에 균열이 가 있는데, 이 위치가 성별마다 조금씩 차이가 난다.<ref>{{저널 인용|last1=Marsh |first1=H. |last2=Heinsohn |first2=G. E. |last3=Glover |first3=T. D. |year=1984 |title=Changes in the male reproductive organs of the dugong, Dugong dugon (Sirenia: Dugondidae) with age and reproductive activity |url=http://dugong.id.au/publications/JournalPapers/1984/Marsh%20et%20al%201984%20Aus%20J%20Zoo%2032.pdf |journal=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volume=32 |issue=6|pages=721–742 |doi=10.1071/zo9840721}}</ref> 내부 장기 중에서도 특히 [[폐]]가 무척 발달해 있으며 그 길이가 [[신장]] 근처까지 이어질 정도로 길게 뻗어 있다. 폐가 이토록 발달해 있는 것은 바닷물 속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적응의 일환으로 여겨진다.<ref name=AussieFauna /> 피부에 상처가 생길 경우 상흔이 무척 빠르게 아문다.<ref name="ADW"/>
 
듀공은 [[두개골]]이 아주 독특하게 생긴 동물이다.<ref name=animaldiversity /> 두개골에서 위턱뼈에 해당하는 부분이 아래를 향해 구부러져 있으며, 특히 수컷한테서수컷에서 이와 같은 특징이 도드라진다. [[척추]]는 [[척추뼈패임]]이 57개에서 60개에 달한다.<ref name=AussieFauna /> 또한 매너티가 평생 동안 주기적으로 헌 [[치아]]가 빠졌다가 새로 돋아나는 데 반해 듀공은 치아갈이를 하지 않는다.<ref name="evolutionpdf">{{인용|title=Evolution of Sirenia|url=http://www.sirenian.org/sirenianevolution.pdf|author=Self-Sullivan, Caryn|publisher=sirenian.org|access-date=10 March 2007|url-status=dead|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61231005452/http://www.sirenian.org/sirenianevolution.pdf|archivedate=31 December 2006|df=dmy-all}}</ref> 듀공은 [[엄니]]가 존재하는데 수컷은 아성체가 되어갈 즈음 엄니가 크게 발달하며, 암컷은 그보다는 덜 발달하기는 해도 다른 치아에 비해서는 확연히 크게 자란다. 가끔씩은 엄니가 평생 동안 쑥쑥 자라서 위턱뼈 끝까지 닿게 될 때도 있다.<ref name=AussieFauna /> 이 엄니를 척도로 해서 듀공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어금니]]는 자라면서 점점 앞으로 나온다. [[치열]]은 <span class="nowrap"><span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0.5em; font-size:85%; text-align:center;"><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 title="윗니 치열: 앞니.송곳니.앞어금니.어금니">2.0.3.3</span><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 border-top:1px solid;" title="아랫니 치열: 앞니.송곳니.앞어금니.어금니">3.1.3.3</span></span></span>, 다시 말해 위턱에 엄니 두 개, 소구치 세 개, 어금니 세 개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턱에 엄니 세 개, 송곳니 한 개, 소구치 세 개, 그리고 어금니 세 개로 이루어져 있다.<ref name=animaldiversity /> 여타 바다소목 동물들처럼 종종 [[갈비뼈]]나 다른 주요 장골들이 [[골수]]가 비거나 하는 연유로 몹시 딱딱해지는 뼈비대증(Pachyostosis)을 앓는다. 이렇게 거추장스러울 정도로 무거워진 듀공의 뼈는 모든 동물 가운데 가장 빽빽한 밀도를 지니며,<ref name=SeaLife>Waller, Geoffrey and Dando, Marc (1996). ''Sealife: A Complete Guide to the Marine Environment''. [[Smithsonian Institution]]. {{ISBN|1-56098-633-6}}. pp. 413–420</ref> 듀공이 해수면에 살짝 걸쳐서 유영할 수 있도록 비중을 잡아 주는 밸러스트와 같은 역할을 해 주기도 한다.<ref name="ADW2">{{웹 인용|last=Myers |first=Phil |title=ADW: Sirenia: Information |work=Animal Diversity Web |publisher=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year=2000 |url=http://animaldiversity.ummz.umich.edu/site/accounts/information/Sirenia.html |accessdate=13 May 2007 }}</ref>
 
== 분포와 서식지 ==
66번째 줄:
듀공은 서[[태평양]]과 [[아프리카]] 해안까지,<ref name="NatGeo"/> 해안선이 140,000km에 이르는 비교적 온난한 [[적도]] 부근 바다에 서식하며, 그 위도 범위는 북·남위로 26-27°까지 달한다.<ref name="IUCNpdf"/> 또한, 보금자리로 깊은 바다보다 얕은 해안가를 보다 선호하며, 주로 [[만]]이 형성된 지역으로 몰려든다.<ref name="iucn"/> 기록을 보면 한때 [[가래과]] 및 [[자라풀과]]에 속하는 수생식물이나 바닷말이 대거 번성하는 지역에서 널리 분포했던 것으로 보인다. 과거 듀공이 작금보다 서식하는 지역이 훨씬 넓었다는 증거는 풍부하지만 정확히 어디까지 분포했는지는 아직 오리무중이다.<ref name="IUCNpdf"/> 현재 듀공은 [[인도양]]·[[홍해]]·남서 [[태평양]]을 따라 약 37개국 연안에서 서식하는데, 그 서식지를 나타낸 지도를 보면 서식지 사이의 거리가 다소 먼 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f name="Sydney"/><ref name="ADW"/> 서식지 가운데 [[홍콩]]·[[모리셔스]]·[[대만]]에서는 이미 자취를 감추었고, [[캄보디아]]·[[일본]]·[[필리핀]]·[[베트남]]에서도 과거에 견주어 개체 수와 서식지가 대폭 감소했다.<ref name="Sydney"/>
 
[[매너티]]들이 생명 활동에 일정량의 담수가 필요한 데 반해 듀공은 철저히 염수 환경에만 적응해 있다. 그러나 담수 속에서 살 수 없는 것은 아니어서 해안 습지대 근변의 [[기수 (물)|기수]] 지역에서 종종 발견되기도 한다.<ref>Naik, Prabir Kumar et al. (2008) [http://www.moef.nic.in/sites/default/files/nlcp/Indian%20Case%20Studies/Q-33.pdf "Conservation of Chilika Lake, Orissa, India"]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528144443/http://www.moef.nic.in/sites/default/files/nlcp/Indian%20Case%20Studies/Q-33.pdf |date=28 May 2016 }} in Sengupta, M. and Dalwani, R. (Editors) ''Proceedings of Taal 2007: The 12th World Lake Conference: 1988–1992''</ref> 혹은, [[맹그로브]]가 무성한 해안가나 해초가 풍부한 섬에서섬에 서식하기도 한다.<ref name="IUCNpdf"/> 이들은 주로 깊이 10m 안팎의 얕은 바다에서 관찰되며 연안 지역을 크게 벗어나진 않지만, 약 37m 정도로 대륙붕이 얕게 펼쳐진 곳에서는 육상으로부터 10km 떨어진 곳까지도 활동 반경을 넓힐 수 있다. 그런 지형에서는 듀공의 먹이가 되는 [[해호말]] 같은 바닷말을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듀공은 각기 다른 목적으로 얕은 수역과 깊은 수역을 오가는 것 같은데, 얕은 수역은 번식을 원활히 하고 천적을 피하기 위하여, 깊은 수역은 해변가 쪽 물이 [[겨울]]에 추워질 때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ref name="IUCNpdf"/>
 
=== 동아프리카와 남아시아 ===
1960년대 말엽에 500마리가 넘는 듀공 무리가 [[동아프리카]]와 그 주위 도서 지역에서 발견된 적이 있었다. 그 당시에 비하여 현재 해당 지역에 잔존하는 듀공의 개체 수는 약 50마리 정도로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으며, 수가 극적으로 불어나지 않는다면 곧 해당 지역에서 절멸하게 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반면 [[홍해]]에는 특히나 많은 수의 듀공들이 살고 있으며 동·서부에 고루 분포해 있다. 1980년대에 실시된 개체 조사로 볼 때, 당시에는 약 4,000마리에 달하는 듀공 떼가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마다가스카르]]의 듀공 개체 수는 전수 조사가 이루어진 바가 없으며 관련 연구나 논문도 적지만, 현재 남아있는남아 있는 수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 여겨진다.<ref>{{웹 인용|url=http://programs.wcs.org/madagascar/Wildlife/Dugong.aspx|title=WCS Madagascar > Wildlife > Dugong|publisher=wcs.org}}</ref><ref>Davis ZR P. [http://c-3.org.uk/madagascars-dugongs-on-the-brink/ Madagascar’s dugongs on the brink]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04094956/http://c-3.org.uk/madagascars-dugongs-on-the-brink/ |date=4 April 2016 }}. c-3.org.uk</ref> [[모잠비크]]는 현재까지 명맥을 잇고 있는 듀공들이 얼마 없지만, 그 중에서도 유별나게 큰 약 120마리 정도 규모의 무리가 [[바자루토섬]]에 서식하고 있다.<ref>{{저널 인용|doi=10.1639/0044-7447(2002)031[0606:MBRIMP]2.0.CO;2|url=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10912543|title=Marine Biological Research in Mozambique: Past, Present and Future|journal=AMBIO: A Journal of the Human Environment|volume=31|issue=7|page=606|year=2002|last1=Bandeira |first1=S. O. O. |last2=Paula e Silva |first2=R. |last3=Paula |first3=J. |last4=Macia |first4=A. |last5=Hernroth |first5=L. |last6=Guissamulo |first6=A. T. |last7=Gove |first7=D. Z. }}</ref> 하지만 한때 집단 서식지로 이름나 있던 [[마푸토만]]이나 [[이냐카섬]]에서는 자취가 거의 사라졌다.<ref>[[UNESCO]]. [http://www.vliz.be/projects/marineworldheritage/Features/feature5e.php?item=The%20Indian%20Ocean Assessing potential World Heritage marine sites in the Western Indian Ocean – Marine mammals – Dugong, Whales and Dolphins]. Retrieved on 18 December. 2014</ref><ref>[http://www.dugongs.org/cons.htm SAVING ENDANGERED DUGONGS OF THE WESTERN INDIAN OCEAN]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215101802/http://dugongs.org/cons.htm |date=15 February 2015 }}. dugongs.org</ref> [[탄자니아]]는 근래 [[마피아섬 해상공원]]에서 목격담이 늘고 있으며, 특히 2009년부터 어부들의 제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는 사냥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ref name=Wiomsa>[http://www.wiomsa.org/download/wiomsa_magazine/thewiomsa_magazine_issue_no_3(2).pdf. The Wiomsa magazine – People and Environment]</ref> [[세이셸]]에서는 18세기에 멸종했을 것으로 보였지만<ref>[http://c-3.org.uk/English/Mauritius/Dugong.htm Are Dugons extinct on Mauritius?]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904155653/http://c-3.org.uk/English/Mauritius/Dugong.htm |date=4 September 2017 }}. Retrieved on September 04, 2017</ref> [[알다브라 환초]]에서 본토에 서식했던 듀공들과는 다른 개체군으로 보이는 소규모 서식지가 새로 발견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seychellesnewsagency.com/articles/2451/A+creature+of+mystery++rare+dugong+is+sighted+in+Seychelles+at+Aldabra|title=A creature of mystery – rare dugong is sighted in Seychelles at Aldabra|publisher=[[Seychelles News Agency]]|date=March 2, 2015|author=Amla, Hajira }}</ref><ref>{{저널 인용|doi=10.1080/13658816.2011.616510|url=https://www.reefresilience.org/pdf/Hamylton_etal_2012.pdf |title=Observations of dugongs at Aldabra Atoll, western Indian Ocean: lagoon habitat mapping and spatial analysis of sighting records|journal=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volume=26|issue=5|pages=839–853|year=2012|last1=Hamylton|first1=Sarah M.|last2=Hagan|first2=Annelise B.|last3=Doak|first3=Naomi}}</ref> 그 밖에도 [[차고스 제도]]에서도 서식했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시카우섬]]은 한때 듀공이 많이 찾아오는 지역이었으며 섬의 이름에서도 듀공과의 관련성이 드러나지만, 이 지역에서도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다.<ref>{{인용|url=http://www.chagos-trust.org/sites/default/files/images/Conservation%20and%20Management%20Plan.pdf|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1102064723/http://www.chagos-trust.org/sites/default/files/images/Conservation%20and%20Management%20Plan.pdf|url-status=dead|archive-date=2012-11-02|title=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British Indian Ocean Territory (Chagos Archipelago) |author=Charles Sheppard |display-authors=etal}}</ref><ref>{{웹 인용|url=http://www.sealifebase.org/country/CountrySpeciesSummary.php?c_code=826F&Genus=Dugong&Species=dugon|title=Dugong dugon, dugong|work=sealifebase.org}}</ref>
 
=== 페르시아만 ===
80번째 줄:
[[베트남]]에서는 [[끼엔장성]]·[[바리어붕따우성]]·[[푸꾸옥섬]]·[[꼰다오 제도]] 등 영토 남부에 인접한 해안가에서 서식했으며,<ref>Marsh, Helene; O'Shea, Thomas J. and Reynolds, John E. (2012)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Sirenia: Dugongs and Manate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978-0-521-71643-7}}. p. 406.</ref> 과거에는 개체 수가 매우 풍족했다.<ref name=Adulyanukosol>{{저널 인용|author=Adulyanukosol K.|title=Report of Dugong and seagrass survey in Vietnam and Cambodia|url=http://www.sirenian.org/andulyanukosolfinalreport.pdf|publisher=[[Phuket]] Marine Biological Center|accessdate=15 March 2015|url-status=dead|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24102115/http://www.sirenian.org/andulyanukosolfinalreport.pdf|archivedate=24 September 2015|df=dmy-all}}</ref> 지금은 꼰다오 제도에서만 유일하게 관찰이 가능하며, [[꼰다오 국립공원]]으로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듀공이 남아 있다.<ref>{{저널 인용|author=Cox N.|date=February 2002|title=Observations of the Dugong Dugong dugon in Con Dao National Park, Vietnam,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url=http://www.sirenian.org/coxfinalreport.pdf|accessdate=16 March 2015|url-status=dead|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24102118/http://www.sirenian.org/coxfinalreport.pdf|archivedate=24 September 2015|df=dmy-all}}</ref><ref>{{웹 인용|year=2008|title=Come to Con Dao National Park to see Dugong!|url=http://www.vietnam-beauty.com/top-destinations/destination-in-the-south/148-come-to-con-dao-national-park-to-see-dugon.html|publisher=The Vietnam-Beauty.com|accessdate=15 March 2015}}</ref> 명목상으로는 보호되고 있으나, 아직 보호의식이 깊이 형성되어 있는 환경은 아니라 포획되어 불법으로 매매되는 일도 잦다.<ref name=Adulyanukosol /> 2014년 푸꾸옥섬 지방정부 차원에서 듀공을 테마로 축제를 개최하여 이러한 인식의 필요성을 지역 사회에 상기시켜 주기도 했다.<ref name=ThanhNien>{{뉴스 인용|work=[[Thanh Nien]] News|year=2014|title=Vietnam to host first Dugong Festival on Phu Quoc Island|url=http://www.thanhniennews.com/travel/vietnam-to-host-first-dugong-festival-on-phu-quoc-island-34508.html|accessdate=16 March 2015}}</ref>
 
[[태국]]에서는 현재 [[안다만해]] 인근 6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 name="BP-20191014">{{뉴스 인용|last1=Mala |first1=Dumrongkiat |title=Gentle giants' prime pasture |url=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1771449/gentle-giants-prime-pasture |accessdate=14 October 2019 |work=Bangkok Post |date=14 October 2019}}</ref> 드물게는 [[타이만]]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ref>Adulyanukosol K., Poovachiranon S. (2006) [https://web.archive.org/web/20150319114737/http://chm-thai.onep.go.th/chm/MarineBio/Paper/Mammals/7thSEASTAR.41.pdf "Dugong (''Dugong dugon'') and seagrass in Thailand: pres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Part II: Dugong – Adulyanukosol & Poovachiranon"], pp. 41-50 in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SEASTAR2000 and Asian Bio-logging Science (The 7th SEASTAR2000 workshop)''</ref> 본래는 타이만에서도 다수가 분포했으나, 근 몇 년간 타이만 서쪽 방향에서는 전혀 관찰된 바가 없으며 동쪽으로도 소수만이 남아있으며남아 있으며 개체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f>Hines, Ellen et al. (2004) [https://web.archive.org/web/20150908055018/http://rtc.sfsu.edu/research/papers/Conservation%20of%20dugongs%20(Dugong%20dugon)%20along%20the%20eastern%20Gulf%20of%20Thailand%20in%20Thailand%20and%20Cambodia.pdf "CONSERVATION OF THE DUGONG (''Dugong dugon'') ON THE EASTERN COAST OF THE GULF OF THAILAND (THAILAND & CAMBODIA)"]. Final Report to: Ocean Park Conservation Foundation Aberdeen, Hong Kong & Project Aware, Australia</ref> 그 외에 [[조호르 해협]]·[[보르네오섬]]에 소수가 남아 있으며, [[말레이 반도]] 역시 듀공의 주요 서식지 가운데 하나이다.<ref name="IUCNpdf"/>
 
한때 [[필리핀]]은 군도 전역이 듀공 개체 수가 풍부하여 1970년대까지 흔하게 볼 수 있었지만, 현재는 환경 오염, 어망과 서식지 파괴 문제로 그리 많이 남아있지남아 있지 않다. 서식지는 [[팔라완주]]의 [[칼라미안 제도]]·[[루손섬]]의 [[이사벨라주]]·[[기마라스주]]·[[민다나오섬]] 등지에 흩어져 있다. 또한, 듀공은 필리핀 국내법에서 보호종으로 지정한 첫 번째 해양동물으로, 해할 시 무거운 처벌을 받는다.<ref name="Yan">{{뉴스 인용|last1=Yan |first1=Gregg |title=Swimming with the mermaids in Northern Palawan |url=https://www.rappler.com/science-nature/environment/204468-swimming-with-mermaids-dugong-palawan |accessdate=30 May 2019 |work=Rappler |date=9 June 2018}}</ref><ref>{{뉴스 인용 |last1=Viray-Mendoza |first1=Vicky |title=The Disappearing Dugong |url=https://maritimereview.ph/2016/11/01/the-disappearing-dugong/ |accessdate=30 May 2019 |work=The Maritime Review |date=1 November 201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1115235744/http://maritimereview.ph/2016/11/01/the-disappearing-dugong/ |보존날짜=2019-11-15 |url-status=dead }}</ref><ref>{{웹 인용 |title=Marine Wildlife Watch of the Philippines Formally Joins the DENR as Conservation Partner |url=http://www.bmb.gov.ph/index.php/mainmenu-news-events/mainmenu-news/492-mwwp-formally-joins-the-denr-as-conservation-partner |website=Biodiversity Management Bureau |publisher=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ccessdate=30 May 2019 }}{{깨진 링크|url=http://www.bmb.gov.ph/index.php/mainmenu-news-events/mainmenu-news/492-mwwp-formally-joins-the-denr-as-conservation-partner }}</ref>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때문에 필리핀에서도 듀공의 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먹이로 잘못 알고서 삼켜버려 탈이 나는 일도 잦다. 남획이나 환경 파괴를 제동시키는 마땅한 교육이 갖춰지지 않아 이러한 위협은 계속될 전망이다.<ref>{{뉴스 인용|last1=Fabro |first1=Keith Anthony |title=Plastic trash threatens dugong survival in Palawan |url=https://www.rappler.com/nation/252879-military-says-philippines-defend-without-us-help |accessdate=2 March 2020 |work=Rappler |date=September 29, 2019}}</ref>
 
그 외에는 [[솔로몬 제도]]·[[뉴칼레도니아]]·[[바누아투]]·[[팔라우]] 등 [[폴리네시아]] 지역에 두루 분포하며,<ref name="IUCNpdf"/> [[코코스 (킬링) 제도]]에는 길잃은 개체로 보이는 듀공이 확인되기도 한다.<ref>{{저널 인용|author=Hobbs A. J.-P. |author2=Frisch J.A. |author3=Hender J. |author4=Justin J. |author5=Gilligan J.J. |title=Long-Distance Oceanic Movement of a Solitary Dugong(Dugong dugon) to the Cocos (Keeling) Islands|url=http://www.aquaticmammalsjournal.org/attachments/article/186/Hobbs.pdf|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604092111/http://www.aquaticmammalsjournal.org/attachments/article/186/Hobbs.pdf|url-status=dead|archive-date=2016-06-04|journal=Aquatic Mammals|year=2007|volume=33|issue=2|doi=10.1578/AM.33.2.2007.175|pages=175–178|accessdate=2016-04-19}}</ref><ref name=ConservationCommonwealth>{{저널 인용|author=|year=2009|title=Conservation values in Commonwealth waters of the Christmas and Cocos (Keeling) Island remote Australian territories|url=http://www.environment.gov.au/system/files/resources/54ebe8f4-f3f3-4a9b-95fa-b4a65e2be9f4/files/conservation-christmas-cocos.pdf|journal=|pages=1–222|accessdate=2016-04-19}}</ref>
108번째 줄:
종의 수명은 상당히 긴 편으로 확인된 것 중 가장 나이든 개체는 생후 73년이다.<ref name="IUCNpdf"/> 천적은 매우 적지만 [[악어]]·[[범고래]]·상어 등이 사냥감으로 노리기도 하며, 특히 새끼는 적지 않게 표적이 된다.<ref name="Sydney"/> 또 [[가오리]]가 쏜 독침에 외상을 입어 죽은 경우도 있다. [[기생충]]과 세균감염에 의해서 병이 생기기도 하며, 대표적으로 [[와포자충속]]에 속하는 기생충이 확인되었다. [[퀸즐랜드]]에서 서식하는 듀공 사인 가운데 30%가 병사였다.<ref name="IUCNpdf"/>
 
무리 생활을 하는 사회적 동물이지만, 다수의 듀공들을 모두 먹일 풍부한 해초층이 있는 연안가가 지구상에 많지 않은 까닭에 주로 1~4마리 안팎으로 행동한다. 100마리가 넘는 대규모 무리를 지은 듀공들이 간혹 발견되지만 그리 오래가지 않고 금방 와해된다.<ref name="ADW"/><ref name="NatGeo"/> 수줍음이 많고 사람을 다소 꺼리는 탓에 듀공의 행동 방식에 관해서 알려진 것은 미미한 수준이다.<ref name="ADW"/> 보통은 평균 2분 30초 가량, 최대 6분 동안 숨을 참고 잠수할 수 있으며,<ref>{{저널 인용|doi=10.1016/j.jembe.2003.12.010 |url=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22520395|title=Diving behaviour of dugongs, ''Dugong dugon''|journal=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volume=304|issue=2|page=203|year=2004|last1=Louise Chilvers |first1=B. |last2=Delean |first2=S. |last3=Gales |first3=N. J. |last4=Holley |first4=D. K. |last5=Lawler |first5=I. R. |last6=Marsh |first6=H. |last7=Preen |first7=A. R. }}</ref> 숨을 쉬러 수면 위로 올라올 때는 꼬리를 아래로 하고 머리를 물 밖으로 꺼낸다.<ref name="NatGeo"/> 바다 밑바닥 39m까지 잠수할 수 있으나 보통은 수심 10m 안팎에서만 활동하고 그 깊이 이상으로 잠수하는 일은 거의 없다. 높이 지저귀는 듯한 울음소리와 휘파람, 짖는 듯한 소리 등 수중에서 전달할 수 있을 만한 여러 가지 소리를 통해 개체간 의사소통을 한다. 이 소리들은 진동수나 파장에 따라 전달하려는 뜻이 제각각 다를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시력이 별로 좋지 않아서 번식기에 벌어지는 구애 행동을 빼면 시각을 통한 의사소통은 잘 없다. 어미와 새끼는 성장하는 내내 붙어 있으며, 붙어있는붙어 있는 새끼는 자기가 어미한테어미에게 제대로 붙어있는지붙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앞지느러미로 어미를 건드리는 행동을 수 차례 반복한다.<ref name="ADW"/>
 
듀공은 자신만의 거처를 갖지 않고 나그네처럼 연안을 떠돌아다니나, 일생 동안 일정 범위 안을 배회하는 반방랑성(semi-nomadic) 동물이다.<ref name="ADW"/> 수가 많이 모이면 지역을 벗어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일도 자주 있는데, 이는 주로 먹이인 해초의 양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자신이 원래 있던 곳을 기억하는 습성 덕택에 살던 곳에서 멀리 나가도 되돌아올 수 있다.<ref name="Sydney"/> 이동은 주로 해초층이 펼쳐진 지역 안에서만 이루어지며,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듀공들이 제각각 독특한 경로를 따라 움직인다. 하루 동안 움직이는 경로는 주로 조수간만에 의존한다. 밀물과 썰물 격차가 큰 지역에 서식하는 듀공일수록 더 얕은 곳까지 해초를 뜯으러 들어온다. 호주 [[모레턴만]]에서 사는 듀공들은 곧잘 먹이가 자라는 만 안쪽과 보다 따뜻한 대양 지역을 왔다갔다하기도 한다. 저위도보다 계절차가 큰 고위도 지역에 사는 듀공들은 겨울이 오면 더 따뜻한 바다를 찾아 이동을 하기도 한다. 가끔 몇몇 듀공들은 혼자 수심이 연안보다 깊은 원양까지 며칠 동안 장거리 이동을 하기도 한다.<ref name="IUCNpdf"/> 어떤 듀공은 원래 서식지보다 훨씬 더 남쪽에 있는 [[시드니]]에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ref name=AussieFauna /> 해양동물이지만 민물을 거슬러 올라오기도 하며, [[쿡타운]]에서 15km 정도 떨어진 개천에서 한 개체가 잡히기도 했다.<ref name="Sydney"/>
144번째 줄:
 
=== 인간과의 충돌 ===
많은 국가에서 듀공을 보호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듀공이 수렵·서식지 파괴·어업 등 인간 활동에 의하여 희생되고 개체수가 급감한다.<ref name="Audubon">Reeves, R. R. (2002). ''National Audubon Society Guide to Marine Mammals of the World''. Alfred A. Knopf. {{ISBN|0-375-41141-0}}. pp. 478-481</ref>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적지 않은 듀공들이 어망에 걸려 목숨을 잃는다. [[수산업]]과 관련된 어업 대부분은 듀공의 출몰이 드문 원양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교적 연안 쪽에서 이루어지는 민간 어업이 주된 위협이 된다.<ref name="IUCNpdf"/> 듀공은 수중 호흡을 할 수 없어 물 속에 너무 오랫동안 있다가는 익사하기 때문에, 그물에 잡힌 채 어떤 도움도 받지 못한다면 그대로 목숨을 잃을 공산이 크다.<ref name="CaseStudy"/> 또 해수욕장 근처에 [[상어]]나 [[해파리]]가 침입하는 것을 막으려고 쳐 놓은 그물에 잘못 걸려 죽기도 하기 때문에, 이들 대신 주낙을 걸어 피해를 방지하는 방책도 시행 중이다.<ref name="Sydney"/> 사냥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서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금지되었지만 여전히 듀공 개체 수를 감소시키는 큰 근심거리다. 호주 북부 지역에서처럼 제한적이나마 듀공 사냥이 허용된 지역에서는 여전히 듀공의 개체 수를 좌우하는 원인이다.<ref name="IUCNpdf"/>
 
같은 목에 소속된 [[매너티]]들의 경우 지속적으로 선박에 치여 상흔을 입거나 죽는 문제가 발생했으며, 듀공 역시 정확한 사례를 찾아보기는 힘들어도 역시 위협거리 중 하나일 것으로 보인다.<ref name="IUCNpdf"/><ref name="Sydney"/> 특히 육지에서 멀지 않은 연안가에 서식하는 듀공은 모터보트 등에 치이는 사고를 직면할 위험이 높다. 듀공 서식지가 있는 몇몇 국가에서 [[생태관광]]이 성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생태관광과 듀공 사이의 관계가 명확히 밝혀진 적은 없다. [[하이난성]]과 같은 지역에서는 환경 파괴가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듀공이 살던 서식지가 점차 인공적으로 변화하고 있다.<ref name="Sydney"/> 듀공은 일생 동안 여타 해양생물보다 더 많은 중금속 이온을 대량 흡수하고 몸속에 축적한다. 보호단체나 지역을 지정하는 국가간 협력에도 불구하고<ref>Wasmi A. N. 2017. [http://www.thenational.ae/uae/environment/twenty-three-countries-unite-in-abu-dhabi-to-conserve-the-dugong Twenty-three countries unite in Abu Dhabi to conserve the dugong]. [[The National (Abu Dhabi)]]. Retrieved on April 19, 2017</ref> 대부분의 국가에서 개발을 중시하는 정치적 의견 충돌이 큰 장애가 된다. 듀공이 서식하는 연안가는 식자재나 여러 부산물을 얻는 산업적 가치가 있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는 정책이 시행되면 듀공의 보존이 그만큼 더 힘들어진다.<ref name="IUCNpdf"/>
 
[[기름 유출]] 사고와 [[간척]]은 [[일본]] [[오키나와]]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 문젯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오키나와에서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를 포함한 자연개발, 소음·화학적 공해, 토양 오염과 고갈된 [[우라늄]]으로부터의 노출 등 여러 환경 문제를 일으킨 미군 부대와 환경단체 간의 충돌이 대표적이다.<ref name="IUCNpdf"/><ref name="Okinawa"/><ref>King T.. (25 November 2014). [http://www.huffingtonpost.com/tom-king/pity-the-dugongs-us-dod-s_b_6203790.html "Pity the Dugongs: U.S. DOD Says Court Has No Jurisdiction"] on ''[[The Huffington Post]]''. Retrieved on 5 January. 2015</ref> 또한, 나중에 헤네코 암초 인근에서 조사가 진행된 결과 일본 정부가 그 지점을 통과하는 항로와 인간 활동이 듀공에게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일부러 은폐했다는 것이 드러났다.<ref>[[Associated Press]]. (21 December 2013). [http://www.47news.jp/CN/201312/CN2013122101001763.html 辺野古、船がジュゴンに悪影響 防衛省、観察記録示さず]. [[Japan News Network]]. Retrieved on 3 January 2015 {{webarchive |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26232354/http://www.47news.jp/CN/201312/CN2013122101001763.html |date=26 April 2014 }}</ref><ref>[http://www.okinawatimes.co.jp/articles/-/110408 ジュゴン1頭が生息不明 辺野古建設に伴う国の監視調査 アカウミガメ産卵も判明]</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