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레타리아 독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소비에트 정부 성립 이후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노농정부인가?"라는 논쟁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정부가 노농동맹에 입각한 프롤레타리아 독재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노농정부라고 불릴 수 있다고 하였다.
 
{{Quotation|노농정부 문제에 관하여도 그와 관련하여 꼭 말해야겠습니다. 우리 정부의 프롤레타리아적 본질과 또 여기에서 나오는 사회주의적 제과업은 우리 정부로 하여금 우리 농민의 나라에 있어서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사회주의적 및 계급적 제과업 달성함에 가장 중요한 수단인 노농동맹을 유지·강화하는 정책을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이 정책의 수행에로 이 정부를 추동하며, 필연적으로 추동하고 있다는 것, 또 그렇기 때문에 '''이 정부는 노농정부라고노농정부로 불리어진다는불린다는 것, 여기에 어떠한 모순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노농정부의 구호를 내세우며, 우리 정부를 노농정부라고 규정한 레닌이 옳았다는 것은 명백하지 않습니까?'''|[[이오시프 스탈린]], 1927년 3월 15일 『노농정부 문제에 관하여』(Об образовании Рабочего и Крестьянского правительства)에서<ref>강좌편집위원회 저, 『노농동맹과 농민문제』(1989년, 학민사) p. 200</ref>}}
 
이를 통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논의되는 '프롤레타리아 독재'({{llang|de|Diktatur des Proletariats}})는 노동자<small>(산업프롤레타리아를 포함한 광범한 노동계급)</small>·농민<small>(빈농·소농·영세농)</small>의 동맹에 기초한 독재사회라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농민의 범주에서 빈농은 프롤레타리아로 분류되나, 소농과 영세농은 소부르주아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이는 오로지 순수 노동계급에 의해 지도되는 독재국가라는 의미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보다 유연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