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되돌림
1번째 줄:
{{준보호-무기한|크기=작게}}
{{이동보호|2=문서 이름에 대한 분쟁}}
{{병합 도착지|동도 (독도)|동도 (독도)}}
{{다른 뜻}}
{{다른 뜻 2||동도|동도 (독도)}}
{{영유권 분쟁 중인 섬 정보
|이름=독도<br>獨島
|다른이름=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s), 다케시마(竹島)
|그림=Dokdo Photo.jpg
|그림설명=북쪽에서 본 독도. 왼쪽이 동도, 오른쪽이 서도.
줄 11 ⟶ 12:
|면적=동도 73,297m²<br /> 서도 88,740m²<br /> 부속도서 25,517m²<br /> 총 187,554m²
|최고점=서도 대한봉
|구성도서 = 91개 도서
|주요도서 = 동도{{·}}서도
|높이=168.5m
|위치=[[동해]]
줄 31 ⟶ 30:
|나라2행정구역1=[[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
'''독도'''(獨島)는 [[동해]]의 남서부, [[울릉도]]와 [[오키 제도]] 사이에 있는 [[섬]]으로, 동도와[[동도 (독도)|동도]]와 서도를 포함한 총 91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ref>[http://www.dokdomuseum.go.kr/mor/sub_st_01_03_03.html 환경] {{웨이백|url=http://www.dokdomuseum.go.kr/mor/sub_st_01_03_03.html |date=20100201071306 }}, 독도박물관</ref> 동도는독도의 [[동도 (독도)|동도]]는 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에 자리 잡고 있고, 서도는 동경 131도 51분 54.6초, 북위 37도 14분 30.6초에 위치해 있다.<ref>[http://www.dokdo.go.kr/Contents.do?command=detail&langType=KR&oMenuCode=MENU_CODE200811021&catg=overview&id=111 대한민국 경상북도 도청 독도수호대책팀, '사이버 독도'.]</ref> [[일본]] 정부에서는 '''다케시마'''({{llang|ja|竹島, たけしま}})라는 명칭으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제3국에서는 [[1849년]] 서양권에서 독도를 최초로 발견한 [[프랑스]] 선박인 '리앙쿠르 호'의 이름을 딴 '''리앙쿠르 암초'''({{llang|fr|Rochers Liancourt}}, {{llang|en|Liancourt Rocks}}) 등으로 중립적으로 불리고 있다. 일본의 교과서에 독도가 일본의 땅이라고 우기지만, 독도는 엄연한 [[대한민국]]의 땅이며, 일본은 독도의 자원과 여러 이득을 노리고 전혀 사실이 아닌 일방적인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라는 사실은 [[SCAPIN 제677호]] 등 여러 독도의 영유권 관련 주요 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울릉도에서는 독도가 보이지만, 일본에서는 독도의 어느 섬에서도 독도를 볼 수 없다. 이 외에도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라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는 무수히 많다. 일본인들은 이 사실을 잘 모르는데, 그 이유는 일본 정부가 독도에 관하여 거짓 정보를 담은 교과서를 학생들에게 교육했기 때문이다.
 
현재 [[대한민국]]이 실효지배하고 있으나, [[일본]] 정부에서는 이 섬을 [[대한민국]]이대한민국이 불법으로 점거하고 있다고 항의하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독도는 [[대한민국]]의 땅이며, 독도를 지키기 위한 [[대한민국]] 국민들과 기관들의 활동이 끊임없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ref>Staff [http://news.bbc.co.uk/1/hi/world/asia-pacific/4925258.stm Seoul and Tokyo hold island talks] BBC, 2006년 4월 20일</ref>
 
최종덕이 [[1965년]] [[3월]]부터 최초 거주한 이래로 김성도 부부 및 [[독도경비대원]] 35명, 등대 관리원 2명, 울릉군청 독도관리 사무소 직원 2명 등 약 40명이 거주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토종 개인 [[삽살개]] 2마리가 2년마다 교대하고 있으며, 현재는 [[삽살개]] [[동순이와 서돌이]]가 독도경비대와 함께 독도를 지키고 있다.<ref>2017년 9월 기준</ref> 또한, 2005년 동도에[[동도 (독도)|동도]]에 대한 입도 신고제 도입 이후 현재까지 약 200만 명이 방문하였고, 1일 평균 660명이 입도하고 있다.<ref>[http://dokdo.mofa.go.kr/kor/introduce/residence.jsp 주민 및 입도 관련 | 대한민국 외교부 독도 | 대한민국 외교부 독도]</ref>
 
== 명칭 ==
줄 41 ⟶ 40:
돌로 된 섬이란 뜻의 '돌섬'의 경상도 방언 명칭인 '''독섬'''을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쓰면서 '''독도'''(獨島)가 되었다. 과거에는 '''우산도'''(于山島)라고 불렸다.
 
[[일본]]에서는 '''다케시마'''({{llang|ja|竹島}})라는 명칭으로 이 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막말]] 이전의 명칭은 '''마쓰시마'''({{llang|ja|松島}})였다. 일본은 대한민국이 전쟁 중에 있을 때, 또는 IMF위기 때 등 [[대한민국]]이 위기에 처해 있거나 힘이 약할 때 독도가 일본의 땅이라고 더 거세게 주장하였으며, 이런 비도덕적인 행위는 지금도 많은 비난과 비웃음을 받고 있다.
 
[[독도 분쟁]]으로 인해 제3국에서는 '''리앙쿠르 암초'''({{llang|fr|Rochers Liancourt}}, {{llang|en|Liancourt Rocks}})라는 중립적인 명칭을 주로 사용한다.
줄 49 ⟶ 48:
이 섬은 [[동해]]의 해저 지형 중 [[울릉분지]]의 북쪽 경계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 수심 2,000m의 해양 평원에 솟아 있는 [[화산섬]]이다.<ref name="ReferenceA">김창환외, 지자기이상을 이용한 동해 독도 및 독도주변의 구조와 성인에 관한 고찰, 2002년 12월, Ocean and Polar Research, Vol.24, No.4, 491-500면 중 492면</ref> 두 개의 큰 섬인 동도(東島)와 서도(西島)를 중심으로 총 91개의 크고 작은 섬과 암초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도와 서도 사이의 거리는 151m이다. 일본에서는 동도를 오지마(男島), 서도를 메지마(女島)라고 부른다.<ref>{{웹 인용|url=https://imnews.imbc.com/replay/2017/nwtoday/article/4261752_31369.html|제목=日, 독도 11곳에 '제멋대로' 일본식 이름 표기|성=이동애|날짜=2017-04-05|언어=ko|확인날짜=2020-02-12}}</ref>
 
독도의 총 면적은 187,554m²로, 서도(西島)가 88,740m², [[동도 (독도)|동도]](東島)가 73,297m², 그 밖의 부속도서가 25,517m²이다. 서도의 최고 높이는 168.5m이고, 동도의 최고 높이는 98.6m이다. 2012년 11월부터 대한민국 정부 고시에 의거하여 서도의 최고봉은 '대한봉'(大韓峰), 동도의 최고봉은 '우산봉'(于山峰)으로 부른다.<ref>국토지리정보원고시 제2012-1268호, 《[http://gwanbo.korea.go.kr/jsp/drm/ezPDFView.jsp?ebookSeq=00000000000000001351215810778000&keyword=&sPage=95&tocSeq=00000000000000001351215850362000 지명의 제정] {{웨이백|url=http://gwanbo.korea.go.kr/jsp/drm/ezPDFView.jsp?ebookSeq=00000000000000001351215810778000&keyword=&sPage=95&tocSeq=00000000000000001351215850362000# |date=20131212201213 }}》, 국토지리정보원장, 2012-10-29</ref> 동도의 최고봉은 1950년대에는 '성걸봉'으로 불렸으며<ref>[http://news.joins.com/article/18453480 1956년 독도 등대엔 선명한 ROK], 《중앙일보》, 2015.08.15.</ref>, 2005년부터 고시 이전까지는 '일출봉'(日出峰)이라 불렸다.<ref>[http://news.joins.com/article/3147337 "독도 최고봉에 이름 없다는 사실에 큰 충격"], 《중앙일보》, 2008.05.15. ; 원래는 특별한 이름이 없었으나, 2005년에 안동립 동아지도 대표가 독도의 대축척 지도를 만들면서 이름을 붙였다.</ref> 동도와 서도 및 부속 도서는 대부분 수심 10m 미만의 얕은 땅으로 연결되어 있다.
 
독도의 [[동도 (독도)|동도]]는 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섬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약 87.4&nbsp;km 떨어져 있으며, 일본 시마네 현 [[오키 제도]]에서는 약 157.5&nbsp;km 떨어져 있다. [[한반도]]에서의 거리는 약 216.8km이며, 일본 [[혼슈]]에서의 거리는 약 211km이다. 날씨가 좋으면 울릉도 동쪽 해안에서 육안으로 이 섬을 볼 수 있다.<ref name="SeeDokdo">[http://www.dkbnews.com/bbs/data/dica/1110987941/ul1.jpg 울릉도에서 보이는 독도] {{웨이백|url=http://www.dkbnews.com/bbs/data/dica/1110987941/ul1.jpg# |date=20050415080432 }} (도깨비뉴스).</ref><ref name="SeeDokdo2">[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447010 울릉도에서 독도 보인다…일본 거짓주장 들통] [[서울 방송|SBS]] 뉴스</ref>
 
독도는 약 460~250만 년 전에 형성된 해양섬 기원의 화산체로서, 섬 주변에 분포하는 지층들을 아래에서부터 괴상 [[응회각력암]], [[조면안산암]] I, 층상 [[라필리응회암]], [[층상응회암]], [[조면안산암]] II, 스코리아성 층상 [[라릴리응회암]], [[조면안산암]]III, [[각력암]], [[조면암]], 염기섬 암맥 등 총 9개의 화산암층으로 이루어져 있다.<ref name="ReferenceB">박찬 외, 독도 암석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8년 2월, 터널과 지하공간, 제18권, 제1호, 69-79면</ref> 현재는 오랜 세월동안 침식되어 화산의 흔적은 찾기 힘들다.<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0984&yy=2008 (여기는 독도) 깎이고 부서지며 460만년…화산섬 내력] 《매일신문》2008년 11월 07일</ref> 독도(특히 동도)의 지반은 불안정한데, 이것은 [[단층]]과 [[절리]], 균열, 그리고 불완전한 공사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ref name="ReferenceB"/> 독도는 지질학적으로 울릉도의 화산암류와 비슷한 전암 화학조성을 갖는 [[알칼리 현무암]], [[조면 현무암]], [[조면 안산암]] 및 [[조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ref name="ReferenceA"/>
줄 106 ⟶ 105:
2005년 독도의 기존 토지 및 부속도서를 측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지적공부를 정정하여 독도의 지적현황이 전체적으로 변경됨에 따라 [[2006년]] [[9월 14일]] 문화재청장은 문화재보호법 제6조에 의거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된 《독도 천연보호구역》의 문화재구역을 당초 고시한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37필지 180,902평미터(보호구역)"을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01필지 187,554평방미터(지정구역)으로 정정고시하였다.<ref>문화재청고시제2006-80호,《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천연보호구역) 문화재구역 정정 고시》, 관보 제16338호, 2006-09-14</ref>
 
2002년 경상북도는 환경부에 '[[울릉도]]·독도 해상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했으나, 이는 울릉군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www.bosa.co.kr/umap/sub.asp?news_pk=48189 |제목=디지틀보사<!-- 봇이 따온 제목 --> |확인날짜=2010-01-2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911014829/http://www.bosa.co.kr/umap/sub.asp?news_pk=48189 |보존날짜=2011-09-11 |url-status=dead }}</ref><ref>{{웹 인용 |url=http://www3.knps.or.kr/www/webzine/webzine_view.asp?pnum=18&tnum=207 |제목=국립공원관리공단 - National Parks of Korea - 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봇이 따온 제목 --> |확인날짜=2010-01-2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120065430/http://www3.knps.or.kr/www/webzine/webzine_view.asp?pnum=18&tnum=207 |보존날짜=2011-11-20 |url-status=dead }}</ref><ref>{{웹 인용 |url=http://ug3.ulleung.go.kr/zb/zboard.php?id=active1&no=7# |제목=보관된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0-01-2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831192710/http://ug3.ulleung.go.kr/zb/zboard.php?id=active1&no=7# |보존날짜=2011-08-31 |url-status=dead }}</ref>
 
==== 독도 사철나무 ====
줄 141 ⟶ 140:
 
=== 동물 ===
2005년과 2006년에 이루어진 실태조사를 통해 독도에서 관찰된 조류는 126종이다.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은 [[괭이갈매기]]이었고, 약 7,000여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그리고 [[바다제비]], [[슴새]], [[참새]]가 서식하고 있는데,<ref>김창회 외, 독도의 조류상, 2007년 12월, 한국조류학회지, 제14권, 제2호, 113-125면</ref> 최근 슴새와 바다제비의슴새의 수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바다제비 수는 증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ref>{{웹 인용|url=http://m.world.kbs.co.kr/special/dokdo/introduction/environment_natural.htm?lang=k#a02|제목=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성=김종권|이름=출처|날짜=|웹사이트=|출판사=KBS|확인날짜=20202011-0806-0325}}</ref> 섬은 남북으로 왕래하는 철새들이 쉬어가는 주요 휴식처이다. 조류는 여러 가지의 천연 기념물이 있다. [[짐승]]은 [[1973년]] 경비대에서 [[토끼]]를 방목하였으나 지금은 한 마리도 서식하지 않는다. [[곤충]]은 7목 26과 37종이 서식하고 있다. 인근 [[해양]]에는 [[파랑돔]], [[가막베도라치]], [[일곱줄얼게비늘]], [[넙치]], [[미역치]], [[주홍감펭]] 등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ref>[http://www.dokdomuseum.go.kr/mor/sub_st_01_03_03_01e.html 지리생태자료] {{웨이백|url=http://www.dokdomuseum.go.kr/mor/sub_st_01_03_03_01e.html# |date=20120117203052 }}, 독도박물관</ref> 또한 [[대구지방환경청]]은 지난 2007년 5월부터 6개월 동안 [[경북대학교]] 울릉도·독도연구소와 공동으로 네 차례에 걸쳐 이 섬의 생태계를 조사한 결과 이 섬에 [[무척추동물]] 26종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2007년]] [[12월 11일]]에 발표했다.<ref name="hani20071211" /> 2013년에는 시베리아의 텃새인 [[솔양진이]] 수컷 한 개체가 남한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동도에서 발견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www.sportsworldi.com/Articles/LeisureLife/Article.asp?aid=20131120021331&OutUrl=naver |제목=보관된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3-11-2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24101648/http://www.sportsworldi.com/Articles/LeisureLife/Article.asp?aid=20131120021331&OutUrl=naver |보존날짜=2013-12-24 |url-status=dead }}</ref>
 
==== 바다사자 ====
줄 255 ⟶ 254:
== 주요 시설 ==
=== 동도 ===
{{본문|동도 (독도)}}
* 경비 초소: 1999년 건물 옥상(해발고도 95m)에 무인기상관측장비(Automatic Weather System, AWS)를 설치하여 독도의 기온, 풍향, 풍속, 강수량을 매시간 측정하여 그 자료를 무선통신으로 울릉도로 송신하고 있음<ref>이종범과 김재철, 울릉도와 독도 지역의 기후변화 추세와 그 요인, 2007년 6월, 한국자연보호학회지, 제1권, 19-28면 중 20면</ref>
* 막사 9동
260번째 줄:
 
=== 서도 ===
{{본문|서도 (독도)}}
* 어민 숙소 1동(2층, 120m<sup>2</sup>로 약 36[[평 (단위)|평]])
* 등반로 550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