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Falsenot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44번째 줄:
|기타 =
}}
'''정약전'''(丁若銓, [[1758년]] [[4월 8일]]([[음력 3월 1일]])~[[1816년]] [[6월 30일]]([[음력 6월 6일]]))은 조선 후기의 [[문관]], [[실학자]], 저술가, [[생물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정씨 (丁)|나주]], 자는 천전(天全), 호는 손암(巽庵), 연경재(硏經齋), 매심(每心)이다.<ref>정약용, 《여유당전서》 제1집, 〈시문집〉 권15, 둘째 형 정약전 묘지명[先仲氏墓誌銘]</ref> [[정약현]](丁若鉉)의 동생이며, [[정약종]], [[정약용]]의 형이다.
 
[[흑산도]] 연해의 어류 생태계를 연구, 기록한 실학서 《[[자산어보]]》의 저자다저자이다.
 
== 생애 ==
1758년([[조선 영조|영조]] 34년) [[음력 3월 1일]], [[경기도]] [[광주군 (경기도)|광주부]] [[마현마재]](또는 마현(馬峴), 지금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서 [[진주시|진주]][[목사 (관직)|목사]]를 지낸 정재원(丁載遠)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정재원의 두 번째 부인인 윤소온(尹小溫, [[윤두서]]의 손녀 윤소온(尹小溫)이다. [[정약현]]은 이복형, [[정약종]]과 [[정약용]]은 동복동생이다.
 
1776년([[조선 영조|영조]] 52년) 아버지 정재원이 호조좌랑에 오르면서 서울로 왔다. [[성호 이익]]의 학문을 계승한 [[권철신]] 문하에서 수학하며, 이윤하, [[이승훈 (1756년)|이승훈]], 김원성 등과 교유했고, 이들을 통해 서양의 학문과 사상을 접했다.
 
1779년([[조선 정조|정조]] 3년) 스승 권철신이 [[여주]] 주어사(走魚寺)에서 연 강학회에서 [[이벽]] 등과 함께 천주교 교리를 토론하며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였다.<ref>{{웹 인용 |제목=주어사 |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342 |웹사이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저자=이충우 |날짜=1997 |확인날짜=2021-04-12}}</ref><ref>{{뉴스 인용 |제목=1779년 겨울 언 샘물에 세수하고 서학을 공부하다 |url=http://m.cpbc.co.kr/paper/view.php?cid=781049 |날짜=2020-06-14 |확인날짜=2021-04-12 |뉴스=가톨릭평화신문 |호=1586호}}</ref>
1783년([[조선 정조|정조]] 7년) [[사마시]](소과)에 합격했다. 1790년(정조 14년) [[증광시|증광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부정자(副正字)와 병조좌랑(정6품)을 지냈다. 1798년(정조 22년), 정조의 명으로 [[경상도]] 출신 인물들을 평한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편찬에 참여했다.
 
1783년([[조선 정조|정조]] 7년) [[사마시]](소과)에 합격했다.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에 연루되어 [[전라도]] [[신지도]]에 유배되었다가, 조카사위인 [[황사영]]의 [[황사영 백서|백서 사건]]으로 다시 [[흑산도]]로 이배되었다. 유배 생활을 하며 흑산도 연해에 서식하는 어류를 직접 관찰하고 연구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생물학 전문서인《[[자산어보]]》를 저술했다.
 
1784년 [[베이징]]에서 세례를 받고 온 [[이승훈 (1756년)|이승훈]]의 주도로 [[김범우]]의 집에 세운 조선 최초의 천주교회에서 동생 [[정약종|약종]]과 [[정약용|약용]], [[이벽]] 등과 함께 주일 [[미사]]와 강론 등 천주교 종교 활동을 했고, [[가성직제도]] 하에서 사제직까지 수행하면서 초기 천주교 전파의 핵심적 역할을 했다. 이 시기에 동생들은 세례를 받았지만, 정약전은 베이징에 가서 받을 생각으로 받지 않았다.<ref>{{뉴스 인용 |제목=[신앙의 명가를 찾아서] 정하상 바오로 성인의 후손들 |url=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201635 |날짜=1997-03-23 |확인날짜=2012-04-12 |뉴스=가톨릭신문 |호=2045호}}</ref> 이 활동은 1785년 3월, [[형조]](刑曹)에 적발되었지만, 김범우 이외의 참석자는 처벌을 받지 않았다. ([[을사 추조 적발 사건|을사추조적발사건]])
1816년, 유배 16년만에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1783년([[조선 정조|정조]] 7년) [[사마시]](소과)에 합격했다. 1790년(정조 14년) [[증광시|증광별시]]에 병과로병과(丙科)로 급제하여, 부정자(副正字)와 병조좌랑(정6품)을 지냈다. 1798년(정조 22년), 정조의 명으로 [[경상도]] 출신 인물들을 평한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편찬에 참여했다.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에 연루되어 [[전라도]] [[신지도]]에 유배되었다가, 조카사위인 [[황사영]]의 [[황사영 백서|백서 사건]]으로 다시 [[흑산도]]로 이배되었다. 유배 생활을 하며 서당을 지어 섬 아이들을 가르쳤고, 흑산도 연해에 서식하는 어류를 직접 관찰하고 연구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생물학 전문서인《[[자산어보]]》, 저술했다조선 조정의 소나무 정책을 비판하는 《송정사의》, 흑산도 [[홍어]] 상인 [[문순득]]의 표류기인 《표해시말》 등을 썼다.<ref>{{웹 인용 |제목=자산어보[玆山魚譜]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생물학 전문 서적 |url=http://contents.history.go.kr/front/kc/main.do?levelId=kc_r300780 |웹사이트=우리역사넷 |출판사=국사편찬위원회 |확인날짜=2021-04-12}}</ref>
 
1816년(순조 16년), 유배 16년 만에 내흑산 우이도(牛耳島)에서 59세을 일기로 사망했다.
 
== 가계 ==
줄 81 ⟶ 87:
 
== 정약전이 등장한 작품 ==
* 드라마 《[[소설 목민심서]]》(2000, [[KBS]], [[2000년]]~[[2000년2TV]], 배우:[[김규철]])
* 소설 《[[흑산 (소설)|흑산]]》(2011, [[김훈 (소설가)|김훈]])
* 영화 《[[자산어보 (영화)|자산어보]]》(20202021, [[설경구]] 분)
 
== 저서 ==
* 《[[자산어보]]》
* 《송정사의》: 조선 조정의 소나무 관련 정책에 대한 비판문
* 《표해시말》 : 어물 장수 [[문순득]]의 표류기
 
== 전기참고 자료 ==
* 정약용, 《여유당전서》 제1집, 〈시문집〉 권15, 둘째 형 정약전 묘지명[先仲氏墓誌銘]
 
== 각주 ==
<references/>
 
== 같이 보기 ==
* [[이강회정약종]](李綱會)
* [[신안 우이도 유암총서와 운곡잡저]]
* [[정약용]]
* [[자산어보]]
* [[신안 우이도 유암총서와 운곡잡저]]
 
== 외부 링크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0551 정약전(丁若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3111&keyword=정약전 정약전 - 가톨릭대사전]
 
== 참고 자료 ==
* {{글로벌백과}}
 
{{전거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