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angjinhwa/작업실2: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8번째 줄:
흔치 않은 "삼진 포인트"는 미국 [[야구]](보통 [[투수]]만을 위함)의 수비 통계로 이닝의 분수 부분을 나타낸다. 공격 팀은 3번의 [[아웃 (야구)|아웃]]이 허용되므로 각 아웃은 방어 이닝의 3분의 1로 간주되고 '''.1'''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한 야구 선수가 4회, 5회, 6회를 모두 투구하여 7회에 2아웃을 달성한다면 해당 선수의 투구 이닝은 {{분수|3|2|3}}(일부 경기 기록관들이 대체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에 해당하는 '''3.2'''로 표기될 것이다. 이 사용법에서는 숫자의 부분만 내부 형식으로 작성된다.<ref>{{웹 인용|url=https://www.blessyouboys.com/2019/1/9/18172095/baseball-stats-for-beginners-earned-run-average-field-independent-pitching-explained|제목=A complete beginner’s guide to baseball stats: Pitching statistics, and what they mean|저자=Ashley MacLennan|날짜=2019년 1월 9일|웹사이트=Bless You Boys|확인날짜=2020년 7월 30일}}</ref><ref>{{웹 인용|url=https://www.mlb.com/stats/team/pitching/innings-pitched?split=rp|제목=Stats - Team - Pitching|웹사이트=MLB (Major League Baseball)|확인날짜=2020년 7월 30일}}</ref>
 
삼진법 수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나 [[칸토어 집합]]과 같은 자기 유사 구조를 편리하게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3번째 표현은 칸토어 집합이 구성되는 방식 때문에 칸토어 집합과 관련 점 집합을 정의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칸토어 집합은 숫자 1의 어떤 인스턴스도 포함하지 않는 3차 식을 가진 0부터 1까지의 점들로 구성된다.<ref>{{저널 인용|이름=Mohsen|성=Soltanifar|제목=On A sequence of cantor Fractals|저널=Rose Hulman Undergraduate Mathematics Journal|권=7|호=1|id=Paper 9|날짜=2006년}}</ref><ref>{{저널 인용|이름=Mohsen|이름=Soltanifar|제목=A Different Description of A Family of Middle–α Cantor Sets|저널=American Journal of Undergraduate Research|권=5|호=2|쪽=9–12|날짜=2006년}}</ref> 삼진 시스템의 모든 종단 팽창은 마지막 0이 아닌 항 이전의 항과 동일하고 그 다음에는 1번째 표현의 마지막 0이 아닌 항보다 작은 항, 그 다음에는 2개의 무한 꼬리가 있는 식과 같다. 예를 들어 0.1020은 0.1012222...와 같다. 1번째 식 "2"까지 확장이 동일하기 때문에 2번째 확장에서는 2개가 감소했고 2번째 식에서는 후행 0이 후행 2로 대체되었다.
 
삼진법은 가장 낮은 밑 경제(Radix economy)를 가진 정수의 밑이며 [[이진법]]과 [[사진법]]이 근접하게 뒤따른다. 이는 [[자연로그의 밑]](''e'')에 근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효율성 때문에 일부 컴퓨팅 시스템에 활용되어 왔다. 또한 모든 분기에 간단한 경로를 허용하는 전화 메뉴 시스템과 같은 3가지 옵션 "트리"(Trees)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