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2번째 줄:
| 이름 = 최진실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68년 12월 24일 (54세){{출생일|1968|12|24}}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2008|10|2|1968|12|24}}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봉안묘지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건지미길 5 [[갑산공원묘원]] 하늘재 소공원)
| 사망지 =
| 직업 = [[배우]]
| 활동기간 = [[1988년]] ~ [[2008년]]
11번째 줄:
| 자녀 = [[작곡가]] 겸 [[래퍼]] [[최환희]](아들) <br/> 최준희(딸)
| 친척 = 배우 [[최진영 (배우)|최진영]](남동생) <br/> 배우 [[최재성 (배우)|최재성]](6촌 오빠) <br/> 연출가 최상현(종숙)
| 종교 = [[장로회기독교]]
}}
 
'''최진실'''([[1968년]] [[12월 24일]] ~ [[2008년]] [[10월 2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 name="윤고은">윤고은.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2082461 '국민요정'에서 '줌마렐라'까지 최진실의 파워]. 연합뉴스. 2008년 5월 13일.</ref> 1990년대를 대표하는 배우로, 텔레비전 배우로서는 [[김희애]]·[[채시라]], 영화 배우로서는 [[강수연]]·[[심혜진]] 등과 트로이카를 구축했으며, 광고계·방송계·영화계를 걸쳐 흥행의 측면에서 연예계 전체를 리드했다. 이는 탈신비화 전략, 포용적 태도, 유연한 사고, 진취적 행보로 정치권력, 경제권력, 사회권력, 문화권력의 핵과 연결성을 확보함으로써 가능하였다.
 
1988년 광고 모델로서 연예계에 데뷔하였고 이듬해인 1989년 [[문화방송|MBC]] 《[[조선왕조 오백년]] - [[한중록 (드라마)|한중록]]》(1988년)에 출연하면서 배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 20여 년 동안 밝은 이미지로 140여 편의 광고, 20여 편의 TV 드라마, 18편의 영화 등에서 주연 배우로서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ref>[[2007년]] [[7월 12일]], [[문화방송|MBC]] [[토크 쇼]] 《[[지피지기]]》에 출연한 방송인 [[이지희]]는 최진실의 광고 출연 총 횟수가 140여 편이라고 밝혔다.</ref><ref name="윤고은"/><ref>정유미. [http://www.maxmovie.com/movie_info/sha_news_view.asp?newsType=&page=&contain=&keyword=&mi_id=MI0080310334 최진실, 웃음과 감동을 준 그녀의 영화 18편]. 맥스뉴스.</ref> 출연한 여러 작품의 성공으로 인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대중으로부터 오랫동안 널리 사랑을 받고 연기력 또한 인정받아 국민배우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다.<ref>오계옥. [https://lightson1109.tistory.com/140 안녕, 배우 최진실]{{깨진 링크|url=https://lightson1109.tistory.com/140 }}. 씨네21. 2008년 10월 31일.</ref>
20번째 줄:
2000년대 대한민국은 [[세계 경제 포럼]](WEF)이 조사하는 '세계 성 격차 지수(Global Gender Gap Index)'에서 하위권을 기록하는 국가로서 성 불평등 문제가 심각한 사회였는데, 최진실은 이런 사회 분위기 속에서 성차별을 불식시켜나가는 데 이바지한 바 있다는 평가가 있다. 부부 나이 차이 역전, 이혼유책주의([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2&aid=0002018943 leverage]) 활용([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2&aid=0001960827 레버리지]), 친권포기각서 수령, 자녀의 성·본 변경, 친권 자동부활금지 법안 제정 등과 관련하여 능동적인 여성상을 보여 주었고 아동 인권 수호에도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가부장제 타파와 젠더권력 해체에도 이바지하였다.<ref>이준일·장영.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0018519 최진실 "집단성폭행 피해 여중생 돕고 싶어요"]. 노컷뉴스. 2004년 12월 15일.</ref><ref>김지영. [https://woman.donga.com/3/all/12/132452/1 30억 손해배상 청구소송 당한 최진실 참담한 심경 고백]. 여성동아. 2005년 1월 3일.</ref><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474420 한국 '性격차' 지수 92위..튀니지와 UAE와 비슷] . 연합뉴스. 2006년 11월 22일.</ref><ref>정양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2087903 “한국 성차별 인도보다 심해”]. 동아일보. 2009년 10월 29일.</ref><ref>권혁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32&aid=0001942111 (경향포럼)주노·허수경·최진실의 선택]. 경향신문. 2008년 2월 24일.</ref><ref name="이현우">이현우. [https://archive.today/20160227055034/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3120305501001 토크쇼 첫진행 최진실 “동성애 관련 주제 다뤄보고 싶다”]. 뉴스엔. 2008년 3월 12일.</ref><ref name="윤고은"/><ref>윤고은.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2107181 최진실 "싱글맘들에게 희망 준 판결"]. 연합뉴스. 2008년 5월 30일.</ref><ref>홍정원. [https://archive.today/20160227060358/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6010813141004 최진실 “성 변경 왜 축하받나 생각에 씁쓸”(일문일답)]. 뉴스엔. 2008년 6월 1일.</ref><ref>이수현.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1948462 두자녀 姓 바꾼 최진실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설명했다"(인터뷰)]. 머니투데이. 2008년 6월 1일.</ref><ref>고동명. [https://news.v.daum.net/v/20150605161311499 法 "어머니 있어도 할아버지가 키워야" '최진실법' 첫 적용]. 뉴시스. 2015년 6월 5일.</ref><ref name="김은">김은정. [https://archive.today/20160107020345/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552199 인간의 기본적인 문제 입법활동 펼치는 진선미 국회의원 "호주제 연구는 제 삶에 상징적인 사건, 새로운 길 열어줘"]. 전북일보. 2015년 6월 19일.</ref><ref>박병률. [https://news.v.daum.net/v/20151004133303254 "페미니즘이 한국을 구할 것. 변화는 순식간에 온다"]. 경향신문. 기사입력 2015년 10월 4일. 기사수정 2015년 10월 5일.</ref><ref name=우수>윤여수.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420896 남성 중심 사회에 메시지를 던지다]. 스포츠동아. 2015년 11월 4일.</ref><ref>손동욱. [https://archive.today/20160326025800/http://www.lawissu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447 안철수 국민의당 “‘최진실법’ 주도한 이건태 전 검사 입당”]. 로이슈. 2016년 1월 31일.</ref><ref>이지혜.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2796 (문화예술, 성평등을 말하다) 여성영화인의 ‘든든’한 연대, 20년의 기록]. 여성신문. 2019년 9월 8일.</ref><ref>박다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503737 “엄마 성 따라봤자 외할아버지 성?” 양현아 교수가 댓글에 답합니다]. 한겨레. 2020년 7월 4일.</ref>
 
활발한 활동 중 갑작스럽게 은퇴하게세상을 됐으며,떠나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에 [[삶의 의미]]에 대한 큰 물음을 던졌으며, [[심리부검|심리적 부검]]을 통한 문제 해결에 대해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이렇게 [[심리부검|심리적 부검]]의 중요성이 공유되면서 스스로 은퇴한세상을 떠난 자에 대한 사회적 시선 교정에 실마리가 제공되었다. 최진실의 은퇴는죽음은 대한민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모순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계기가 되었다.<ref name="박은">박은경.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9&aid=0001983934 재벌급 연예인 스타는 누구?]. 매일경제. 2008년 6월 20일.</ref><ref>전경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306&aid=0000000692 <인사이드뉴스>최진실의</ref><ref name="오점">오점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4&aid=0002002776 문방위, "최진실법 도입" 등 공방]. YTN.</ref><ref>김미영.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3371 파란만장한 그녀, 사라지다]. 씨네21. .</ref><ref>남동철.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3253 최진실과 우리]. 씨네21. .</ref><ref>이미경.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3499 정말 악플 때문에 죽음을 선택한 것일까요?]. 씨네21.</ref><ref>[https://archive.today/20160402024356/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76362 광복 이후 최고의 연예계 사건은 '최진실 자살']. 아시아투데이. 2009년 8월 15일.</ref><ref name="숨">박종률.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449780 "매일 35명씩 스스로 목숨을 끊는 한국"]. 노컷뉴스. 2010년 4월 19일.</ref><ref name="심리">강지원. [https://archive.today/20160402002931/http://www.ytn.co.kr/_ln/0103_201104261317287880 강지원 앵커, "최진실씨, 노무현 전 대통령, 정몽헌씨 심리적 부검 제안"(YTN FM)]. YTN. 2011년 4월 26일.</ref><ref name="김은"/><ref>전가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07181 (복지변호사의 서울 현장 일기)갈 곳 없는 김군을 위한 유언장]. 경향신문. 2015년 6월 16일.</ref><ref>전가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25478 (복지변호사의 서울 현장 일기)갈 곳 없는 김군을 위한 유언장(2)]. 경향신문. 2015년 8월 18일.</ref><ref>이대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2&aid=0002010360 최진실과 함께 '신세대 문화'는 막을 내렸다!]. 프레시안. 2015년 9월 28일.</ref><ref>최진실의 죽음은 2008년 정기 국회 기간에 [[대한민국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여당과 야당 간에 공방이 이루어졌던 사안이었다. 정기 국회는 통상 매년 9월에서 11월에 걸쳐 이루어지고 이 기간에 국정 감사도 행해진다. 이 시기에 [[3S 정책]]의 일환 혹은 충격 상쇄 아이템의 일환으로 선정적인 연예인 기사가 쏟아져 나온다는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434047 통설]이 있다. 최진실이 악덕 사채업자라는 유언비어도 2008년 9월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널리 퍼져나갔고, 2009년 6월에 중간 유포자만 처벌받고 최초 유포자는 오리무중인 채로 사건이 종결되었다.</ref>
 
[[최진실의 죽음|최진실의 은퇴]] [[허위사실유포]]행위와 관련하여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켰고, 연예인의 사회적 위상을 바로잡는 데 영향을 주어 [[명예훼손]]행위에 대한 연예인의 소송 제기에 대해 당연한 권리 행사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로써 허위의 사실이 음지에서 흐지부지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공론의 장에서 투명하게 처리되는 물꼬가 트였다. 또 [[베르테르 효과]]에 의해 연예인 한 명이 700명의 생명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 [https://www.ted.com/talks/megan_kamerick_women_should_represent_women_in_media 언론]에 대해 [[파파게노 효과]]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ref>정경화.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1938869 최진실, "나훈아 회견 서글펐다"]. 마이데일리. 2008년 2월 1일.</ref><ref name="오대">오대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1991460 '재환아 … " 주저앉은 최진실]. 노컷뉴스. 기사입력 2008년 9월 8일 오후 2:21. 최종수정 2008년 9월 8일 오후 2:52.</ref><ref name="오대1">오대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1991466 '재환아!']. 노컷뉴스. 2008년 9월 8일 오후 2:40.</ref><ref name="오대2">오대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1991543 정선희 문병하고 나오는 최진실]. 노컷뉴스. 2008년 9월 8일 오후 7:42.</ref><ref name="오대3">오대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1991545 망연자실한 최진실]. 노컷뉴스. 2008년 9월 8일 오후 7:55.</ref><ref name="오대4">오대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1991546 최진실 '모든게 꿈이었으면']. 노컷뉴스. 2008년 9월 8일 오후 8:06.</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1997586 김창룡 교수 "최진실 자살 후속 보도, 미디어의 횡포"]. 노컷뉴스. 2008년 10월 3일.</ref><ref>김종우. [http://media.daum.net/politics/assembly/view.html?cateid=1020&newsid=20081005160504360&p=yonhap `최진실法' 공방 격화..국감 최대 쟁점 부상]. 연합뉴스. 2008년 10월 5일.</ref><ref name="오점"/><ref>김창룡.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06&aid=0000032895 '최진실법', 용어도 법안 추진도 부적절]. 미디어오늘. 2008년 10월 8일.</ref><ref name="신민">[http://mmnm.tistory.com/546 신민섭]. [https://archive.today/20120714224534/http://three-m.kr/546 최진실 장례식, 생중계 마이크를 내려 놓고]. 3M흥업. 2008년 10월 9일.</ref><ref name="심리"/><ref name="입증">[https://archive.today/20160402002052/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18/2014031802298.html 유명인 자살보도와 모방자살 상관관계 첫 입증…故최진실씨 '베르테르 효과' 가장 높아]. 조선일보. 2014년 3월 18일.</ref><ref name="황진">황진미. [https://entertain.v.daum.net/v/20150303141404167 '나이트크롤러', 어느 '기레기'의 씁쓸한 성공기]. 엔터미디어. 2015년 3월 3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8&aid=0000056911 '뉴스룸', 故 최진실 추모 클로징 주목, "지금도 키보드 살인은 계속되고 있다"]. 스포츠서울. 2015년 10월 2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37&aid=0000093346 (내일) 10월 2일…여배우 최진실 사망 (2008)]. JTBC. 2015년 10월 1일.</ref><ref name="정제">정제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37&aid=0000102391 (탐사플러스)댓글, 여론의 흐름 좌우…반복적 댓글의 '세뇌 효과']. JTBC. 2015년 12월 23일.</ref><ref name="임송">임송학.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2673914 남이 쓴 내 이야기… 자고나니 ‘대국민 거짓말쟁이’ 됐다]. 서울신문. 2016년 1월 28일.</ref>
 
성공한 연예인, 성공한 여성으로서 대한민국 사회의 빛과 그림자 모두를 겪었지만, 대한민국 사회의 모순에 눈감지 않고 배우로서 연예인과 여성의 인권 수호에 남달리 관심을 가졌다. 최진실의 삶에는 역사의식, 사회의식, 인권의식이 잘 드러나 있었다. 하지만 연예인과 여성에 대한 혐오가 만연한 대한민국 사회에서 연예계와 여성계를 방어하면서, '허위사실유포에 취약하여 고립되기 쉬운 연예인'이라는 특수한 위치, '부와 명예의 편중이 심한 연예계에서 연예인으로서 대(大)성공한 사람'이라는 특수한 위치, '사회적 소수자인 여성이지만 주류 사회에서 최고의 자리에 있던 사람'이라는 특수한 위치로 인해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 친족, 친구, 친지, 지인 등과의 신뢰 관계에도 균열을 가져오는 여론 조작이라는 위기가 발생했을 때에 대중과의 직접 소통을 지향하는 정면돌파를 택했다.<ref>[[정춘숙]].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47&aid=0001956074 '가정폭력'도 '광고주' 위해 참으라는 대법원]. 오마이뉴스. 2009년 6월 23일.</ref><ref name="심리"/><ref>이하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10&aid=0000016572 욕설 댓글에 표현의 자유라니]. 여성신문. 2013년 3월 28일.</ref><ref name="입증"/><ref>이세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10&aid=0000050849 강호순·유영철·강남역 살인사건 공통점...언론의 편협한 시각]. 여성신문. 2016년 5월 25일.</ref><ref name="서어">서어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2&aid=0002015289 "강남역 살인, '화장실법' 아니라 차별금지법 필요"]. 프레시안. 2016년 5월 27일.</ref><ref>강형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320917 (미디어 전망대)남성 편향적 방송계 리더십]. 한겨레. 2016년 6월 7일.</ref><ref>김서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10&aid=0000075242 진실과 진리 악플에 스러졌다]. 여성신문. 2019년 10월 24일.</ref><ref>김소정.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8&aid=0004525483 “구하라·설리 사망, 연쇄살인…男, 여성혐오 성찰해야”]. 이데일리. 2019년 11월 27일.</ref>
1,433번째 줄:
[[분류:1968년 태어남]]
[[분류:전주 최씨]]
[[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기독교도]]
[[분류:서울불광초등학교 동문]]
[[분류:동명여자중학교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