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희재 (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용인 학생(토론)의 편집 2개를 211.232.204.124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TW)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장희재'''(張希載, [[1651년]]<ref group="주해">승정원일기 숙종 27년(1701년) 11월 2일 기록에 장희재의 나이가 51세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1651년 생임을 알 수 있다.</ref> ~ [[1701년]] [[10월 29일]])는 [[조선]] 후기 무관이자 [[조선 숙종|숙종]]의 척신으로 [[희빈 장씨|옥산부대빈 장씨]]의 동복 오빠이자 [[조선 경종|경종]]의 외삼촌이다. [[1694년]] [[갑술환국]] 후 제주로 유배되었다가 [[1701년]] [[무고의 옥]]에 연루되어 음력 10월 29일 한양에서 참수되었다. 본관은 [[인동 장씨|인동]]이다.
 
== 가계출신 ==
장안의 한량으로 누이인 [[희빈 장씨]] 덕에 분에 넘치는 자리에 올랐다는 《인현왕후전》 등 영조 정권 수립 후에 집필된 여러 서적의 내용 탓에 현대인에겐 흔히 시장에서 노름과 싸움이나 일삼았던 백수건달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17-8세기 조선어로 장안이란 단순히 한성을 뜻하며, 한량이란 무관 혹은 무과를 준비하는 입시생들을 두고 문관과 그 가족이 "글 공부를 하거나 농사나 짓지 쓸데없이 인생을 허비한다."며 얕잡아 일컫던 경칭이다. 실제로 장희재는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으로 진출<ref>《단암만록》, [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30613_000&aa10no=kh2_je_a_vsu_30613_001&aa15no=&aa20no=&pageno=&imgnum=JE_A_30613_001_000042&imgsize= 8pg(pdf 기준)]</ref>1680년(숙종 6)에는 조선 무관의 최고 청요직이자 꽃이라 불리었던 [[내금위]]에 있었으며<ref>숙종실록 35권, 숙종 27년 10월 22일 을해 3번째기사 중 "일찍이 경신년 간에 희적(希賊)이 비천(卑賤)한 출신으로 내금위(內禁衛)가 되었을 때"</ref> 1683년(숙종 9)에는 종6품 포도부장이었다.<ref>숙종실록 17권, 숙종 12년 12월 10일 경신 4번째기사 중 "계해년 3월 13일은 인조 반정(仁朝反正)의 회갑(回甲)이 되는 날이었다. (중략) 장희재는 이때 포도 부장(捕盜部將)으로서"</ref> 그리고 1689년(숙종 15) 2월에 원자의 외족들의 품작을 높여줄 때 종6품 군자감 주부로 제수<ref>승정원일기 333책 (탈초본 17책) 숙종 15년 2월 11일 기유 5/26 기사 중 "張希載爲軍資主簿"</ref>되었으니 누이가 후궁이 되어 덕을 보았다는 인식은 전부 허구에 불과하며 오히려 집권당인 노론의 성녀였던 [[인현왕후]]에게 모진 견제를 받았던 누이로 인해 승봉에 차별을 받았음만 증명된다.
 
1689년 2월 의정부영의정으로 추증되고 1689년 5월 옥산부원군<ref>1694년 4월, 인현왕후 민씨가 복위되어 장옥정이 중전의 자리에서 강등됨에 따라 부모에게 내려진 부원군과 부부인 교지도 처분되었다. 하지만 옥산부원군 신도비는 그대로 유지하도록 명하였다.</ref>으로 추봉된 역관 [[장형 (조선)|장형]]의 아들이며 파산부부인으로 봉해진 어머니 윤씨는 사역원 종4품 첨정이었던 윤성립(尹誠立, 1689년 정경으로 추증)의 딸로, 윤씨의 어머니 변씨는 조선시대 최고의 갑부로도 알려진 [[변승업]]의 당고모이다.
 
희빈 장씨의 동복오빠이며 위로는 이복형인 장희식과 동복누나가 한 명 있다. 18세의 나이로 역과에 장원을 하여 일찌감치 역관 관직에 나섰던 이복형 장희식<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J1_6JOb_1657_000454&isEQ=true&kristalSearchArea=true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봇이 따온 제목 -->]{{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J1_6JOb_1657_000454&isEQ=true&kristalSearchArea=true }}</ref>은 1691년 이전에 후사없이 요절했으며, 동복누나는 종7품 관상감 직장이었던 김지중에게 출가해 1691년 당시 3남 1녀를 두었다.
 
정6품 사과 김덕립의 딸 김씨(=작은아기)와 혼인하여 차경 등 3남을 두었다.<ref>옥산부원군신도비</ref> [[동평군|동평군 이항]]과의 친분으로 1680년 [[숭선군]]저의 사패구사<ref>왕족과 공신에게 내려지는 공노비</ref>의 딸이자 당대 장안 최고의 가기(歌妓)였던 안숙정을 첩으로 취했다. 숙정에게서 아들 종경을 보았다.
 
== 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