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단논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우리말샘 출처 제거 (부정확한 정보를 포함하며 출처로서 신뢰될 수 없는 이용자 참여 사전)
136번째 줄:
| 그러므로 임금은 죽는다. || 소명사와 대명사 || 결론
|}
위 표에서 처럼 정언적 삼단논법은 3개의 [[명제]]와 총3개의 명사를 갖도록 구성되어야한다. 따라서 4개이상의 명사를 사용하게되면 삼단논법은 오류에 빠지게 된다. 이경우를 '4명사 오류'라 하며 또한 3개의 명사인것처럼 보이나 중명사가 동음이의인 경우의 '4명사 오류'는 특히 '[[중명사 양의의 오류]]'라고 한다.<ref>(우리말샘)중명사 양의의 허위(中名辭兩義의虛僞) 정언적 삼단 논법에서, 두 전제 속에 나타나는 중명사가 모호하기 때문에 생기는 허위.</ref>
 
==정언적 삼단논법의 제7규칙==
142번째 줄:
: 1. [[중명사]]는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며 이때 중명사는 한번은 주연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명사는 한번은 명제안에서 주연하여야 하는데 이렇지 못한 경우의 오류는 '[[중명사 부주연의 오류]]'라고 한다.
 
: 2. 또한 대명제는 대개념과 [[중개념]](중명사)이 결합하고 소명제는 소개념과 중개념이 결합한 경우이며 여기서 부주연한 대개념(대명사)이나 소개념(소명사)의 경우에는 결론에서 주연할 수 없는데 이를 어길 경우에 '대개념 부당주연의 오류'나 '소개념 부당주연의 오류'와 같은 [[부당주연의 오류]](부당주연의 허위)가 발생한다.<ref>(우리말샘)부당 주연의 허위(不當周延의虛僞),대개념 부당 주연의 허위(大槪念不當周延의虛僞),소개념 부당 주연의 허위(小槪念不當周延의虛僞)
,소명사 부당 주연의 허위(小名辭不當周延의虛僞)</ref>
 
===[[정언명제|명제의 양과질]]의 오류===
줄 169 ⟶ 168:
 
==기호논리학==
삼단논법은 F1~F4의 추론형식에서처럼 간접추론의 주요한 논리적 프레임(frame)을 가지며 이는 F5의 [[드 모르간의 정리]](De Morgan의定理)나 연언 명제(F6)같은 직접추론들과 함께 [[기호논리학]](Symbolic Logic)의 전반적인 체계를 보여준다. <ref>[참고]Symbolic Logic 1897 Lewis Carroll - https://www.gutenberg.org/files/28696/28696-h/28696-h.htm</ref><ref>우리말샘 - 드 모르간의 정리 등</ref>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삼단논법은 복합삼단논법에서처럼 삼단논법으로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정교한 기술(Symbolic)을 구현할수있다.
 
== 같이 보기 ==
줄 179 ⟶ 178:
==참고==
{{각주}}
*(우리말샘) 삼단논법 , 간접추리 ,명제,생략3단논법 , 약식삼단논법,복합 3단논법등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LOGIC
INDUCTIVE AND DEDUCTIVE 1915 WILLIAM MINTO)https://www.gutenberg.org/files/31796/31796-h/31796-h.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