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조선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 외부링크 == → == 외부 링크 ==)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중국조선어'''(中國朝鮮語) 또는 '''재중 한국어'''(在中韓國語)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 거주하는 [[한민족]] 사이에서 쓰이는 [[한국어]]를 가리킨다.
 
{{언어 정보
|이름=중국조선어|자기이름=중국조선말
|자기이름=
|IPA=
|계통색=
줄 22 ⟶ 21:
|지도_설명=
}}
'''중국조선어중국조선말'''(中國朝鮮語) 또는혹은 '''재중 한국어조문'''(在中韓國語{{llang|zh|朝文}})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 거주하는 [[한민족조선족]] 사이에서 쓰이는 [[한국어]]를 가리킨다.
 
== 개요 ==
34번째 줄:
현실적으로 중국조선말은 균질적인 것이 아니라 아주 다양하다. [[조선]] 시대부터 한반도각지에서 만주지역으로 이주했다. 일반적으로 [[함경도]] 출신자들은 [[두만강]] 건너편인 [[지린성]]으로 가고, [[평안도]] 출신자들은 [[압록강]] 건너편인 [[랴오닝성]]으로 가는 경우 많았기 때문에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함경도의 방언적 특징이 강하게 남아 있고 랴오닝성에서는 평안도의 방언적 특징이 강하게 남아 있다. 한국어의 방언과 각 지역의 관계는 대략 아래와 같다.
 
*동북(함경도) 방언 :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헤이룽장성]] [[무단장|목단강]] 시 등. 연변의 두만강 연안 동부 지역은 육진 방언이다.
*서북(평안도) 방언 : [[랴오닝성]] 중부,동부;[[지린성]] 남부.
*동남(경상도) 방언 : [[옌볜 조선족 자치주]]를 제외한 [[지린성]] 기타 지방, [[헤이룽장성]] 서부, 북부와 [[랴오닝성]] 일부.
 
표준어와 서남(전라도) 방언은 큰 사용 지역이 없고 동북 각성에 산재하고 있다. 중부 방언 지역으로서 [[지린성]] 유하현 강가점향 경기둔(吉林省 柳河県 姜家店郷 京畿屯)을 들며, 서남 방언 지역으로서 [[지린성]] 교하현 천북향 영진촌(吉林省 蛟河県 天北郷 永進村)을 들 수 있다.<ref>{{llang|zh|宣德五}}・{{llang|zh|金祥元}}・{{llang|zh|赵习}}(1985)“{{llang|zh|朝鲜语简志}}”,{{llang|zh|民族出版社}}</ref>제주방언 등 다른 방언의 지역은 형성되지 않았으나 이주1세 중에서 가끔 포함되어 있다.
42번째 줄:
== 특징 ==
음운, 문법, 어휘 각 분야에 있어서 바탕에 깔린 한국어 방언에 따라 지역마다 방언적 특징을 가진다.
 
=== 음운 ===
서남 방언 지역에서는 단모음 {{IPA|[ø]}}(ㅚ)와 {{IPA|[y]}}(ㅟ)를 가지며 동남 방언 지역에서는 {{IPA|[ɛ]}}(ㅐ)와 {{IPA|[e]}}(ㅔ)가 구별되지 않는다. 중국조선말은 일반적으로 한반도북부 방언의 영향력이 강하여 일부의 /ㅈ/, /ㅊ/, /ㅉ/이 /ㄷ/, /ㅌ/, /ㄸ/으로 나타나거나 모음 /i/, 반모음 /j/에 앞선 /ㄴ/이 어두에 올 수 있는 등 북부 방언의 특징들을 잘 간직한다.
줄 58 ⟶ 59:
== 각주 ==
{{각주}}
 
{{한국어의 방언}}
[[분류:한국어의 방언]]
 
== 외부 링크 ==
* [http://www.yanbian.gov.cn/ 연변조선족 자치주 공식홈페이지]
 
{{한국어의 방언}}
[[분류:한국어의 방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