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무용 음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urasianMaster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Runeuser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한국의 무용 음악'''({{lang|漢|韓國-舞踊音樂}})은 [[한국 전통 무용]]에 반주로 사용되는 [[음악]]이다. 한국의 무용 음악은 크게 [[제례 무용 음악]], [[궁중 무용 음악]], [[민속 무용 음악]]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제례(祭禮)와 궁중연례(宮中宴禮)에는 그 제도가 [[악]](樂)·[[노래|가]](歌)·[[무]](舞)라 하여, [[기악]]과 [[성악]]과 [[춤]]이 삼위일체가 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일무(佾舞)와 궁중무용(呈才)은 무용음악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궁중음악은 거의 모두가 무용음악으로도 쓰인다. 민속무용음악은 [[타악기]]만으로 연주되는 예도 있고, [[관현악기]]로 편성된 삼현육각(三絃六角)으로 연주되는 예도 있다. 타악기로만 연주하는 무용음악은 그 곡 이름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굿거리]]·[[타령]] 등과 같이 장단 이름이 같은 경우(예: 굿거리·자진굿거리·살풀이·자진살풀이)와 곡 이름과 장단 이름이 다른 경우(예: 반염불-도드리, 허튼타령-타령, 당악-볶는타령)가 있다. 일무와 정재의 무용음악은 많은 특수악기가 동원된 대편성으로 웅장하고 장중한 표현력을 갖는데, 민속무용음악은 소편성으로 간결하고 재치있는 표현력을 갖는다. 일무의 무용음악은 아정하고 현묘하며, 정재의 무용음악은 장중하고 화려하고, 민속무용의 무용음악은 흥겹고 구성지다.
 
== 제례무용음악(祭禮舞踊音樂)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