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자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조각보와 보자기는 전혀 다른 말입니다. 조각보는 자투리 천을 모아 보자기나 밥상 보 등으로 만들어 쓴 한국 전통 민속문화재입니다. 반면에 보자기는 물건을 싸는데 쓰는 천을 지칭하는
1번째 줄:
[[file:Korea-Joseon-Bojagi-01.jpg|300px|right|thumb|보자기]]
'''보자기'''는 여러물건을 조각의싸는 자투리작은 천을 모아뜻하는 만든 보자기로 [[한국]] 고유의 민속문화이다말이다.
가로 세로 크기는 보통 1m 정도이며, 팔 너비를 넘지 않는다.
 
== 특성용도 ==
손에 들고 다닐 수 있는 간단한 선물을 싸거나, 직장을 옮길때 개인 사물을 쌀 때에도 주로 쓰인다.
궁중보다는 주로 민간에서 쓰였던 것으로, <ref name = "bs"> {{서적 인용 |편집자= 김여경, 홍나영 |제목= 조각보 의미 분석을 통한 문화상품 개발 방안|꺾쇠표= 예|초판발행일자= 2009-3-15 |판= |출판사= 복식 제59권 3호 |쪽= 146 }} </ref>
[[조선시대]] 천이 귀하던 시절에 옷이나 이불을 만들고 남은 자투리 천을 모아 붙여 물건을 싸거나 밥상을 덮는데 쓰였다.
 
== 같이 보기 ==
대부분 비단이나 모시 등 쉽게 상하는 천연소재로 만들어져, 현존하는 조각보는 주로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들이다.<ref name = "su"> {{서적 인용 |편집자= 이종분 |제목= 조선시대 조각보의 배식이미지에 대한 감성적 고찰 |꺾쇠표= 예|초판발행일자= 1999 |판= |출판사= 서울디자인포럼학회 연구집 vol.8 |쪽= 216 }} </ref>
* [[조각보]]
독창적이고 고유한 한국적 디자인 소재로 평가받아, 조각보의 색상과 면구성 형태를 재가공하여 현대 복식이나 [[가구]], [[공예]], [[건축]] 등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은은한 [[파스텔]] 톤과 원색계통의 다색구성과, [[무채색]] 위주의 단색구성이 있으며, 대부분 불규칙한 구성으로 상호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다.<ref name = "ur"> {{서적 인용 |편집자= 최윤혜 은영자 |제목= 전통 조각보의 색채, 면구성을 응용한 패턴의 감성이미지 연구|꺾쇠표= 예|초판발행일자= 2004-3-26 |판= |출판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6권 3호 |쪽= 266 }} </ref>
 
== 평가 ==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이라고 요약할 만큼 작위적이지 않고, 민중의 알뜰한 생활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으로, 전문적 예술작품이 아니라 생활지혜의 소산이다.<ref name = "ur"/>
 
== 주석 ==
{{주석}}
 
[[분류:한국어 낱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