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항원'''(抗源)은 [[면역]] 반응을 일으켜 특히 [[항체]]를 생산하게끔 만드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생명체]]내에서 이물질로 간주되는 물질의 총체이다. 항원은 주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로서 [[단백질]]이지만 [[다당류]], 인공적으로 합성된 물질, [[부착소]], 자신의 몸속에 생긴 변이세포([[암]]세포)등의 다양한 것들도 항원이 될 수 있다.
항원은 주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로서 [[단백질]]이지만 [[다당류]], 인공적으로 합성된 물질, [[부착소]], 자신의 몸속에 생긴 변이세포([[암]]세포)등의 다양한 것들도 항원이 될 수 있다.
 
== 항원의 유형 ==
줄 30 ⟶ 29:
* [[세포]]의 인식여부: 주조직적합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에 의해 면역세포가 항원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보통 세포들이 항원이 될 수 있는 분자를 탐식작용으로 끌어들여 소화한 후 주조직적합복합체에 그 조각을 붙여서 세포 밖으로 제시(presenting)한다. 이 과정을 통해 면역체계를 담당하는 세포들이 항원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 면역학적 관용: 자신의 몸 속에 있는 분자들을 인식하는 면역세포들은 면역세포의 발달과정에서 걸러져 면역학적 관용의 대상이 된다. 즉, 자기자신의 분자는 면역 반응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면역학적 관용을 인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데 과다한 면역 반응의 결과인 각종 [[알레르기]]의 치료는 이러한 관용을 유도함으로써 가능하다.
* 자가면역질환: 자기자신의자기 자신의 조직 분자일지라도 면역세포에 노출되지 않았었다면않았다면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직접 [[혈액]]과 접촉하지 않는 관절 속의 연골조직이나 [[눈 (동물해부학)|눈]]의 [[수정체]] 등은, 성장한 후(면역기능이 생긴 후) 혈액속으로 그 조직의 일부가 흘러들어가는 경우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가면역질환들이 생겨난다고 알려져 있다.
 
== 바깥 고리 ==
* [http://www.histochem.net/histochemistry%20protocol%20antigen%20retrieval.htm Antigen Retrieval Protocol]
National Library of* Medicine/Medline (National Insititute of Health) website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2224.ht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Medline (National Insititute of Health) 웹사이트]
 
== 더 알아보기보기 ==
* [[항원결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