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쓰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hero2006 (토론 | 기여)
Qkqhrhkdtn(토론)의 6741083판 편집을 되돌림: 출처 없는 글
83번째 줄:
=== 메이지 시대 ===
 
1869년 1월 19일(메이지 원년 12월 7일), 보신 전쟁에 패한 무쓰ㆍ데와ㆍ에치고의 여러 동맹제번에 대한 처분이 내려졌다. 이 날, 무쓰는 리쿠오(陸奧)ㆍ리쿠츄(陸中)ㆍ리쿠젠(陸前)ㆍ이와시로(岩代)ㆍ이와키(磐城)의 다섯 쿠니로 분할되었다. 이 중 리쿠오는 지금의 아오모리 현에 이와테현 서북쪽 니노헤군을 더한 범위였으며, 초기의 미치노쿠니에서 300km 정도 떨어진 곳의 땅을 가리키게 되었다.<ref>8세기 전반까지의 기나이 조정의 토호쿠 지방에서의 지배 지역은 지금의 미야기 현보다 남쪽이었고, 그 북쪽에는 에미시가 살고 있었다. 1869년에 성립된 무쓰노쿠니는 천 년 전의 '무쓰노쿠니'라 불리던 미야기 현 남쪽에서 보면 약 300km도 떨어진 완전히 다른 지역이 된다. 때문에 메이지 시대에 분할되었을 당시에는 '신(新)'자를 앞에 붙여서 '신무쓰'라고 불렸다. 무쓰의 한자표기 '陸奧'의 훈독 발음인 '무쓰'에서 음독 발음인 '리쿠오'로 바뀐 것도, '陸'이라는 한자가 들어간 3개 쿠니의 독법을 음독으로 통일한다는 의미와 함께 '옛 무쓰'와 '새 무쓰'의 구별을 위한 목적도 있었다.</ref> 리쿠오의 영내에 있던 번은
 
* [[토나미 번]]
91번째 줄:
* 하치호 번
 
등이었다.
등이었다. 무쓰와 동시에 분할된 데와노쿠니가 치쿠시노쿠니ㆍ토요쿠니ㆍ비국의 전례에 모방해 우젠ㆍ우고와 '전ㆍ후'로 나뉜 것과는 달리, 무쓰는 에치노쿠니나 기비노쿠니가 '전ㆍ중ㆍ후'로 나뉘어 성립된 에치고노쿠니나 빈고노쿠니에 모방해 '리쿠고노쿠니'가 되는 대신 '무쓰노쿠니'라는 이름자를 그대로 계승했다. 이러한 메이지 정부의 지방 지배 체제는 그 후의 [[폐번치현]]이나 진대 등에 의해 실현되었고, 메이지 원년의 무쓰 분할은 정치적으로도 지역권ㆍ문화권 성립에도 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사람들은 관청 용어인 '리쿠오'라는 음독 대신 예전에 써오던 '무쓰'라는 훈독을 더 즐겨 썼다. 다만 분할 뒤의 국명은 오늘날까지 철도역이나 지방도시 등의 지명에 쓰이고 있다. 또한 리쿠오ㆍ리쿠츄ㆍ리쿠젠의 3개 쿠니를 총칭한 '[[산리쿠|산리쿠(三陸)]]'라는 호칭은 산리쿠 해안을 비롯해 오늘날까지 정착해 있다.
 
등이었다. 무쓰와 동시에 분할된 데와노쿠니가 치쿠시노쿠니ㆍ토요쿠니ㆍ비국의 전례에 모방해 우젠ㆍ우고와 '전ㆍ후'로 나뉜 것과는 달리, 무쓰는 에치노쿠니나 기비노쿠니가 '전ㆍ중ㆍ후'로 나뉘어 성립된 에치고노쿠니나 빈고노쿠니에 모방해 '리쿠고노쿠니'가 되는 대신 '무쓰노쿠니'라는 이름자를 그대로 계승했다. 이러한 메이지 정부의 지방 지배 체제는 그 후의 [[폐번치현]]이나 진대 등에 의해 실현되었고, 메이지 원년의 무쓰 분할은 정치적으로도 지역권ㆍ문화권 성립에도 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사람들은 관청 용어인 '리쿠오'라는 음독 대신 예전에 써오던 '무쓰'라는 훈독을 더 즐겨 썼다. 다만 분할 뒤의 국명은 오늘날까지 철도역이나 지방도시 등의 지명에 쓰이고 있다. 또한 리쿠오ㆍ리쿠츄ㆍ리쿠젠의 3개 쿠니를 총칭한 '[[산리쿠|산리쿠(三陸)]]'라는 호칭은 산리쿠 해안을 비롯해 오늘날까지 정착해 있다.
 
== 주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