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중요무형문화재'''(重要無形文化財)는 보존 가치가 크다고 인정되는 문화적 소산 가운데 국가에서 문화재로서 지정한 것을 말한다. [[2007년2008년 현재10월]] 119호까지가제121호까지가 지정되어 있다.
 
== 중요무형문화재지정 목록 ==
=== 제1호 ~제30호 제20호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5px; font-size:80%;"
=== 제1호~제30호 ===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border-collapse:collapse;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font-size:80%;
|- align=center bgcolor=#efefef
| width=50|번 호번호 || width=290|이 름이름 || width=50|지정일 ||width=250| 설 명설명 || width=70|발 원발원 || width=90|보유자 ||width=90| 관리자 || width=90|소재지
|-
| style="text-align:center;"| 제 1호제1호 ||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종묘에 봉안된 조선시대 역대 임금의 제사를 지내는 데 필요한 음악·노래·춤 일체를 일컫는 말.|| 세조 10년(1464년) ||-||-|| 서울 종묘
|-
| style="text-align:center;"| 제 2호제2호 || [[양주별산대놀이]](楊州別山臺놀이) || || 경기지방에서 연희되어 온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한 분파.|| 경기 ||[http://www.yangjutal.com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 || 양주시
|-
| style="text-align:center;"| 제 3호제3호 || [[남사당덧보기]] (男寺黨놀이)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 4호제4호 || [[갓일장]] || [[1991년]] || 갓은 조선시대 사대부의 대표적인 관모(官帽)의 하나 || [[통영]] || 정춘모(66) || || 삼성동 문화재 전수회관 3층
|-
| style="text-align:center;"| 제 5호제5호 || [[판소리]] || ||부채를 든 한 사람의 창자(소리꾼)가 한 사람의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창(소리. 노래)·아니리(말. 白)·너름새(몸짓)를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엮어 가는 극적인 음악. [http://www.cein.or.kr/chonbuk_culture/pansori/pansori_01.html 출처] || 여러 설이 있음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 6호제6호 || [[통영오광대]] (統營五廣大) || [[1964년]]|| 조선조 후기의 가면극. || 경상남도 || [http://www.okwangdae.or.kr/ 통영오광대 보존회] || || 경남 통영
|-
| style="text-align:center;"| 제 7호제7호 || [[고성오광대]] (固城五廣大) ||[[1964년]]|| 고성오광대는 경남 고성 지방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면극. || || [http://www.ogwangdae.or.kr/ 고성오광대보존회]|| ||경남 고성군
|-
| style="text-align:center;"| 제 8호제8호 || [[강강술래]] ||[[1965년]]||영남,호남 해안일대와 섬 등에서 전승되는 민속놀이 혹은 민요. 강강수월래(江江水越來)라고도 부름.||여러 설이 있음.|| || ||진도무형
문화재전수교육관
|-
| style="text-align:center;"| 제 9호제9호 ||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1966년]]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마을 사당인 별신당에서 열리는 제사로 백제 군사들의 넋을 위로하고, 마을의 풍요와 평화를 기원하는 향토축제. ||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 은산별신제보존회 ||유상렬([[1898년]]생],차진룡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
| style="text-align:center;"| 제10호 || [[나전장]](螺鈿匠) ||[[1997년]] || || || 이형만 || ||강원도 원주시 단계동 942-3번지
줄 58 ⟶ 57:
|-
| style="text-align:center;"| 제20호 || [[대금정악]](大금正樂) || || || || || ||
|}
=== 제21호 ~ 제40호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5px; font-size:80%;"
|- align=center bgcolor=#efefef
| width=50|번 호번호 || width=290|이 름이름 || width=50|지정일 ||width=250| 설 명설명 || width=70|발 원발원 || width=90|보유자 ||width=90| 관리자 || width=90|소재지
|-
| style="text-align:center;"| 제21호 || [[승전무]](勝戰舞) || || || || || ||
줄 78 ⟶ 82:
|-
| style="text-align:center;"| 제30호 || [[가곡]](歌曲) || || || || || ||
|-
|}
 
=== 중요무형문화재 제31호~제60호 ===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border-collapse:collapse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 align=center bgcolor=#efefef
| width=50|번 호 || width=290|이 름 || width=50|지정일 ||width=250| 설 명 || width=70|발 원 || width=90|보유자 ||width=90| 관리자 || width=90|소재지
|-
| style="text-align:center;"| 제31호 || [[낙죽장]](烙竹匠) || - || - || - || - || - || -
줄 93 ⟶ 90:
|-
| style="text-align:center;"| 제34호 || [[강령탈춤]](康翎탈춤) || -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35호 || [[조각장]](彫刻匠) || -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제36호</s> || <s>판소리[[조선왕조궁중음식심청가]](朝鮮王朝宮中飮食)</s> || 1970년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제37호</s> || [[처용무]]<s>화장(處容舞靴匠)</s> || -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38호 || [[조선왕조궁중음식]](朝鮮王朝宮中飮食)|| -1970년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39호 || [[처용무]](處容舞)|| -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40호 || [[학연화대합설무]](鶴蓮花臺合設舞) || - || - || - || - || - || -
|}
=== 제41호 ~ 제60호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5px; font-size:80%;"
|- align=center bgcolor=#efefef
| width=50|번 호번호 || width=290|이 름이름 || width=50|지정일 ||width=250| 설 명설명 || width=70|발 원발원 || width=90|보유자 ||width=90| 관리자 || width=90|소재지
|-
| style="text-align:center;"| 제41호 || [[가사 (문학)|가사]](歌詞)|| - || - || - || - || - || -
줄 129 ⟶ 130:
| style="text-align:center;"| 제51호 || [[남도들노래]](南道들노래)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제52호</s> || -<s>[[시나위]]<s>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53호 || [[채상장]](彩箱匠)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제54호</s> || -<s>끊음질</s>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55호 || [[소목장]](小木匠) || || || - || - || -|| -
줄 143 ⟶ 144:
| style="text-align:center;"| 제58호 || [[줄타기]]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제59호</s> || -<s>[[판소리고법]]</s>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60호 || [[장도장]](粧刀匠) || || || - || - || - || -
|-
|}
 
=== 중요무형문화재 제61호 ~제90호 제80호 ===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border"margin-collapseleft:collapse5px;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font-size:80%;"
|- align=center bgcolor=#efefef
| width=50|번 호번호 || width=290|이 름이름 || width=50|지정일 ||width=250| 설 명설명 || width=70|발 원발원 || width=90|보유자 ||width=90| 관리자 || width=90|소재지
|-
| style="text-align:center;"| 제61호 || [[은율탈춤]](殷栗탈춤) || || || - || - || - || -
158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제62호 || [[좌수영어방놀이]](左水營漁坊놀이)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제63호</s> || -<s>북메우기</s>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64호 || [[두석장]](豆錫匠) ||1980년 11월 17일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65호 || [[백동연죽장]](白銅煙竹匠) || || || - || - || - || -
193번째 줄:
|-
| style="text-align:center;"| 제80호 || [[자수장]](刺繡匠) || || || - || - || - || -
|}
=== 제81호 ~ 제100호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5px; font-size:80%;"
|- align=center bgcolor=#efefef
| width=50|번호 || width=290|이름 || width=50|지정일 ||width=250| 설명 || width=70|발원 || width=90|보유자 ||width=90| 관리자 || width=90|소재지
|-
| style="text-align:center;"| 제81호 || [[진도다시래기]](珍島다시래기) || || || - || - || - || -
줄 235 ⟶ 240:
|-
| style="text-align:center;"| 제90호 || [[황해도평산소놀음굿]](黃海道平山소놀음굿) || || || - || - || - || -
|-
|}
 
=== 중요무형문화재 제91호~제116호 ===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border-collapse:collapse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 align=center bgcolor=#efefef
| width=50|번 호 || width=290|이 름 || width=50|지정일 ||width=250| 설 명 || width=70|발 원 || width=90|보유자 ||width=90| 관리자 || width=90|소재지
|-
| style="text-align:center;"| 제91호 || [[제와장]](製瓦匠) || || || - || - || - || -
줄 249 ⟶ 247:
| style="text-align:center;"| 제93호 || [[전통장]](箭筒匠)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제94호</s> || -<s>벼루장</s>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95호 || [[제주민요]](濟州民謠) || || || - || - || - || -
줄 262 ⟶ 260:
|-
| style="text-align:center;"| 제100호 || [[옥장]](玉匠) || || || - || - || - || -
|}
=== 제101호 ~ 제120호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5px; font-size:80%;"
|- align=center bgcolor=#efefef
| width=50|번호 || width=290|이름 || width=50|지정일 ||width=250| 설명 || width=70|발원 || width=90|보유자 ||width=90| 관리자 || width=90|소재지
|-
| style="text-align:center;"| 제101호 || [[금속활자장]] || || || - || - || - || -
줄 301 ⟶ 304:
| style="text-align:center;"| 제119호 || [[금박장]]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제120호 || [[석장]](石匠) || [[2007년]] || || || 이의상, 이재순 ||-|| 경기
|}
=== 제121호 ~ 제140호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5px; font-size:80%;"
|- align=center bgcolor=#efefef
| width=50|번호 || width=290|이름 || width=50|지정일 ||width=250| 설명 || width=70|발원 || width=90|보유자 ||width=90| 관리자 || width=90|소재지
|-
| style="text-align:center;"| 제121호 || [[번와장]](翻瓦匠) || [[2008년]] || || || 이근복 ||-|| 서울
|}
 
== 해제 목록 ==
{| width="700px"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margin-left:5px; font-size:80%;"
|- style="background-color:#cccccc;"
! 해제일
! 지정번호
! 등록명
! 해제 사유
! 변경/신규 지정
|-
| 1973.11.05
|align=center| 제36호
| 판소리[[심청가]] || 통합 ||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
| 1975.05.03
|align=center| 제52호
| [[시나위]] || 보유자 부재 || 지정 해제
|-
| 1982.02.05
|align=center| 제37호
| 화장 || 보유자 부재 || 지정 해제
|-
| 1990.07.20
|align=center| 제94호
| 벼루장 || 보유자 부재 || 지정 해제
|-
| 1991.11.01
|align=center| 제59호
| [[판소리고법]] || 통합 ||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
| 1995.03.16
|align=center| 제54호
| 끊음질 || 통합 ||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
| 1995.03.16
|align=center| 제63호
| 북메우기 || 통합 || 중요무형문화재 제42호
|}
== 외부 고리 ==
* [http://www.cha.go.kr/korea/indexheritage/search/search01.actionjsp?mc=NS_04_03_01 문화재청 - 문화재 검색]
{{Commons}}
* [http://www.cha.go.kr/korea/index.action 문화재청]
* [http://www.ocp.go.kr/l_treasure/ 한국의 세계유산]
* [http://www.heritage.go.kr/ 국가문화유산 종합정보서비스]
* [http://www.fpcp.or.kr/index.html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http://www.kpicaa.co.kr/ 한국무형문화재 기능보존협회]
* [http://www.unesco.or.kr/whc/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 위원회]
* [http://www.culture-arts.go.kr/index.jsp 문화예술종합정보시스템] : 제7호 고성오광대 등의 영상자료 관람가능.
* [http://www.nricp.go.kr/ 국립문화재연구소]
 
{{대한민국의 문화재|상태=펼침}}
{{대한민국문화재}}
 
[[분류:중요무형문화재| ]]
[[분류:대한민국의 문화재| 중요무형문화재]]
 
[[en: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