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1908년]] 사립 원산원흥일어학교(元山源興日語學校)를 졸업한 뒤 모교에서 교원이 되었다가 바로 퇴직했다. 1908년 3월 함경남도 영흥경찰서 영흥분서 통역, [[1909년]] 4월 함경남도 영흥경찰서 도번역관 보(道飜譯官補)로 근무한 뒤 [[1910년]] 7월 경상남도 창녕경찰서에서 통감부 경찰서 통역생으로 근무했으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인 1910년 10월부터 1912년 6월까지 경상남도 창녕경찰서에서 통역생으로 근무했다. 경상남도 진주경찰서(1912년 6월 임명), 평안남도 평양경찰서(1912년 12월 임명), 함경남도 홍원경찰서(1914년 4월 18일 임명), 함경남도 원산경찰서(1916년 4월 7일 임명), 함경남도 영흥경찰서(1918년 9월 17일 임명)에서 경부로 근무했고 [[1912년]] [[8월 1일]] 일본 정부로부터 한국병합기념장, [[1915년]] [[11월 10일]] 다이쇼대례기념장을 받았다.
 
경성부 종로경찰서 도경부(1919년 7월 임명), 평안남도 도경시(1920년 8월 12일 임명), 평안남도 경찰부 보안과장(1921년), 경기도 도경시(1925년 1월 15일 임명), 경기도 경찰부 형사과장(1925년 2월 5일 ~ 1929년), 경기도 도경시 겸 순사교습소 교관(1925년 7월 4일 ~ 1929년)으로 근무한 뒤 경찰직에서 퇴직했고 [[1928년]] [[1월 20일]] 일본 정부로부터 훈6등 서보장, 1928년 11월 16일 쇼와대례기념장을 받았다. 경성부 종로경찰서 재직 시절 미즈노(水野) 렌타로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의 특명을 받은 뒤 중국 상하이에 파견되어 [[대한민국 임시 정부]] 요인들의 동태를 파악했다는 기록이 있다.
 
[[1930년]] [[2월 28일]] 경기도 진위군수로 임명된 뒤부터 행정관료로 근무했으며 [[1932년]] [[1월 25일]] 경기도 경성부 부이사관(府理事官) 겸 서무과장, 1932년 6월 6일 경성부 부이사관 겸 사회과장으로 각각 임명되었다. [[1933년]] [[1월 19일]] 일본 정부로부터 훈5등 서보장을 받았고 [[1934년]] [[4월 29일]] [[만주 사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일본 정부로부터 하사금을 받았다. [[1935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평안북도 참여관으로 임명되었으며 1935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로부터 시정 25주년 기념표창과 은배 1조를 받았다. [[1937년]] 2월 전라남도 참여관 겸 산업부장으로 임명된 뒤 전라남도지방미곡통제조합연합회 회장(1937년 2월 ~ 1938년 6월), 전라남도 도농회장(1937년 3월 ~ 1938년 6월), 광주보호관찰심사회 예비위원(1937년 4월 ~ 1938년), 전라남도방공위원회 위원(1938년 3월 ~ 1938년 7월) 등을 역임했으며 [[1938년]] [[1월 3일]] 《[[매일신보]]》에 실린 신년사를 통해 일본 천황의 만수무강과 국운의 융성을 기원하고 총후의 책무 완수를 강조했다.
 
1938년 6월 23일부터 1939년 3월 14일까지 조선총독부 전라남도 참여관 겸 내무부장, 1940년 9월 2일부터 1942년 1월 23일까지 전라북도지사를 역임하는 동안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교육과장(1939년 3월 15일 ~ 1940년 9월 1일),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참사 겸 간사(1939년 4월 임명), 국민총력전라북도연맹 회장(1940년 10월 ~ 1942년 1월) 등을 역임했으며 [[1939년]] [[2월 14일]] 일본 정부로부터 훈4등 서보장을 받았다. 전라남도 참여관 재직 시절 [[기독교]]계 학교를 강제로 교묘한 방법으로 폐쇄시키는 한편 군수물자의 공출 및 조달, 각종 헌금 및 위문금품 모집, 국방사상 보급 및 선전 등을 주도하여 일본의 침략 전쟁에 적극 협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