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합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mausBot (토론 | 기여)
잔글 r2.7.2+) (로봇이 바꿈: fr:Kōbu gattai
Sungirum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정리 필요}}
'''공무합체''' (公武合体)는 에도막부 말기(1850년대에서 1860년대 사이) 일본 조정(公)의 전통적인 권위와 막번체제(막부와 여러번을 연계해 지배하던 체제)의 통치력을 통합하려는 정책론 및 정치운동을 일컫는다. 공무합체론(公武合体論), 공무합체운동(公武合体運動), 공무일화등(公武一和)으로도 불린다.
 
== 개요 ==
미일수호통상조약의 체결을 둘러싸고 분열된 조정과 막부 관계의 수복을 도모하여 막부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한 조치로 추진됐다. 존왕의 입장에서 조정과 막부의 군신간의 명분을 바로 잡기위해 반 막부 세력의 비판을 회피하는 한편, 이미 관례화했던 대정 위임론을 조정과 막부간에 재확인하고 다시 제도화하여 막부 권력의 재편 강화를 목표로했다. 이 공무합체 정책을 단순한 명목으로 끝내지 않고 구체적으로 그 성과를 국내에 알리기 위해 추진된 것이 막번간의 혼사였다.<ref>『日本史B』,実教出版, p 225</ref>
 
== 참고문헌 ==
줄 6 ⟶ 9:
* 大江戸まるわかり事典(編)時事通信社 2005
</div>
<references/>
 
[[분류:에도 시대의 정치]]
[[분류:막부 말기]]
 
[[en:Kōbu gatt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