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자신의 노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잔글 Jevillage1(토론)의 편집을 A.Ted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나 자신의 노래'''》(Song of Myself)는 [[월트 휘트먼]]의 최고 걸작 시다. 총 52편으로 되어 있다. <u>인간과 자연 만물 모두가 본질적으로 자연스럽고 신성하며 존귀하다는 생각으로, 이들을 예찬하는 노래다.</u> 민주주의 정신을 바탕으로 자유와 평등을 중요시한 시풍이 잘 드러나 있다. 상반·대립·모순 등 다름이라 할 수 있는 요소의 대상들을 자아와 어느 하나의 본질 속에서 융합하려 한다. 휘트먼이 말하고자 하는 <u>자아와 타자와의 관계, 본질과 현상과의 관계</u>를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 배경 ==
월트 휘트먼의 최고 걸작으로 총 52편의 장시다. <u>자연 속에 있는 인간, 동물, 식물을 우주와 동일한 것으로 노래했다</u>. 그는 인간이 본래 평등하고 자유로우며, 생명은 영원하고, 본성은 선하고, 존엄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신과 같은 온전한 건강체로서의 인간의 본래 모습을, 아주 낙천적으로 소리 높여 노래 부른다. <u>자기가 곧 우주라고 말함으로써 자아와 우주를 동일시하며, 개인을 일시적으로 살다가 죽는 사실적인 존재가 아닌 영적인 존재로 보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인간을 영원한 우주의 영과 합일된 신비로운 존재, 영원하고 무한한 존재로 파악한다.</u>
 
뿐만 아니라 자연 만상의 어떤 미물이라도 기적같이 신비롭다고 여겨, 식물·동물은 물론 모든 것을 예찬한다. 그가 생각하는 자연은 풀과 나무와 벌레와 짐승은 물론 인간까지도 포함하는 삼라만상이며, 상하와 귀천이 없는 평등한 존재들이다. <u>인간이나 자연 만물 모두가 본질적으로 신성하고 존귀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자연을 대하면, 한 포기의 풀에서도 우주의 신비를 읽을 수 있다고 한다.</u>
휘트먼은 시를 통해 각자의 활동이 그 차이를 초월해 하나의 본질에서 나온 것인 동시에 하나의 본질 속으로 융합되는 신비로운 것임을 깨닫는다. 그 본질은 바로 시인의 자아인 동시에 그 자체가 인류인 것이다. 또한 자아와 타자와의 관계, 본질과 현상과의 관계가 서로 상통함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