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1900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massRollback을 이용하여 차두리근(토론)의 편집을 전부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김영한'''(金永漢, [[1900년]] ~ [[1980년]]<ref>《한국일보》 (1987.12.18) [http://www.kinds.or.kr/imgdata8/1987/12/18/19871218HKM07.pdf 알뜰살림 속에 숨은 內助... "보통 부인"]{{깨진 링크|url=http://www.kinds.or.kr/imgdata8/1987/12/18/19871218HKM07.pdf }}</ref>)은 [[조선]]의 [[양반]]이자 [[일제강점기]]의 교육자이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노태우]](盧泰愚)빙부이다. [[퇴계 이황]](退溪 李滉)의 종손인 이능호의 집안과 연결된다장인이다.
 
1900년 [[재지사족]] 김광규의 손자로 태어났다. 젊었을 때 경상북도 지역에서 교육자로 활동했다. 1980년에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생애 ==
1900년, 진사(進士) 김광규의 손자이자 하급 [[관료]]였던 김선진의 아들로 태어났다. 젊었을 때 [[경상북도]] 지역에서 [[교육자]]로 활동했다. [[양반]]家 출신으로 소작농을 두었으나, 소작농들을 해방해주고 청렴하고 고결한 삶을 살았다.
 
젊었을 때 경상북도 지역에서 교육자로 활동하였다. 김영한 교육자는 [[학문]]에만 관심이 있었기에 단 한번도 벼슬을 하지 않았고 평윤지사(平允之士)로만 살았다.
 
한성부 상인의 딸과 결혼하려 했으나 “미천한 [[장사치]]는 안 된다”라는 아버지 김선진의 반대로 결혼하지 못했고, 고려 귀족 집안의 후손인 [[남양 홍씨]] 당홍계 홍무경과 결혼하였다.
 
1980년, 향년 80세의 나이로 별세했다.<ref>[https://jmagazine.joins.com/art_print.php?art_id=209938 《월간중앙》친인척 관리 스타일 전혀 다른 3인의 군 출신 대통령]</ref>
 
== 가족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