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차단회피 - Vandal Cleaner
태그: 일괄 되돌리기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동음이의 링크
16번째 줄:
* '''급식체''': 학교에서 [[급식]]을 먹는 세대인 10대 청소년이 쓰는 말투 중 하나이다.<ref>{{뉴스 인용 |제목=광양백운고, '급식체 사전' 발행… "10대들의 언어로 소통" |url=http://news1.kr/articles/?3739417 |출판사=뉴스1 |저자=서순규 |날짜=2019-10-09 |확인날짜=2020-03-30 }}</ref> 줄임말이나 [[초성체]], 유명 크리에이터의 유행어를 섞어서 사용한다.<ref>{{뉴스 인용 |제목=[급식체 톡톡]‘에바 쎄바 참치’를 아시나요 |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71208/87637145/1 |출판사=동아일보 |저자1=이원주 |저자2=조경준 |날짜=2017-12-08 |확인날짜=2020-03-30 }}</ref>
* '''급식충'''(급식 + -충): 학교 생활에서 [[급식]]을 먹는 10대 [[청소년]]을 비하하는 표현이다.<ref name="혐오신조어">{{뉴스 인용|제목=틀딱충·맘충·개저씨… 흉기가 된 '혐오 신조어'|url=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0/08/2016100800167.html|날짜=2016-10-08|확인날짜=2020-05-25|출판사=[[조선일보]]}}</ref>
* '''관종''': 관심을 받는 사람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 ㄴ ===
줄 62 ⟶ 63:
=== ㅈ ===
* '''[[잼민이]]''': 인터넷 상에서 활동하는 무개념 초등학생을 낮춰 부르는 말이다. 쓰임에 따라 모든 초등학생을 말하기도 한다.<ref>{{뉴스 인용 |제목=[NO비하표현] 청년 “잼민이는 죄가 없다…‘비하’가 문제” |url=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91802 |출판사=뉴스포스트 |저자=김혜선 |날짜=2021-01-05 |확인날짜=2021-01-11 }}</ref>
* '''즉강끝''': '즉각, 강력히, 끝까지 응징하라'의 약어로서, 신원식 국방부장관이 취임시 천명한 적 도발에 대한 군사작전의 원칙임.
* '''지름신'''(지르다 + 신): 물건을 지르고 싶어하게 만드는 신이다. 물건을 사고 싶어질 때 '지름신 강림'과 같은 식으로 쓰인다.<ref>[http://www.hani.co.kr/kisa/section-003006000/2005/11/003006000200511241955464.html 네티즌 86% 한달 한번 이상 ‘지름신’ 강림] 2005년 11월 24일 《한겨레신문》</ref>
* '''진지충'''(진지 + -충): 분위기를 읽지 못하고 진지하게 구는 사람이다.<ref>{{뉴스 인용 |제목=진지충 … 출근충 … 벌레먹은 사회 |url=http://www.segye.com/newsView/20150826004396 |출판사=세계일보 |저자=이우중 |날짜=2015-08-26 |확인날짜=2020-05-25 }}</ref>
줄 229 ⟶ 231:
* '''킹왕짱''': 「명사」 영어 단어 '킹(King)'에 한자 '왕(王)'을 덧붙이고, 거기에 최고라는 뜻의 '짱'을 더하여 최고 중의 최고라는 뜻으로 쓰인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12/h2007121721113784220.htm 김제동 태안 찾아 '선행'… 네티즌 '킹왕짱']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12/h2007121721113784220.htm# |date=20111110221622 }} 2007년 12월 17일 《한국일보》에 디시뉴스와 기사 제휴로 게재된 기사</ref> 디시인사이드 와우(WOW, World of Warcraft) 갤러리에서 '병신 아이디 찾기' 이벤트를 하다가 발견되었고 이내 와갤러들에 의해 '최고로 강력한 아이디'로 선정되었다.
* '''甲'''('''갑'''): 「명사」 어떤 분야에서 제일가는 사람이나 사물, 현상 따위를 이르는 말로, ‘종결자’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KIA 타이거즈]]의 팬이 ‘[[wikt:神|神]]’을 ‘[[wikt:申|申]]’으로 잘못 적은 팻말을 들고 있는 사진이 찍혔는데 이를 누군가가 모양이 비슷한 ‘[[wikt:甲|甲]]’으로 잘못 읽고 댓글을 남긴 데서 유래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113074 <nowiki>[인터넷 이디엄] <35> 갑(甲)</nowiki>] 《전자신문》[[2011년]] [[3월 24일]]</ref>
 
== [[워마드]]에서 나온 신조어 ==
=== 이순신 ===
* '''틀순신''' : [[이순신]] 장군을 늙은 노장이라고 틀니 + 순신이라고 하는 부정적인 별명이다.<ref>[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843635 워마드, 성체 훼손 논란…도 넘은 '남성 혐오 표현' 비판]</ref>
=== 정치인 ===
* '''좆치인''' : [[정치인]]을 정치의 정에서 정을 빼고 좆이라고 하는 부정적인 별명이다.<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88593 과격해지는 '워마드' 페미니즘, 혐오만 남고 명분은 사라져]</ref>
=== 재벌 ===
* '''좆벌''' : [[재벌]]을 재벌의 재에서 재를 빼고 좆이라고 하는 부정적인 별명이다.<ref>[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807211310001#c2b 워마드, 빨간약을 먹은 전사들]</ref>
=== 성인 ===
* '''틀딱''' : 연배가 높은 [[성인]]을 틀딱이라고 하는 부정적인 별명이다.<ref>[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11/2018071102111.html 워마드 '패륜' 논란…잠자는 남성에 흉기 들이대고 "칼X넣기 좋다"]</ref> 폄하와 명예훼손이 잦은 [[나무위키]]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 표준어를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 ==
줄 257 ⟶ 249: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어''': 《[[태조 왕건 (드라마)|태조 왕건]]》이라는 드라마에서 신하가 기침을 하자 [[궁예]]가 "누구인가?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어?"라고 한 것이 결국 유행어가 되었다.
 
== [[일베]]나무위키에서 관련나온 신조어 ==
=== 고민정 ===
* '''고민좀''' : 말 그대로 이름부터가 고민이라 지은 [[고민정]]의 부정적인 별명이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segye.com/newsView/20210404500201|제목=“제발 고민 좀 하고” 핀잔 들은 고민정, 결국 고개 숙여… “부적절한 행동, 송구”|날짜=2020-01-08|출판사=[[세계일보]]|확인날짜=2021-04-04}}</ref>
줄 270 ⟶ 262:
=== 김의겸 ===
* '''겸벨스''' : [[김의겸]] 대변인이 제기한 '청담동 술집' 의혹에 대해 가지 않았다는 증거를 대라고 주장한 데 대해 "민주당은 ‘선동은 한 문장으로 끝나지만, 이를 반박하려면 수십 장의 증거와 문서가 필요하다’는 [[나치]] 선전장관 [[괴벨스]]의 가짜뉴스 유포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고 질타했다는 이유로 '겸벨스'라는 별명을 지었다.<ref>{{웹 인용|url=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02810391045231l=naver|제목=與, 野 '술자리 의혹' 공세에 "괴벨스의 '가짜뉴스' 유포와 같아"|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2-10-28}}{{깨진 링크|url=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02810391045231l=naver }}</ref>
 
* '''안경 쓴 양아치''' :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동훈 (1973년)|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검은 뿔테 안경 쓴 깡패'라고 지칭한 데 대해 "김의겸 의원은 '안경 쓴 양아치'"라고 맞받았지은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s://news.imaeil.com/page/view/2023053114454564944l=naver|제목=장예찬 "김의겸은 그냥 안경 쓴 양아치"|날짜=|웹사이트=|출판사=매일신문|언어=ko|확인날짜=2023-05-31}}</ref>
 
* '''흑석의겸''' : 김의겸이 [[청와대]] 대변인 시절 [[서울]] [[흑석동 (서울)|흑석동]]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사퇴한 일을 겨냥한 것이다. 국민의힘 [[허은아]] 의원은 과거 언론 환경에서의 취재 과정 중 "경찰 사칭은 흔한 일"이었다고 발언한 김의겸 [[열린민주당]] 의원을 두고 "정의로운 척"이라도 하라며 "역시 흑석의겸"이라고 비판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10712/107913412/1l=naver|제목=허은아, ‘경찰사칭’ 옹호 김의겸에 “역시 흑석의겸…수치심 없나”|날짜=|웹사이트=|출판사=동아일보|언어=ko|확인날짜=2021-07-12}}{{깨진 링크|url=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10712/107913412/1l=naver }}</ref>
줄 318 ⟶ 308:
* '''유신공주''': 박근혜에 대해 [[열린우리당]] [[김현미 (정치인)|김현미]] 대표가 만든 말으로, "박 대표가 협상장에서 자기 수첩에서 1㎜도 나가지 않는 것은 내 뜻만 옳다는 전면적 부정의 자세"라며 "박정희 전 대통령의 혼령이 박 대표를 지배하고 있다"라고 비꼰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0865874&sid1=001|제목=여야 `회담무산' 책임공방..대치 심화-1|성=맹|이름=찬형|성2=김|이름2=병수|날짜=2004-12-28|웹사이트=연합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유체이탈 화법''': 박근혜 전 대통령이 발언할 때마다 책임을 회피하고,<ref>{{웹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70103/82156135/2|제목=‘대통령 말’ 전문가 “朴대통령 어법, 괴상망측…‘대전은요’ 조작된 말”|성=정|이름=봉오|날짜=2017-01-03|웹사이트=동아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제3자인 것처럼 논평한다는데서 비판하는 말.<ref>{{웹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40425/63037945/1|제목=지진 현장 누비고 피해자와 함께 운 원자바오 배워야|성=동|이름=정민|날짜=2014-04-25|웹사이트=동아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ref>{{웹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50416/70731840/1|제목=“과거부터 현재까지 문제 밝혀야”… 정국 정면돌파 의지|성=이|이름=재명|날짜=2015-04-16|웹사이트=동아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칠푼이''': [[김문수 (정치인)|김문수]]가 [[김영삼]] 전 대통령을 만났을 때 김영삼이 "박근혜는 칠푼이"라고 혹평한 말.<ref>{{웹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20712/47704786/1|제목=김문수 만난 YS “박근혜는 칠푼이”|성=이|이름=재명|날짜=2012-07-12|웹사이트=동아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쿼터갓''': 박정희 전 대통령을 반인반신으로 치켜세우는 세력들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부르는 말.<ref>{{웹 인용|url=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767875.html|제목=최순실의 공범은 우리 가까이에 있다|성=이|이름=승한|날짜=2016-10-28|웹사이트=한겨레|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이명박근혜'''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2007년 대선]], [[이명박]] 후보가 [[박근혜]] 전 후보 지지자들의 표심을 모으기 위해 쓰기 시작했다.<ref>{{웹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11280214591&code=910112|제목=대선후보들 톡톡 튀는 ‘기호 마케팅’|성=김|이름=종목|성2=김|이름2=재중|날짜=2007-11-28|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1-21}}</ref> 지금은 [[이명박 정부|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부|박근혜 정권]]이 다를 바 없다는 의미에서 이 둘을 묶어서 표현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02/2017050203070.html|제목=[태평로] '잃어버린 10년' 對 '이명박근혜' 대결이 되면|성=신|이름=정록|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1-21}}</ref>
줄 333 ⟶ 322:
===안철수===
* '''간철수''' : [[안철수]]를 비꼬는 말, 안철수 대표가 정치 입문 당시 결정 및 의견을 확실하게 짓지 못하고 애매하게 표현하는 행위를 보고 '간을 본다.'하여 유래된 말이다. 이에 대해 2015년 안철수 의원은 "국정원이 오히려 제 간이 안 좋다고 공격하려는 의미까지 담아 만들었다는데 머리 잘 썼다."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29/0200000000AKR20151229078200001.HTML?input=1195m|제목=거침없는 '강철수'…친정 새 당명에 "안철수없당·불어터진당"|날짜=2015-12-29|출판사=[[연합뉴스]]|확인날짜=2016-10-08}}</ref>
 
===유승민===
* '''유배신''' : 유승민이 배신을 했다는 이유로 불리는 별명이자 여전히 벗지 못한 프레임이기도 하다. 유승민은 [[서청원]] 등을 비롯한 [[상도동계]] 및 [[친박]] 성향의 [[정치인]]들에게 극진히 성원까지 받은 [[경제학]] 교수 출신의 [[정치인]]이었으나,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는 발언을 한 이유로 강성 친박, 극우 세력들의 공격을 받아 원내대표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으며<ref>{{웹 인용|url=https://www.news1.kr/articles/?2612121|제목=박근혜-유승민 질곡의 10년 돌아보니…돌아올수 없는 강 건너|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6-03-23}}</ref>,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사건 이후로 [[박근혜 탄핵]] 소추에 찬성표를 던지고 29명의 의원들과 함께 [[바른정당]]을 창설해 탈당하면서 친박, 강성 보수층에게서 배신자라고 제대로 낙인 또한 찍히게 되었다. 아무리 탄핵 직후에 얼마나 심했냐면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19대 대선]] 당시에 [[대구광역시]] [[서문시장]]에서 유세를 하러 갔을 때 환대도 받았지만, 배신자라는 야유도 크게 받을 정도였었다. 결국 배신자라는 프레임 때문에 유승민은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 자신의 지역구인 대구를 버리고 차라리 불출마 선언 또한 해야 할 수 밖에 없었다.
 
===윤미향===
줄 370 ⟶ 356:
 
===이준석===
 
* '''준석대''' : 이준석 + 엄석대로, [[국민의힘]] 장예찬 청년 최고위원 후보는 2023년 3월 6일 이준석 전 대표가 최근 당 상황을 두고 [[이문열]]의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오는 학급 반장 '엄석대'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 "저는 '준석대(이준석+엄석대)'다 이렇게 표현하고 싶다"고 말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3/03/06/TP4QTDO7RRBVVBNRP2GTQECQG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제목=장예찬 “이준석, 10년간 치외법권처럼 행동...윤석대 아닌 준석대”|날짜=|웹사이트=|출판사=[[조선일보]]|언어=ko|확인날짜=2023-03-06}}</ref>
 
* '''준스톤''' : 이준석의 '석'은 본디 錫(주석 석)으로, 준틴으로 불려야하겠지만, 이를 石(돌 석)으로 생각하여 '석'을 영단어 'stone(스톤)'으로 치환하여 생긴 별명으로 2021년 기준 가장 널리 쓰이는 별명이다.
 
===전두환===
*'''29만원''' : 비자금 조성 관련 재판을 받던 도중에 판사가 "통장 잔고가 29만 1천원이다."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05260.html|제목="전두환 “전 재산 29만원” 어떻게 나왔을까"|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겨례신문]]|언어=ko|확인날짜=2019-08-10}}</ref>
 
===정청래===
* '''멍청래''' : 멍청함 + [[정청래]]이므로, 정청래의 부정적 별명 중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말 그대로 멍청해서 '멍청래'라고 붙인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s://www.dailian.co.kr/news/view/520784/?sc=naver|제목="멍청래, 또 일단 던져보자?' 정청래 헛발질 비난 폭주|날짜=|웹사이트=|출판사=[[데일리안]]|언어=ko|확인날짜=2015-08-11}}</ref>
 
===조국===
줄 391 ⟶ 371:
* '''진석사''' : [[진중권]]의 최종학력이 석사인 것에서 비롯된 별명으로 [[클리앙]], [[루리웹]], [[에펨코리아]] 등 [[좌우]] 가리지 않고 두루두루 사용한다. [[김건희]] 팬클럽 건사랑의 회장인 [[강신업]] 변호사도 진중권에게 "이봐요 '''진 석사''', 그만좀하소 '''직업 관종'''"이라며 맹폭 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206160047|제목=‘건희사랑’ 강신업, 진중권에 “진 석사, 직업 관종”|날짜=2022-06-16|출판사=[[쿠키뉴스]]|확인날짜=2022-06-16}}</ref>
 
=== 추미애이건희 ===
* '''盧미애성매매범''' : 지나친[[진보]] 수사지휘권진영의 행사,지지자들이 정권[[이건희]]의 수사성매매를 방해,비판하면서 검찰 인사권 남용, 무리한 검찰총장 직무정지 및 징계 청구 등 추미애의 행보를 비판하는붙인 별명이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news1hani.co.kr/articlesarti/economy/marketing/?4135490810315.html|제목=한변‘이건희 "尹동영상’ 직무배제판결문은 추미애어떤 '무법부장관' 형사고발"…구속수사의혹을 촉구남겼나|날짜=|웹사이트=2020-01-08|출판사=|언어=ko[[한겨레]]|확인날짜=20202017-1209-0109}}</ref>
 
* '''법無부장관''', '''무법부장관''' : 지나친 수사지휘권 행사, 정권 수사 방해, 검찰 인사권 남용, 무리한 검찰총장 직무정지 및 징계 청구 등 추미애의 법무부장관으로서의 행보를 비판하는 별명이다. 참고로 전임 장관인 [[조국 (교수)|조국]] 또한 같은 별명을 가지고 있다. 사람에 따라서는 조국을 초대 법無부장관/무법부장관, 추미애를 제2대 법無부장관/무법부장관 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변에서 추미애를 고발할 때 비판으로 사용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news1.kr/articles/?4135490|제목=한변 "尹 직무배제 추미애 '무법부장관' 형사고발"…구속수사 촉구|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2-01}}</ref>
 
== 참고 서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