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시 참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2001:4430:C132:E007:B612:BB19:5BF6:D302(토론)의 편집을 Knight2000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동음이의 링크
출처에 없는 독자연구를 입력하지 맙시다.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33번째 줄:
 
== 한인 무장 독립군의 구성 ==
=== 민족주의 계열 ===
주로 서간도와 북간도 지방의 남만주에서 활동하던 한인 무장 독립군을 지칭한다. 사상과 종교(대종교, 천도교, 기독교, 천주교, 불교)가 다양했지만 민족의 해방이라는 기치 아래 모인 이들이었다.
 
==== 민족주의 계열의 상황 ====
[[파일:Mishan, Jixi, Heilongjiang, China - panoramio (1).jpg|섬네일|2014년 중국 흑룡강성의 밀산(密山)]]
[[1920년]] 일본군은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 등에서 독립군에게 참패를 당했다. 이후 독립군 토벌작전을 대대적으로 단행했지만 성과가 없자 민간인과 군인을 구별하지 않고 한국인 수만 명을 학살하는 [[간도 참변]]을 일으켰다. 이로써 서간도, 북간도 등 만주에서 활동하던 [[김좌진]]의 북로군정서 등의 간도 한인무장부대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북쪽 러시아와 만주의 국경 지역인 흑룡강성 [[미산시|밀산시(密山市)]]에 모였다.<ref name=FCI/>
 
이곳에 모인 독립군 10개 부대를 통합 및 재편성하여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였다. 대한독립군단에 통합된 조직은 다음과 같다.
 
*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 : 1919년 만주 북간도에서 조직. 대한독립군단의 주도 조직. 대종교 계열. 총재 [[서일]](徐一). 총사령관 [[김좌진]](金佐鎭). 사단장 [[김규식]](金奎植).
* 대한신민회(大韓新民會) : 19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직. 기독교 감리교 계열. 단장 김규면(金圭冕).
*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 1919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조직. 개신교 계열. 구춘선(具春先).
* 혼춘대한국민회(琿春大韓國民會) : 1919년 만주 혼춘에서 조직. 회장 이명순(李明淳).
* 군무도독부(軍務都督府): 1919년 만주 왕청현(汪淸縣) 봉의동(鳳義洞)에서 조직. 사령관 [[최진동]](崔振東).
* 의군부(義軍府) : 1919년 만주 연길현(延吉縣) 명월구(明月溝)에서 조직. 총재 [[이범윤]](李範允).
* 혈성단(血誠團) : 1919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조직. 단장 김국초(金國礎).
* 야단(野團) : 1919년 만주 길림(吉林)에서 조직. 동학의 한 교파인 청림교(靑林敎) 계열. 단장은 신포(申砲)로 일명 아소래(我笑來)로 불림.<ref>{{웹 인용|저자=오세창|제목=야단(野團)|url=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5254 |웹사이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위치= |출판사=한국학중앙연구원|날짜=1996 |인용문=3·1운동 직후에 북만주의 청림교(靑林敎) 교도들이 주축이 되어 청년교도에게 군사훈련을 시켜 항일군사활동을 준비하였다. 청림교는 동학의 한 교파로 만주 길림(吉林)과 북간도 지방에서 강력한 항일의식을 가지고 교세를 확대시키고 있었다. 이 단의 조직은 단장에 신포[申砲, 일명 아소래(我笑來)]였고,}}</ref>
* 대한정의군정사(大韓正義軍政司) : 1919년 만주 안도현(安圖縣) 내도산(內島山)에서 조직. 총재 이규(李圭).
이상 10개 부대 외,
* 대한신민단(大韓新民團)은 대한독립군단 결성을 위해 12월 [[밀산]](密山)에 대한신민회의 대표로 김성배(金聖培)를 파견했으나 성과가 없었다.<ref>{{웹 인용|저자=정원옥 |제목=대한신민단(大韓新民團) |url=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113 |웹사이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위치= |출판사=한국학중앙연구원 |날짜=1995}}</ref>
 
대한독립군단의 총재는 서일(徐一), 부총재는 홍범도(洪範圖), 고문은 백순(白純)과 김호익(金虎翼), 외교부장은 최진동(崔振東), 참모부장은 김좌진(金佐鎭), 참모는 이장녕(李章寧)과 나중소(羅仲昭), 군사고문은 [[지청천]](池靑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