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시 참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massRollback을 이용하여 2001:4430:C132:E007:B612:BB19:5BF6:D302(토론)의 편집을 전부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동음이의 링크
출처 없는 내용 복구하는 이유부터설명하세요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26번째 줄: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 내전]] 중이었다. 레닌의 [[볼셰비키]]를 중심으로 한 [[붉은 군대|적군]](赤軍)과 군주제, 자본주의, 반공산주의 세력을 중심으로 한 [[하얀 군대|백군]](白軍)이 대립하고 있었다.<ref name= FCI2>{{웹 인용| title = 자유시 참변| publisher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 url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0&levelId=tg_004_2160&ganada=&pageUnit=10| access-date = 2023-09-15|language=ko}}</ref> 그래서 러시아 내전을 [[적백내전]]이라고도 부른다.<br>
[[시베리아]]에서도 적군과 백군의 대립은 이어졌다. 또한 러시아 흑룡주정부가 독립하여 [[극동공화국]]이 되었고, 이 공화국은 [[볼셰비키]] 세력의 조종을 받고 있었다. 여기에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반란, 외국군의 무력간섭이 겹치면서 [[연해주]]는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일본군]]은 [[하얀 군대|백군]]을 지원하고 있었다. [[하얀 군대|백군]]을 지원한다는 명목 아래 1918년 4월에 일본은 시베리아로 출병했고 [[하얀 군대|백군]]을 지원하면서 연해주에서 독립무장투쟁을 하는 공산주의 계열 한인무장부대를 소탕하고자 했다.
 
이에 공산주의 독립군은 적군(赤軍)에 협조했다. [[1920년]] [[3월 12일]]에는 [[니콜라옙스크 사건]]으로 독립군과 적군이 연합하여 [[일본군]]과 [[하얀 군대|백군]]을 격퇴시켰다.<ref>[http://journals.cambridge.org/download.php?file=%2FPOL%2FPOL31_176%2FS0032247400024918a.pdf&code=8a5897bd11752f30968140bc4db80943 The destruction of Nikolayevks-on-Amur: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book review in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f><ref>Kim Young Sik, Ph.D. [http://www.asianresearch.org/articles/1635.html The Free City (Amur River – Hukgang) Incident The left-right confrontation in Korea – Its origin] {{웨이백|url=http://www.asianresearch.org/articles/1635.html |date=20150923175256 }} Association For Asian Research 11/13/2003</ref> 일본군은 1920년 4월 4~5일 야간에 [[블라디보스토크]]의 모든 볼셰비키 기관과 신한촌을 비롯한 한인 밀집지대를 습격했다. 이 사건으로 블라디보스토크의 볼셰비키 기관과 적군이 일본군을 피해 북방으로 후퇴함에 따라 연해주의 한인 무장부대도 근거지를 옮길 수 밖에 없었다.
 
이들은 볼셰비키 세력이 강성한 극동공화국의 자유시로 향했다. 그곳에는 극동공화국 소속 오하묵의 자유대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공산주의 한인무장부대들은 자유시로 속속 집결하기 시작했다. 연해주 한인무장부대는 이만군대, 다반군대 등이 대표적이었다. 이만군대는 사령관 김표돌, 부사령관 박개서와 김덕보로 이루어져 있었고, 다반군대는 사령관 최니콜라이가 이끌고 있었다.
 
== 한인 무장 독립군의 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