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국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차단회피 - Vandal Cleaner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영화인 정보
| 이름 = 장국영 <br> 張國榮
| 원어이름 = 張國榮
| 본명 = 장발종장발정 (장파쭝, 정팟종) <br> 張發宗
| 사진 = Leslie Cheung.jpg
| 사진설명 = 1999년 콘서트에서 공연 중인 장국영
| 출생일 = {{출생일|1956|9|12}}
| 출생지 = [[영국령 홍콩]] [[가우룽]]
줄 25 ⟶ 22:
'''장국영'''({{zh|order=t|t=張國榮|s=张国荣|p=Zhāng Guóróng|h=장궈룽}}, {{llang|yue|Zoeng Gwok wing|정궉윙}}, {{llang|en|Leslie Cheung|레슬리 청}}, [[1956년]] [[9월 12일]]~[[2003년]] [[4월 1일]])은 [[홍콩]]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하카 (민족)|하카]]계의 중산층서민층 집안에서 10남매 중 막내로 출생하였으며, 홍콩을 떠나 [[중화인민공화국|중국]] [[광둥성]] [[메이저우 시]]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도 있다. [[영국]] 북부의 [[리즈 대학교]]에서 섬유직물관리학(textile management)을 공부했으나 알콜중독으로 인한 아버지의 건강 악화로 졸업하지는 못했다. 홍콩으로 귀국한 후 우연히 나간 노래 콘테스트에서 〈AMERICAN PIE〉를 불러 2위로 입상하며 데뷔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홍콩 [[누아르 영화|느와르]]를 대표하는 배우로 손꼽히며, 아시아권을 넘어 전 세계에서 폭넒은 인기를 얻은 배우였다. 대표작으로는 《[[영웅본색]]》, 《[[패왕별희 (영화)|패왕별희]]》, 《[[아비정전]]》, 《[[해피 투게더 (1997년 영화)|해피 투게더]]》, 《[[천녀유혼]]》, 《[[종횡사해]]》, 《[[이도공간]]》 등이 있으며 가수로서도 《영웅본색》의 주제가인 〈당년정〉과 1995년 발매한 싱글 앨범 〈Thousand Dreams of You〉 등의 히트곡을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영웅본색》의 흥행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주윤발]], [[성룡]], [[양조위]], [[장학우]], [[유덕화]], [[매염방]], [[장만옥]] 등과 함께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한국에서의 인기 때문에 장국영은 1977년, 1989년, 1995년, 1998년, 1999년, 2002년 총 6차례 방한하였다.
 
[[2002년]]까지 가수와 배우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던 장국영은 [[2003년]] [[4월 1일]], 자신이 묵고 있던 홍콩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24층 객실에서 투신자살해 향년 4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한 시대를 풍미한 홍콩 영화계 스타배우의 죽음은 전 세계적으로 큰 충격을 안겼으며, 특히 사망한 당일이 [[만우절]]이었기에 일부 대중들은 이를 믿지 못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장국영이 투신자살한 당일 그의 팬이었던 9명이 장국영과 똑같이 투신자살을 시도해 6명이 사망하는 등 [[베르테르 효과]]로 인한 충격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홍콩 [[누아르 영화|느와르]]를 대표하는 배우로 손꼽히며, 아시아권을 넘어 전 세계에서 폭넒은 인기를 얻은 배우였다. 대표작으로는 《[[영웅본색]]》, 《[[패왕별희 (영화)|패왕별희]]》, 《[[아비정전]]》, 《[[해피 투게더 (1997년 영화)|해피 투게더]]》, 《[[천녀유혼]]》, 《[[종횡사해]]》, 《[[이도공간]]》 등이 있으며 가수로서도 《영웅본색》의 주제가인 〈당년정〉과 1995년 발매한 싱글 앨범 〈Thousand Dreams of You〉 등의 히트곡을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영웅본색》의 흥행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주윤발]], [[성룡]], [[양조위]], [[장학우]], [[유덕화]], [[매염방]], [[장만옥]] 등과 함께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한국에서의 인기 때문에 장국영은 1977년, 1989년, 1995년, 1998년, 1999년, 2002년 총 6차례 방한하였다. 20003년 죽었다.
장국영이 사망한 이후에도 그에 대한 추모열기는 여전히 뜨겁다. 2005년 중국영화 100주년 기념 설문조사에서 가장 사랑받는 남자배우 1위로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매년 4월 1일이 되면 팬들은 그가 사망한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앞에서 추모식을 열고 큰 백합을 놓는 등 추모를 이어가고 있다. 장국영 사망 10주기였던 2013년에는 홍콩 IFC 몰에 그를 기리는 거대한 흉상이 설치되는 등, 장국영이 가진 홍콩 사회에서의 영향력은 사망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 연기 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