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사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43번째 줄:
== 생애 ==
그는 [[1907년]]에 아버지를 여의게 되고, 금강산 [[유점사]](楡占寺)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중퇴하였다. 일제 조선강점기 당시 만주와 시베리아를 유랑하다가 [[1919년]] 3·1운동 전에 귀국하였다.
1919년 3월 17일 경성 내자동 한성오의 집에서 홍진, 이규갑, 한남수 등과 모여 3.1운동의불꽃이 타오르기위해서는 정부가 필요하다는 데 합의했다. 김사국은 13도 대표자회의를열어 정부를구성하기전 회의 내용을 민중에게 공개적으로 선언하는 민중대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받아들여졌다.
1919년 4월 23일 보신각에서 국민대회취지서와 임시정부약법이 적힌 선전물이 뿌려지고 한성임시정부의건설이 선포되었다.
 
51번째 줄:
 
1926년 5월 8일 서울청년회 회관에서 폐병으로 사망했다. 김철수는 화요회와 서울파의 합동장례식을 추진했다. 일제의 감시속에서 그의 마지막을 보러온 민중은 철저히 차단됐다.
 
== 외부 링크 ==
* {{독립유공자|9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