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영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23번째 줄:
}}
 
'''변영주'''(邊永姝 [[1993년]] 다큐멘터리 공동체 푸른영상에 소속되어 제주도의 기생관광으로 알려진 매춘여성들에 관한 다큐멘터리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1993)을 발표했다. 이 다큐멘터리를 만들면서 어머니가 위안부라고 고백한 여성을 만난 것을 계기로, 5년동안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다큐멘터리 《[[낮은 목소리]]》를 만들었다. 모든 영화를 연출하고 [[이재명]]의 소속이였던 [[더불어민주당]]의 [소속에 들어갔다
'''변영주'''(邊永姝<ref>{{웹 인용|url=http://nl.go.kr/authorities/KAC201229451|제목=변영주|웹사이트=[[국립중앙도서관]] 국가전거서비스|확인날짜=2020-06-09}}{{깨진 링크|url=http://nl.go.kr/authorities/KAC201229451 }}</ref>, [[1966년]] [[12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c7xbPoJEmD8 1990년 20대 변영주, 생방송에서 여성에 관한 사이다 발언으로 MC를 압도하다 (KBS방송)]</ref>
 
[[1989년]]에 결성된 여성영화집단 바리터의 창립 멤버로 참여해<ref>{{뉴스 인용|제목=영화『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820470|뉴스=중앙일보|날짜=1993-06-13}}</ref> 《작은 풀에도 이름 있으니》(1990) 《우리네 아이들》(1990)의 촬영을 맡았다.<ref>{{뉴스 인용|제목=[서울국제여성영화제②] 여성영상창작집단 바리터, ‘바리터 30주년의 의미를 말하다’|url=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3851|뉴스=씨네21|날짜=2019-09-18|확인날짜=2020-06-0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00609132021/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3851|보존날짜=2020-06-09|url-status=dead}}</ref> [[1993년]] 다큐멘터리 공동체 푸른영상에 소속되어 제주도의 기생관광으로 알려진 매춘여성들에 관한 다큐멘터리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1993)을 발표했다. 이 다큐멘터리를 만들면서 어머니가 위안부라고 고백한 여성을 만난 것을 계기로, 5년동안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다큐멘터리 《[[낮은 목소리]]》를 만들었다.<ref>{{웹 인용|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4420|제목=낮은 목소리|웹사이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학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