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교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insbot (토론 | 기여)
잔글 r2.7.2) (로봇이 더함: en:Child discipline, fi:Kuritus
자녀교육, 《글로벌 세계 대백과》 참조
1번째 줄:
'''가정교육'''(家庭教育)은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통해 행하여지는 자연발생적인 [[교육]]이다. 현대의 가정 교육은 예절예의범절, 정서, 품위, 도덕 등 인격 형성에 치중한중점을 두어 교육을 한다한다고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자녀교육은 사회적인 존재로서 사회를 창조 발전시킬 수 있는 인간성을 형성한다는 것이라든지 사회에 적응해 갈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인간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ref name="글로벌_1">자녀교육,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자녀를 양육한다는 것은 옛날에나 지금에나 변함없는 가족의 기본적인 기능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가 없다. 아이들을 낳아 길러 [[창조성]]이 넘치는 인간으로 형성시켜 가며, 그것이 사회를 구성하며, 사회를 창조 발전시켜 가게 되므로, 아이들의 양육은 가족에 과해진 중요한 역할이 된다. 인간성의 형성은 주로 후천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기초는 2살쯤에서 6살사이에 정해진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동안에 있어서 가족원들이 수행하는 역할은 매우 크고 중요하다.<ref name="글로벌_1"/>
 
과거와 같은 제도적인 그리고 관습화된 가족에 있어서는 그 나름대로의 일관된 자녀교육이 있었다. 그러나 그의 붕괴와 가족원의 개별화 경향 그리고 가족원의 연대감이 희박해지고 있는 현대가족에 있어서는 자녀교육의 일관성과 지속성이 상실되는 일도 나타나게 된다. 우발적인 자녀교육은 자녀들의 인간성 형성에 있어서 커다란 마이너스를 주는 것이 되기도 한다.<ref name="글로벌_1"/>
 
현대사회 속에서는 자녀교육은 현저히 곤란하게 되고 애매한 것이 되어, 인간의 형성에서 실리적인 것을 노리는 자녀교육으로 변해가고 있다. 현재의 부모들이 과거에 자신들이 받았던 자녀교육을 자신감과 권위를 가지고 자녀들에게 전해가는 사회적 기반이 붕괴되고 말았다. 또한, 이제까지의 자녀교육 내용은 사회 전체의 가치체계로서 부정되었고, 그로 말미암은 혼돈상태에 놓여져 있다. [[개인주의]]의 전파는 [[이기주의]]적인 경향을 키우게 되어 자녀교육의 내용이 그에 적응해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소비혁명, 대중사회적 무드가 생활화되어 과거의 사회에 대한 이상주의적인 태도나 사회 속에서 대성하겠다는 생각이 사라지고, 그것보다는 오히려 [[사생활]]을 중요시하고, 생활을 즐기는 작은 행복에서 적극적 가치를 발견하는 경향이 강해졌다.<ref name="글로벌_1"/>
 
== 주석 ==
<references/>
 
== 참고 자료 ==
{{글로벌}}
 
{{토막글|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