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달구

대한민국 수원시의 자치구가 아닌 구

팔달구(八達區)는 경기도 수원시 중앙부에 위차한 이다. 경기도청, 수원시청, 수원세무서, 경인지방병무청 등 여러 관공서가 위치한다.

팔달구
팔달구청사
팔달구청사
팔달구의 위치
팔달구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12.86 km2
세대 91,251 가구(2021[1])
총인구 193,458 명(2021[2])
인구밀도 15,043 명/km2
행정동 10개
법정동 22개
구청장 박미숙
국회의원 수원 병: 김영진(더불어민주당)
구청
소재지 16255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3(매향동, 팔달구청)
웹사이트 팔달구청
상징

역사편집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장안구 팔달동·남향동·지동·우만동·이의동 팔달구 팔달동·남향동·지동·우만동·이의동
권선구 인계동·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원천동 팔달구 인계동·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원천동
  • 1993년 12월 1일 우만동을 우만1동·우만2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4년 7월 20일 매탄2동에서 매탄4동을 분동하였다.
  • 1994년 12월 26일 용인군 기흥읍 영덕리 일부와 화성군 태안읍 영통리·신리 일부·망포리 일부를 원천동에 편입하였다.
  • 1995년 4월 20일 화성군 태안읍 신리·망포리를 매탄3동에 편입하였다.
  • 1999년 10월 1일 원천동에서 영통동을 분동하였다.
  • 2000년 6월 24일 영통동을 영통1동·영통2동으로 분동하였다.
  • 2003년 2월 10일 매탄3동에서 태장동을 분동하였다.
  • 2003년 11월 24일 영통구가 분구되어 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매탄4동·원천동·이의동·영통1동·영통2동·태장동이 영통구로 분리되었고, 장안구 신안동·화서1동·화서2동과 권선구 매교동·매산동·고등동을 편입하였다.[4]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법정구역
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매탄4동 영통구 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매탄4동 매탄동
원천동 영통구 원천동 원천동
이의동 영통구 이의동 이의동·하동
영통1동·영통2동 영통구 영통1동·영통2동 영통동(영통3동으로 분동)
태장동 영통구 태장동 신동·망포동(현재 망포1동 망포2동)
장안구 신안동 팔달구 신안동 북수동·장안동·신풍동
장안구 화서1동·화서2동 팔달구 화서1동·화서2동 화서동
권선구 매교동 팔달구 매교동 매교동·교동
권선구 매산동 팔달구 매산동 매산로1가·매산로2가·매산로3가
권선구 고등동 팔달구 고등동 고등동
  • 2007년 8월 6일 팔달동·남향동·신안동을 행궁동으로 합동하였다.
  • 2014년 4월 5일 청사를 우만동 월드컵경기장 청사에서 매향동의 신청사로 이전하였다.

지리편집

팔달구는 수도 서울의 외곽을 차지하고 있는 경기도 수부(首府) 도시인 수원시의 중심권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영통구, 서쪽으로는 권선구, 북쪽으로는 장안구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팔달구의 중심에는 수원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수원팔경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팔달산이 솟아있고 자연형 하천인 수원천이 도심을 통과하고 있다.[5]

행정 구역편집

인구는 2022년 1월 31일 기준이다.

 
팔달구의 행정구역
행정동 한자 면적 (km2) 세대 인구 (명)
매교동 梅校洞 0.34 3,294 6,618
매산동 梅山洞 0.48 6,017 12,442
고등동 高等洞 1.01 9,501 22,862
화서1동 華西1洞 0.58 10,015 24,060
화서2동 華西2洞 1.34 9,626 25,853
지동 池洞 0.48 5,611 11,694
우만1동 牛滿1洞 0.86 10,866 20,631
우만2동 牛滿2洞 0.97 7,598 17,103
인계동 仁溪洞 2.91 22,159 40,909
행궁동 行宮洞 1.57 6,564 11,286
팔달구 八達區 6.89 91,251 193,458

문화편집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세계의 대표적인 성곽인 수원화성을 비롯하여 팔달문, 화서문, 창성사진 각국사대각원조탑비 등 국가지정 문화재팔달문 동종, 봉녕사 불화 등 귀중한 고적을 보존하고 있는 역사문화 유적의 도시이다.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야외음악당, 청소년문화센터, 효원공원 등 시민휴식공간과 문화공간이 어우러져 전원, 휴식기능이 있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으뜸 도시로써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수원화성박물관
  • 수원시민회관
  • 수원야외음악당
  • 경기도 문화의 전당
  • 무형문화재 전수회관

스포츠 및 문화 시설편집

교육 기관편집

  

도서관편집

각주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수원시 조례 제1837호(1993년 1월 20일)
  4. 수원시 조례 제2456호(2003년 11월 8일)
  5. 팔달구의 지리 Archived 2014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6월 12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