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계동(仁溪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행정동이다. 팔달구 남동쪽에 있는 동이다.

인계동
仁溪洞
인계동 행정복지센터
인계동 행정복지센터

로마자 표기Ingye-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행정 구역64, 322
법정동인계동
관청 소재지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로29번길 6
지리
면적2.91 km2
인문
인구45,540명(2014.11.30.)
세대22,159세대
인구 밀도15,6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인계동 행정복지센터

개요

편집

인계(仁溪)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산골짜기에서 비롯된 작은 내가 있었기 때문에 ‘인도천’, ‘인도래’, ‘인도내’ 등으로 불리던 것에서 비롯된 것이라 전한다. 1789년 수원부의 읍치(邑治)가 옮겨오기 전 이 지역은 수원부에 속하는 한적 한 시골 마을이었다. 1789년 조선 정조 13년 9월 수원부의 읍치를 팔달산 동쪽 기슭으로 옮기고, 1796년 화성 신도시를 건설한 후 팔달산 주변 지역을 남부와 북부로 나누었다. 이때 이 곳은 남부에 속하였다.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남부면 우만리와 구천동 일부를 합하여 ‘인계리’라 하여 태장면 관할이 되었다. 구한말 토지 대장에 나타나는 ‘인도천(仁道川)’·‘인도내’·‘인도래’라는 지명은 이 지역을 지칭한다. 1936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94호에 의하여 수원읍 이 확장될 때 수원읍으로 편입되었다. 이때 ‘인계정(仁溪町)’이란 일본식 명칭이 되었다. 해방 후인 1949년 8월 15일 수원읍이 수원부(수원시)로 승격되고 동제가 실시되면서 ‘인계동’이라 불리게 되었고, 1963년 1월 1일 행정구역 통합 때에도 그대 로 인계동이 되었다. 1988년 수원시에 구가 설치되면서 권선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이어 1989년 6월 3일 수원시 조례 제1867호에 의하여, 우만동권선동 일부를 편입시켰다. 1993년 팔달구 설치로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으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1]

아파트

편집
단지명 건설사 시행사 주소 입주 비고
래미안 노블클래스 1단지 삼성물산㈜ 건설부문 인계주공아파트 재건축정비사업조합 팔달구 권광로 246 2009년 8월 인계주공 재건축
래미안 노블클래스 2단지 팔달구 권광로 243
수원 센트럴 아이파크 자이 ㈜지에스건설
현대산업개발
팔달10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팔달구 인계로 21 2023년 7월 팔달10구역 재개발

교육

편집

교통

편집

각주

편집
  1. 인계동 연혁, 2012년 6월 13일 확인
  2. “팔달구 연혁”. 2022년 3월 30일. 2013년 1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