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유지 활동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조건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
(평화유지에서 넘어옴)

평화 유지 활동(Peacekeeping)이란 지속적인 평화에 유리한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활동,[1][2] 특히 평화 유지를 위한 군사적 활동을 뜻한다.[3] 여러 연구에 따르면 평화 유지 활동은 민간인과 전장의 사망자수를 줄이고 전쟁 재발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레바논 유엔임시군(UNIFIL)으로 파병된 이탈리아 육군 병사가 보초를 서고 있는 모습

유엔(UN) 내의 국민 국가단체 내에서 국제적 차원에서 평화유지군이 분쟁 이후 평화 과정을 감시, 관찰하고 이전 전투원들이 강화 조약의 약속을 이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지원에는 신뢰 구축 조치, 권력 공유 협정, 선거 지원, 법치체제 강화, 경제 및 사회 개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엔 평화유지군(평화유지군이 착용하는 특유 색깔의 베레모/방탄모 때문에 파란 베레모(Blue Berets)나 파란 헬멧(Blue Helmets)이라고도 부름)에는 군인 외에도 경찰, 민간인도 포함할 수 있다.[1][4]

평화 유지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은 유엔만 있는 것이 아니다. 유엔이 참여하지 않은 평화 유지 활동에는 유엔 승인을 받아 활동하는 나토코소보 평화 유지 활동, 시나이반도다국적군 및 관측대, 유럽연합(EU)의 EUFOR RCA, 아프리카 연합AMIS 등이 있다.

국제법에 따라 평화 유지 활동을 하는 평화유지군은 둘 이상의 교전국간 분쟁에서 중립을 취해야 하므로 평화 유지 임무 외의 중립적인 인력이나 재산과 똑같이 비전투원으로 간주되며 항상 공격으로 보호받아야 한다.[5]

평화 유지 활동의 정의와 유형

편집

유엔 평화 유지 활동

편집

유엔 외의 평화 유지 활동

편집

모든 평화유지군이 유엔의 직접 통제하에 있진 않다. 1981년에는 이집트이스라엘 간 합의에 따라 다국적군 및 관측대가 결성되어 시나이반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6]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의 평화와 안보를 실현하기 위해 아프리카의 평화유지를 구축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대량학살이나 기타 심각한 인권 침해가 발생했을 경우 아프리카 연합 총회의 승인이 있다면 해당 정부가 반대하는 입장을 내더라도 아프리카 연합 임무를 시작할 수 있다. 2015년 초에는 아프리카 안정군(ASF)을 포함한 아프리카 평화안보구조(APSA)가 수립되었다.[7] 지역 단위에서도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WAS)가 일부 회원국에서 여러 평화 유지 임무를 시작했으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발전된 지역간 평화 및 안보체계"로 평가받고 있다.[8]

비무장 민간 평화유지군(UCP)이라는 개념도 있는데, 이는 분쟁 지역의 민간인을 폭력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속적인 평화 구축을 위한 여러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비폭력, 비개입주의, 공정전술 등을 수행하는 민간 요원이다. 전장에서 활동하는 비정부 기구(NGO) 사이에서는 UCP란 개념이 보편화되어 있진 않지만, 여러 민간 단체가 비슷한 개념으로 평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9]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United Nations Peacekeeping. “Department of Peacekeeping Operations (DPKO)”. United Nations Peacekeeping. 2012년 10월 3일에 확인함. 
  2. “United Nations Peacekeeping”. 2014년 10월 23일에 확인함. 
  3. "Peacekeeping". Oxford Languages. 2023.
  4. United Nations Peacekeeping. “Department of Field Support (DFS)”. United Nations Peacekeeping. 2012년 10월 3일에 확인함. 
  5. “Rule 33. Personnel and Objects Involved in a Peacekeeping Mission”.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9년 4월 7일에 확인함. 
  6. 10 Tactical Air Group: Canadian Contingent Multinational Force and Observers Handbook (unclassified), page A-1. DND, Ottawa, 1986.
  7. “The African Peace and Security Architecture is already proving useful even though it is still work in progress”. dandc.eu. 2013년 8월 27일. 2013년 11월 14일에 확인함. 
  8. Oni, Cyril I. (2009).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on the Ground: Comparing Peacekeeping in Liberia, Sierra Leone, Guinea Bissau, and Côte D'Ivoire”. 《African Security》 2 (2–3): 119–135. doi:10.1080/19362200903361945. 
  9. Rachel, Julian; Schweitzer, Christine (2015).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Unarmed Civilian Peacekeeping” (PDF). 《Peace Review》 27 (1): 1–8. doi:10.1080/10402659.2015.1000181. S2CID 144911738.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