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겔라리아속(Flagellaria屬, 학명: Flagellaria 플라겔라리아[*])은 벼목의 단형과인 플라겔라리아과(Flagellaria科, 학명: Flagellariaceae 플라겔라리아케아이[*])의 유일한 속이다.[1][2] 이 과는 분류학자들에게 드물게 인정받아 왔다. 2003년의 APG II 분류 체계(1998년의 APG 분류 체계와 다르지 않음)는 이 과를 인정했으며, 외떡잎식물군의 벼목으로 분류했다. 이 과는 단 한 개의 속에 몇몇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세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발견된다.
↑Dumortier, Barthélemy Charles Joseph.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59, 60. 1829.
↑Linnaeus, Carl von. Species Plantarum 1: 333. 1753.
↑Bouchenak-Khelladi, Yanis; Muasya, A. Muthama; Linder, H. Peter (2014). “A revised evolutionary history of Poales: origins and diversification”.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75 (1): 4–16. doi:10.1111/boj.12160. ISSN0024-4074.
↑Briggs, Barbara G.; Marchant, Adam D.; Perkins, Andrew J. (2014). “Phylogeny of the restiid clade (Poales) and implications for the classification of Anarthriaceae, Centrolepidaceae and Australian Restionaceae”. 《Taxon》 63 (1): 24–46. doi:10.12705/631.1. ISSN0040-0262.